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 사례연구 및 음악치료 작용기전과 효과연구 및 이론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치료 사례연구 및 음악치료 작용기전과 효과연구 및 이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악치료 개념

2. 음악치료의 역사

3. 음악치료의 근거

4. 프로이트의 음악치료 이론연구

5. 음악치료 VS 음악교육의 차이점

6. 음악치료 작용기전 연구

7. 음악치료의 효과

8. 음악치료 사례연구
(1) 환자증상 및 치료과정 소개
(2) 치료과정의 해석

본문내용

나 말하지 않는, 그리고 거부하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7. 음악치료의 효과
음악치료의 효과는 언어능력 향상, 운동능력 향상, 정서적 안정, 대인관계의 발달, 의사소통, 학습기술 습득, 공간 지각능력의 증진, 지구력 향상, 사회성 발달, 자기 표현 능력 개발, 자제력 및 집중력 증진이 있다.
8. 음악치료 사례연구
“정신분열증 환자치료 사례”
(1) 환자증상 및 치료과정 소개
베티는 27세의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로 자메이카계 영국인이다. 9세에 발병하여, 13세 이후 우울증 증세에 시달려 왔다. 어린 시절 가족에게서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당했으며, 13세 이후 정신병원에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다. 당시에는 자살기도로 급성병동(acute ward)에 입원하고 있었다. 음악치료는 낮 병동에서 진행 중이었고, 입원초기 낮 병동에서 제공하는 다른 치료는 모두 거부했는데 음악치료에만 유독 관심을 보여 담당의사에 의해 음악치료에 의뢰되었다. 진단평가(assessment)를 거쳐, 당시 진행 중이던 폐쇄집단(closed music therapy group)과 개방집단(open music therapy group) 음악치료에 참여하게 되었다. 집단 초기에 베티는 항상 말없이 심각하고 어두운 표정으로 고개 숙여 바닥만을 바라보고 앉아 있곤 했었고, 집단 즉흥연주에는 전혀 참여하기 않았다. 그녀의 이런 행동은 집단에 강한 긴장감을 조성하여 그 누구도 선뜻 그녀에게 다가서지 못하였다. 어느 날 종결할 시간이 되면서 누군가 오늘 기분에 대해 묻자, \'아무도 나를 걱정하지 않는다. 그 누구도 내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Nobody cares about me. Nobody listens to me)!\' 라며 울분을 터트리곤 종결시간을 무시하고 계속해서 말을 하였다. 그녀는 그 뒤로도 치료시간에는 내내 참여하지 않다가 종결할 시간만 되면 이런 식으로 말을 하곤 하였다.
세션이 진행되면서 그녀는 연주는 하지 않더라도 점차 작은 리듬악기에 관심을 보이며 악기들을 자신의 주변에 모으기 시작했다. 집단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베티는 다른 환자들이 연주하는 모습을 지켜보기 시작했고, 자신도 조금씩 연주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베티는 말없이 작은 타악기들을 주변에 모으며 끊임없이 악기를 바꾸어 가며 짧고 강렬하게 연주했고, 자신에 몰입하여 전혀 남의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 그녀의 연주는 끊임없이 악기를 바꾸는 탓에 앞뒤가 연결되지 못하고 분열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나(치료사)는 선택한 악기를 통해 집단의 음악적 ? 역동적 상태를 반영함과 동시에 베티의 리듬과 연주형태를 반영함으로써 음악적 관계를 형성해 나갔다. 세션이 진행됨에 따라 베티는 자신의 연주를 치료사와 집단원들이 듣고 반응하고 지지하고 있음을 지각하게 된다. 그녀의 연주도 점차 혼자 분열되어가는 양상이 아닌 의사소통적 성격을 띠기 시작했으며, 다른 사람들의 연주에도 귀 기울이고 반응할 수 있을 만큼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서서히 악기를 강박적으로 바꾸어 가는 행동도 줄었으며, 한 악기를 전보다는 길고 여유 있게 연주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점차 집단 내 구성원들을 격려하고 지원해 줄 수 있을 정도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3개월 후 그녀는 낮 병동 내 다른 활동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입원병동을 떠나 통원환자가 되었다. 그녀는 그 후 개방집단치료에 새로 들어와 적응에 힘들어 하는 환자들에게 자신이 처음 음악치료에 왔을 때를 말하며, 음악치료의 경험이 얼마나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효과적인 치료였는가를 말했고, 점차 과거의 상처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자신과 가장 가까워야 할 사람들이 자신을 이용만 하고 아껴주거나 믿어준 적이 없었다는 과거의 상처를 털어놓곤 하였다. 심지어 자신이 어린 시절 수 년간 삼촌에게 성학대를 받았는데, 그 사실을 밝혔을 당시에 아무도 그녀의 말을 믿어주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과거 성학대의 사실 여부는 그간의 세월과 그녀의 병력으로 인해 증명할 수 있는 사실은 아니었지만, 나를 비롯한 낮 병동의 치료사들은 그녀를 계속 지지하였다.
(2) 치료과정의 해석
베티의 사례는 치료적 관계성 안에서의 전이현상과 그것의 해결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처음 베티가 치료에 참여 할 당시 본인의 선택으로 참여했지만 치료 자체에 대한 강한 저항을 보였고, 과거의 경험을 현재의 관계성에 투사하는 행동을 볼 수 있다. Freud와 Klein은 스스로의 부분을 타인에 속한다고 보는 자아의 인식상태를 투사(projection)라 보았다. Freud는 복잡한 투사의 진행과정을 \'I love him\'의 감정이 어떻게 \'I hate him\' 로 변하고, 그것이 어떻게 \'he hates me\'로 변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자아가 감당하기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타인에 속한 것으로 돌리는 것을 투사라 설명하였다. 베티는 집단에서 아무도 자신을 걱정하지 않는다며 화를 내었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실제 나와 집단원들은 그녀를 걱정하고 있었고, 집단이나 치료사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고 무언의 저항과 거부를 했던 사람은 오히려 그녀 자신이었다. 치료사나 집단 구성원이 말을 하려 하면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버럭 화를 내면서 말을 끊곤 했는데, 우리는 이 사례에서 그녀가 비언어적인 즉흥연주의 경험을 통해 조금씩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즉흥연주 초기에 그녀는 오직 자신만의 연주에 몰입하여 분열되어가는 양상의 연주를 했지만, 서서히 다른 사람들의 연주와 반응을 지각하기 시작하면서 그녀에게 근본적인 변화가 오기 시작했던 것이다. 즉 즉흥연주의 경험이 치료적 변화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악기 선택이나 연주 방법을 통해 우리는 환자의 현재 상태가 어떻게 반영되며, 과거가 어떻게 현재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치료적 경험이 어떻게 내면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단편적이나마 보게 되었다. 또한 즉흥연주 후 대화를 통해 과거의 경험을 돌아보고 자신을 재정립해 가는 모습도 보았다. 치료적 개념의 이해를 위해 매우 복합적이고 복잡한 과정을 간결하게 묘사하였으며 전체 사례가 아닌 부분 사례를 소개했다.
  • 가격3,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10.07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6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