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기술
2) 일반적 사항
3) 현재의 건강문제
4) 간호력
5) 신체사정
6) 간호과정
2) 일반적 사항
3) 현재의 건강문제
4) 간호력
5) 신체사정
6) 간호과정
본문내용
감상, TV 시청 과 같은 기분 전환 요법 사용한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에게 불안의 이유, 정도를 표현하도록 하고 불안 정도를 사정하였다.
-> 불안의 이유 : “심장 수술하고 나서 쑤시듯이 아픈 낯선 느낌이 들고, 흉관의 배액물들이 징그럽기도 하고 관을 빼는 것도 무서워요. 모든 처치와 검사, 간호 들이 낯설고 또 아플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 불안의 정도
: 하나도 불안하지 않은 것이 0점이고, 너무 불안 하고 걱정되고 초조 한 것이 10점이라고 했을 때, 환아는 7점이라고 대답하였다. (현재 임상에서 쓰고 있던 사정방법)
*TAIC* -> 소아 불안 측정도구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 더 정확하게 사정 할 수 있지만, 현재 임상에서는 NRS 방법을 주로 쓰고 있었다.
: 척도내용
1) 소아의 특성불안 측정.
2) 특성불안은 불안을 일으키는 경향으로 개인이 지니고 있는 지속적인 특성을 의미.
3) Spielberger의 성인용 특성불안 척도를 소아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시킨 것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
: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평소에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3점 척도 상으로 표시
; 채점방법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 구함.
그런 일이 거의 없다 = 1점
때때로 그렇다 = 2점
자주 그렇다 = 3점
: 해석지침
1) 점수의 범위 : 20점 - 60점.
2) 한국판 연구
초등학생 집단(4, 5, 6학년 522명) : 평균점수 31.96점 (표준편차 7.13)
3)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음.
39점 - 42점 : 특성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43점 - 46점 : 특성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47점 이상 : 특성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② 불안한 감정은 해로운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고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대상자의 이야기에 경청하였다.
“OO아, 지금 OO이가 겪고 있는 걱정과 두려운 마음과 초조한 마음들은 당연 해. 선생님도 옛날에 OO이 나이 때 수술 하고 나서 OO이처럼 병원 생활이 낯설고 두려움에 많이 불안했었어. 그건 나쁜 마음이 아니란다. 혹시 선생님한테 해주고 싶은 이야기 있어? 아니면 지금 마음이 어떤지 혼자 고민 하지 말고 선생님한테도 얘기 해줄 수 있을까?”
③ 대상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입원 중에 받을 치료와 관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정서적으로 지지와 격려를 해 주었다. 또한 불안해하는 대상자의 엄마에게도 정서적 지지를 해 주었다.
“OO이는 지난 11일에 심장 수술을 해서 그 수술이 잘 되었는지 X-ray 사진도 찍어보고 초음파도 해보고 찍찍이 붙여서 한번 심장을 보는 검사들을 해야 하는데 하나도 아프지 않을 거야. 정말 하나도 안 아파서 우리 OO이가 잘 할 수 있을 걸?
그리고 지금 달고 있는 이 관에서 나오는 이 액체 들은 우리 OO이 몸에서 안좋은 것들이 밖으로 나와야 해서 달아 놓은 거고, 금방 땔 거야. 그리고 이거 소독 열심히 해야지 더 빨리 나아서 빼고 지하 1층에 가서 맛있는 간식도 사먹으러 갈 수 있고 집에 갈 수도 있단다. 우리 OO이를 도와주기 위해서 달아 놓은 거란다.
엄마랑 손잡고 매일 30분씩 여기 병동 몇 바퀴만 운동 하는 게 어떨까? 우리 운동하면 건강 해진다고 하잖아. 마찬가지로 OO이도 운동을 하면 몸이 가벼워지면서 빨리 나을 수 있단다. 대신 너무 무리하게는 하지 말구. 우리 OO이가 운동도 열심히 하고 활기차고 씩씩하게 치료 받으면 선생님은 너무 좋을 것 같아. 옆에서 많이 도와줄게.”
“어머님, 어머님도 많이 불안하시고 속상하시죠?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해요.. 지금은 OO이가 수술 하고 온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프고 울먹이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어머니께서 불안해하시면 OO이가 더 불안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머님이 먼저 OO이에게 안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저도 많이 도와드릴게요.”
④ 대상자의 어머니가 볼일을 보러 나갈 때, (13일 오전 9시-10시) 환아 곁에 있어 주었다. 대상자와 같이 침착하고 일관성 있게 신뢰감을 주는 태도로 대화를 나누면서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 (SN)
⑤ 대상자가 불안해하는 처치(chest tube 소독 시, V/S 측정 시, chest tube remove 시, 투약 시)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치료실에는 큰 TV가 있어서 대상자가 좋아하는 프로그램(투니버스)을 틀어 줄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는 1인실에 있기 때문에 채널을 원하는 투니버스 로 돌릴 수가 있었고, 휴대폰으로 피아노 반주 음악을 틀어놓을 수가 있었다.
이론적 근거
① 불안의 정도와 원인을 사정하여 그에 따른 신체적, 정서적, 영적 간호를 중재한다.
② 불안감은 정상적인 감정 상태임을 인식함으로써 고립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불안한 감정과 걱정되는 마음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말로 표현하는 것 자체가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 의료진이 한명의 지지자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③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그 가족에게 질병 진행 상태에 대해 계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④ 환자가 불안을 느낄 때 같이 있어 주는 것으로도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⑤ 음악 감상이나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여 준다.
평가 및 재계획
① 대상자는 13일에 측정한 불안 점수가 1점이라고 말하였다.
② 대상자는 불안했던 횟수가 하루에 한번 밖에 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EKG 검사 시)
③ 대상자는 편안한 표정을 지으며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해결날짜
10월 13일
*참고문헌*
-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2017, pp.384-401.
- Lynda Juall Carpenito 외,《Handbook of nursing Diagnosis》, Wolters Kluwer, 2014, pp.254-256, pp.338-340, p.372, p.485.
간호수행
① 대상자에게 불안의 이유, 정도를 표현하도록 하고 불안 정도를 사정하였다.
-> 불안의 이유 : “심장 수술하고 나서 쑤시듯이 아픈 낯선 느낌이 들고, 흉관의 배액물들이 징그럽기도 하고 관을 빼는 것도 무서워요. 모든 처치와 검사, 간호 들이 낯설고 또 아플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 불안의 정도
: 하나도 불안하지 않은 것이 0점이고, 너무 불안 하고 걱정되고 초조 한 것이 10점이라고 했을 때, 환아는 7점이라고 대답하였다. (현재 임상에서 쓰고 있던 사정방법)
*TAIC* -> 소아 불안 측정도구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 더 정확하게 사정 할 수 있지만, 현재 임상에서는 NRS 방법을 주로 쓰고 있었다.
: 척도내용
1) 소아의 특성불안 측정.
2) 특성불안은 불안을 일으키는 경향으로 개인이 지니고 있는 지속적인 특성을 의미.
3) Spielberger의 성인용 특성불안 척도를 소아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시킨 것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
: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평소에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3점 척도 상으로 표시
; 채점방법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 구함.
그런 일이 거의 없다 = 1점
때때로 그렇다 = 2점
자주 그렇다 = 3점
: 해석지침
1) 점수의 범위 : 20점 - 60점.
2) 한국판 연구
초등학생 집단(4, 5, 6학년 522명) : 평균점수 31.96점 (표준편차 7.13)
3)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음.
39점 - 42점 : 특성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43점 - 46점 : 특성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47점 이상 : 특성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② 불안한 감정은 해로운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고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대상자의 이야기에 경청하였다.
“OO아, 지금 OO이가 겪고 있는 걱정과 두려운 마음과 초조한 마음들은 당연 해. 선생님도 옛날에 OO이 나이 때 수술 하고 나서 OO이처럼 병원 생활이 낯설고 두려움에 많이 불안했었어. 그건 나쁜 마음이 아니란다. 혹시 선생님한테 해주고 싶은 이야기 있어? 아니면 지금 마음이 어떤지 혼자 고민 하지 말고 선생님한테도 얘기 해줄 수 있을까?”
③ 대상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입원 중에 받을 치료와 관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정서적으로 지지와 격려를 해 주었다. 또한 불안해하는 대상자의 엄마에게도 정서적 지지를 해 주었다.
“OO이는 지난 11일에 심장 수술을 해서 그 수술이 잘 되었는지 X-ray 사진도 찍어보고 초음파도 해보고 찍찍이 붙여서 한번 심장을 보는 검사들을 해야 하는데 하나도 아프지 않을 거야. 정말 하나도 안 아파서 우리 OO이가 잘 할 수 있을 걸?
그리고 지금 달고 있는 이 관에서 나오는 이 액체 들은 우리 OO이 몸에서 안좋은 것들이 밖으로 나와야 해서 달아 놓은 거고, 금방 땔 거야. 그리고 이거 소독 열심히 해야지 더 빨리 나아서 빼고 지하 1층에 가서 맛있는 간식도 사먹으러 갈 수 있고 집에 갈 수도 있단다. 우리 OO이를 도와주기 위해서 달아 놓은 거란다.
엄마랑 손잡고 매일 30분씩 여기 병동 몇 바퀴만 운동 하는 게 어떨까? 우리 운동하면 건강 해진다고 하잖아. 마찬가지로 OO이도 운동을 하면 몸이 가벼워지면서 빨리 나을 수 있단다. 대신 너무 무리하게는 하지 말구. 우리 OO이가 운동도 열심히 하고 활기차고 씩씩하게 치료 받으면 선생님은 너무 좋을 것 같아. 옆에서 많이 도와줄게.”
“어머님, 어머님도 많이 불안하시고 속상하시죠?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해요.. 지금은 OO이가 수술 하고 온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프고 울먹이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어머니께서 불안해하시면 OO이가 더 불안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머님이 먼저 OO이에게 안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저도 많이 도와드릴게요.”
④ 대상자의 어머니가 볼일을 보러 나갈 때, (13일 오전 9시-10시) 환아 곁에 있어 주었다. 대상자와 같이 침착하고 일관성 있게 신뢰감을 주는 태도로 대화를 나누면서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 (SN)
⑤ 대상자가 불안해하는 처치(chest tube 소독 시, V/S 측정 시, chest tube remove 시, 투약 시)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치료실에는 큰 TV가 있어서 대상자가 좋아하는 프로그램(투니버스)을 틀어 줄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는 1인실에 있기 때문에 채널을 원하는 투니버스 로 돌릴 수가 있었고, 휴대폰으로 피아노 반주 음악을 틀어놓을 수가 있었다.
이론적 근거
① 불안의 정도와 원인을 사정하여 그에 따른 신체적, 정서적, 영적 간호를 중재한다.
② 불안감은 정상적인 감정 상태임을 인식함으로써 고립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불안한 감정과 걱정되는 마음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말로 표현하는 것 자체가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 의료진이 한명의 지지자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③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그 가족에게 질병 진행 상태에 대해 계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④ 환자가 불안을 느낄 때 같이 있어 주는 것으로도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⑤ 음악 감상이나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여 준다.
평가 및 재계획
① 대상자는 13일에 측정한 불안 점수가 1점이라고 말하였다.
② 대상자는 불안했던 횟수가 하루에 한번 밖에 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EKG 검사 시)
③ 대상자는 편안한 표정을 지으며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해결날짜
10월 13일
*참고문헌*
-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2017, pp.384-401.
- Lynda Juall Carpenito 외,《Handbook of nursing Diagnosis》, Wolters Kluwer, 2014, pp.254-256, pp.338-340, p.372, p.485.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박테리아성 뇌수막염
폐렴아동에 관한 case study
[아동간호] 신증후군 케이스
[아동간호학][Purpura][자반증]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 편도선염 케이스 스터디 Tonsillitis case study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아동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