[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아래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하여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하나의 완성된 글로 답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아래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하여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하나의 완성된 글로 답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시의 개념
1) 정의
2) 특성
2. 한시의 종류별 양식
1) 고체시(古體詩)
(1) 고시
(2) 악부
2) 근체시(近體詩)
(1) 절구
(2) 율시
(3) 배율
3. 한시의 양식과 성격
1) 여수장우중문시 - 을지문덕(乙支文德)
2) 양식
3) 성격
4. 한시의 특성과 감상
1) 특성
2) 감상 및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책이었음을 암시하여 앞으로 수나라가 승리하지 못할 것임을 경고하는 것이다. 적장 우중문을 우롱, 야유하는 뜻이 담겨 있다.
만족함을 알아~바라노라 : 그대의 분수를 헤아려 만족할 줄을 알고, 이제 전쟁을 끝내고 돌아가기를 바란다.
(2) 살수대첩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보낸 시로 그를 조롱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고구려 영양왕 23년에 수나라 양제가 10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에 침공했는데 그 별동대 30만 5천 명이 을지문덕의 유인 작전에 속아 살수를 건너서 고구려군의 포위망 안에 들어왔다. 이에 을지문덕은 적장 우중문에게 이 시를 보내서 희롱했던 것이다. 잘못을 깨달은 우중문은 급히 후퇴하려 하였으나 이미 대세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 싸움에서 결국 적군은 거의 전멸했고, 겨우 2, 3천명만이 목숨을 건져 달아났으니 이것이 유명한 살수대첩이다.
싸움의 결과가 말해 주듯이, 이 시의 기구(起句)와 승구(承句)에서 우중문을 칭한 것은 조롱이었음이 분명한 것이며, 상대방에 정중히 권고하는 듯한 결구(結句)의 표현은 물러서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엄중한 경고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작품에는 30만 대군을 무찌른 을지문덕의 기백과 자신감이 넘쳐흐르고 있으며 우리는 그를 통해서 고구려인의 씩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2) 감상 및 평가
이 시는 우리나라 오언시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풍으로 수나라 양제가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한 살수대첩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을지문덕 장군이 계속 패하는 척 하며 수나라 군대를 살수로 유인한 다음, 최후로 공격하기 직전에 수나라 장수 우중문을 조롱하기 위해 보낸 시라고 알려져 있다. 표면적으로는 적장 우중문을 보고 신묘한 계책이니 땅의 이치를 통달하였다고 칭찬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은근히 비꼬면서 멸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너의 신묘한 계책이나 땅의 이치를 통달한 것을 다 알고 있다고 하면서 이제 전쟁을 끝내고 돌아가라고 하고 있다. 을지문덕 장군의 자신감과 기개가 높이 배어있는 시이다. 요즈음 상황은 다르지만 북한이 핵무기로 우리를 협박하고 중국과의 영토문제, 일본과의 역사문제와 독도문제 등 을지문덕 장군과 같은 영웅이 기다려지는 것은 왜 일까?
Ⅲ. 결론
漢詩라고 하는 것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詩의 형태에 맞추어서 漢文으로 창작한 詩를 가리킨다. 그런데 漢詩는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선조들도 즐겨서 지었던 것인 만큼 우리나라의 시도 한시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매우 많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한시라고 할 때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은 한자로 된 시도 가리키는 것이 된다. 漢詩의 개념 규정이 이와같기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겨놓은 작품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중국에서 만들어진 漢詩의 규칙을 알아두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詩는 散文과 달라서 특수한 構成法과 語彙를 사용하여 작품 속에서 항상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어서 散文처럼 읽어서는 그것을 제대로 감상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詩는 詩를 짓는 創作方法과 법칙 등에 대한 이해가 먼저 있어야 만이 작품을 제대로 감상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詩의 構成原理와 創作方法에 대한 이해는 詩를 이해하는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가원(2014) 한국한문학사, 보성문화사
이병주(1983) 한국한시의 이해, 민음사
윤인현(2011) 한국 한시 비평론과 한시 작가 작품론, 다운샘
송재소(2011) 한국한시작가열전-송재소와 함께 읽는 우리 옛시, 한길사
심경호(2011)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서정시학
김상홍(2003) 한시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사
윤용식, 손종흠(2010) 한국한문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학주(2008) 중국문학사, 신아사
손종섭(2005)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한국 역대 한시 평설, 태학사
심경호(2002) 한국한시의 이해, 태학사
김태준 엮음(2002) 고전문학사,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연구실
황패강 외(2000) 한국문학작가론3, 집문당
이병주 외(1991) 한국한문학사, 반도출판사
이종찬(1992) 한문학개론, 이우출판사
이가원(1989)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정 민(1990)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 아세아문화사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동문선, 1982
임형택 편역(1992) 이조시대 서사시上, 下, 창작과 비평사
진재교(1995) 조선 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의 다양한 발전, 민족 문학사강좌, 창작과 비평사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9.24
  • 저작시기202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6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