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학] 2021년 출석수업대체과제물,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 2.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3.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간호학] 2021년 출석수업대체과제물,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 2.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3.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
(1) 환자의 반응 확인
(2) 응급의료체계 신고
(3) 호흡 및 맥박 확인
(4) 가슴압박
(5) 기도유지
(6) 인공호흡
2)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

2.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 심실세동
(1) 주요 증상
(2) 치료 과정
2) 무수축
(1) 주요 증상
(2) 치료 과정
3) 심실세동과 무수축의 차이점

3. 제세동(Defibrillation)과 심율동전환(cardioversion)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 제세동 치료과정
2) 심율동전환 치료과정
(1) 동기화 심율동전환과 비동기화 쇼크
(2) 파형과 에너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액의 움직임이 안정되지 못한 빈맥환자의 치료를 위해, 가능하면 심율동전환을 하기 전에 정맥로의 확보 후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안정제를 투여한다. 혈액의 움직임이 아주 불안정하다면 즉시 심율동전환을 한다.
(1) 동기화 심율동전환과 비동기화 쇼크
동기화 심율동전환은 쇼크의 전달이 QRS 파와 동기화 된다. 이러한 동기화로 인하여 심장주기 중에서 불응기(refractory period) 동안 쇼크가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게 하여, 심실세동의 발생율을 최소한으로 한다. 만약 심율동전환이 요구되지만 동기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고-에너지 비동기화 쇼크(제세동용량)을 준다. 동기화 심율동전환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권장된다.
불안정한 심실상성 빈맥
불안정한 심방세동
불안정한 단형(규칙적인) 심실빈맥
(2) 파형과 에너지
심방세동이 권장되는 초기 이상 파형 에너지 용량은 120-200 J이다. 만약 첫 번 째 쇼크로 회복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에너지 용량을 상승시켜 준다. 심방조동이나 심실상성 빈맥의 심율동전환은 통상적으로 저용량이 요구된다. 첫 번 째 치료 시 50-100 J 정도이면 적당하다. 만약 50 J의 쇼크로 회복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용량을 올린다. 단상 파형 심율동전환의 경우 200 J부터 출발하여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준다.
혈압이 측정 가능한 단형 심실빈맥(주기적인 형태와 심박수)은 100 J의 단상 파형 또는 이상파형 동기화 심율동전환의 치료에 잘 회복된다. 만약 첫 번 째 쇼크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용량을 상승시켜 종료 시킨다. 만약 세 번의 쇼크에도 불구하고 빈맥이 회복되지 않으면 150 mg의 아미오다론을 10 분에 걸쳐 투여한 뒤 다시 쇼크를 가한다. 이후에는 아미오다론 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또한 쇼크사이의 시간 간격이 15 초 정도로 짧게 나타나면 심근효소의 상승(심근손상)이 타나날 수 있기 때문에 약 1 분 이상의 간격을 주고 쇼크를 가하는 것이 좋다.
뒤틀림심실빈맥(torsades de pointes)처럼 다형 QRS 형태가 나타나는 부정맥은 동기화가 불가능하므로 심실세동처럼 고에너지 비동기화 쇼크(즉, 제세동 용량)을 실행한다. 만약 불안정한 환자가 단형과 다형의 여부의 판단이 어려운 심실빈맥이 나타난다면 섬세한 리듬 분석을 위하여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고에너지 비동기화 쇼크(즉, 제세동 용량)을 가한다 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2011.
.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치료과정의 차이점 정성희 외, 응급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구분
심율동 전환
제세동
적응중
심실상성 빈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단형 심실빈맥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에너지 수준
저에너지 선택(50~100j)
고에너지 선택(120~200j, 300j)
동시성 모드
ON
OFF
진정제
투여
해당 없음
참고문헌
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2011.
대한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2016.
송미혜, LDA와 SVM 기반의 심실세동 검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4.
장용구, 심실세동 파형의 Hilbert-Huang 변환을 기반으로 한 제세동 성공여부 예측,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정성희 외, 응급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조준휘, 시-주파수 공간 분석법을 이용한 에프네프린 투여시 심실세동 파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논문, 2000.
질병관리청.대한심폐소생협회,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020.
황성오 외,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소개, 주간 건강과 질병, 제14권 제7호, 2021.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10.21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