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사례연구 및 감염관리 중요성과 방법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관리 사례연구 및 감염관리 중요성과 방법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감염 이란?

2. 감염관리의 중요성

3. 감염의 진행과정

4. 감염관리 방법
(1) 격리
(2) 기침예절
(3) 직원안전관리
(4) 손위생
(5) 장갑착용
(6) 의료폐기물 관리
(7) 안전한 주사행위

5. 병원에서의 감염관리

6. 직원 감염관리

7. 감염관리 사례연구
(1) 역학분석
(2) 전파경로
(3) 환자진단검사
(4) 감염자 정의
(5) 병실배치
(6) 예방지침
(7) 환경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치 뒤에도 장갑 벗은 후 손씻기를 한다.)
- 환자 처치후 반드시손씻기를 하고 동일환자라도 다른부위처치시마다 손씻기한다.
- 눈에 보이는 오염물이 없을 때는 알코올젤을 사용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 있을 때는 물과 비누 혹은 물과 소독비누를 이용하여 씻는다.
(5) 장갑착용
- 혈액이나 체액, 오염물건, 손상된 피부, 점막 접촉 시 장갑을 착용한다.
- 장갑은 사용 직 후 벗고 매 처치 시 마다 교환한다.
가운, 마스크, 안면 보호대, 보안경 등 개인보호구
: 환자의 체액, 혈액, 분비물 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을 때 착용한다.
환자처치기구 및 린넨: 일회용 물품은 분리하여 버리고, 재사용 물품은 적절한 방법으로 소독이나 멸균처리하며 체액 등에 오염된 린넨은 별도 분리하여 운반 처리하며 최소한으로 조작한다.
환경: 병실바닥, 침상 등 물건과 환경을 청결히 하고 필요시 소독하고 오염된 한다.
(6) 의료폐기물 관리
의료폐기물: 일회용 주사기, 인체유출물, 수술용 장갑, 피 묻은 거즈 등, 이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폐기함
감염성 폐기물은 심각한 2차 전염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별도의 오염 쓰레기통 등 지정된 보관박스에 버려야 함
감염성폐기물의 분리수거, 운반, 처리는 감염표시를 한 이
중표장 용기나 합성수지 전용 용기 사용
(7) 안전한 주사행위
- 무균술을 엄수한다.
- 주삿바늘, 주사기, 캐뉼라, 수액세트 등 주사에 사용된 물품은 멸균된 것이어야 하고 일회만 사용한다.
- 다회용량 vial 은 제조사에서 권하는 보관법을 준수하고 오염이 의심되면 폐기한다.
- 일회용량의 vial 을 여러환자에 사용하지 않는다.
요추천자 시술 시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5. 병원에서의 감염관리
- 의료기관은 직원의 감염예방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의료기관은 감염관리를 담당할 조직과 인력을 두고 규모와 특 성에 적합한 감염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의료기관에서 사용한 (오염)세탁물은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수집, 보관, 이동 후 처리한다.
-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인 및 직원은 필요한 감염관리교육을 받아야 한다.
- 의료기관 직원은 감염성 물질과 접촉할 때 필요에 따라 장갑, 마스크, 보안경, 가운 등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한다.
- 침습적 시술 전 후, 환자의 체액 및 혈액, 분비물, 배설물 등 과 접촉 후에는 손위생을 실시 한다.
- 진료가 행해지는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며, 필요시 환경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 감염전파위험이 있는 질환은 해당 질환의 전파방식에 따라 격리한다.
- 침습적 처치를 행할 경우 필요한 개인보호구 착용과 무균술을 준수한다.
- 인체에 사용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적절한 소독과 멸균을시행한다.
6. 직원 감염관리
감염 위험에 노출 된 직원은 응급실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 필요한 조치를 받은 후 근무 중 손상보고서를 이용하여 보고하도록 한다.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경 우, 대상 직원은 예방조치의 효과와 부작용, 기타 다른 예방방법, 예방조치를 하지 않았을 때 감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해하여야 한다. 노출된 경우는 근무를 제한하는 전염성 질환을 참조하여 필요한 경우 근무를 제한하도록 한다.
7. 감염관리 사례연구
- HIV 감염환자 관리
(1) 역학분석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Retr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의 일종.
인체 세포성 면역에 관계하는 CD4 림프구 가 파괴되고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다양한 기회 감염 및 종양, 대사 질환 등의 질병이 발생하는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을 유발
(2) 전파경로
HIV는 성접촉으로 전파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수혈이나 혈액제제를 통한 전파, 주산기, 분만, 모유를 통한 신생아로의 전파가 주요 경로이다.
그러나 일상적인 정상 피부를 통한 접촉, 모기와 같은 곤충을 통한 전파 등은 보고된 바가 없다.
(3) 환자진단검사
- HIV Ag/Ab 검사에서 1차 양성 결과가 나온 경우 : 추정 단계 환자
- HIV Ag/Ab 검사에서 1차 양성 결과가 나와 해당 지역 보건환경연구원에 2차 검사가 의뢰 되어 시행한 Western blot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경우 : 확진 환자
(4) 감염자 정의
HIV에 대한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항체검사 상 양성을 보이고, 시도 보건환경 연구원에서 시행한 Western Blot 검사 상 양성을 보인 경우를 말한다.
한 차례의 ELISA 검사 상 양성이 나왔다고 HIV 감염자라 할 수 없으며, 확진 검사인 Western Blot 검사 상 양성으로 나타나야만 한다.
(5) 병실배치
1인실 격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비밀 유지와 환자 관리 면에서 1인실에 배치한다.
1인실 병실 입구에‘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 격리표식을 부착한다.
병실 입구에는 가운, 장갑, 마스크가 수납된
탁자를 배치하고, 병실 내 손상성폐기물 용기 를 둔다.
(6) 예방지침
표준주의를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
- 환자 접촉 전후, 장갑을 벗은 후나 환자의 혈액/체액에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손위생을 시행.
- HIV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 시 장갑을 착용할 필요는 없으나 점막, 혈액, 체액과의 접촉이 예 상되는 경우 반드시 장갑을 착용.
- 혈액이나 체액이 튈 경우에는 개인보호장구 (가운, 보안경, 마스크)를 착용.
- 채혈, 주사 등의 처치 시 가능하면 안전주사기 를 사용하며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 응급소생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감염자 에게는 응급상황 시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을 피하기 위하여 모든 응급소생기구들을 환자 가까운 위치에 준비해 둔다.
(7) 환경관리
- HIV는 열에 약하여 56~60℃에서 30분 혹은 소독제에 10분 이상 노출 시 일반적으로 불활성 화되어 감염력을 상실한다.
- 사용한 물품은 혈액이나 체액 등이 묻어 있지 않도록 주의하여 세척하고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소독을 한다.
<참고문헌>
감염관리학 제2판, 현문사,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알기 쉬운 감염관리, 정담미디어,김경미
  • 가격3,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11.02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