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질병의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입원 관련 정보
3. 간호력(건강상태)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
5. 각 기관별 문진
6. 진단 검사
7. 치료 및 경과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IR
(nebul izer)
Salbutamol sulfate
[기관지확장제]
중증의 급성천식
만성기관지 경련
두통, 진전, 졸음, 신경과민, 빈맥, 심계항진, 근육통
Ⅳ. 간호과정
간호진단
기관지 연축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사정
주관적자료
“6~7개월 전부터 숨이 찼어요.”
“기침을 하면 머리가 아파요.”
“더러 쌕쌕거리고 고양이 소리가 났어요.”
객관적자료
C.C : dyspnea, cough, headache
SpO2 : 93% (Adm 당시)
lung : rhonchi(+), expiratory wheezing(+)
sputum : 맑은 가래 약 5cc
안절부절, 불안한 표정을 보임
PFT : FEV1 51%, obstructive
기도가역성검사 (BDR, 기관지유발시험) (+)
계획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정상 호흡음과 기도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95% 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주호소가 호전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중재
[진단적 계획]
① v/s, SpO2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② 호읍음을 청진하여 비정상호흡음 여부를 확인한다.
③ 호흡곤란, 호흡부속근 사용 여부, 불안 등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환자가 호흡하기 편한 체위를 취해준다.
(머리 쪽 상승, 테이블에 팔 올리고 기대기)
⑤ 복식호흡, 입술-오므리기 호흡을 실시한다.
⑥ 분무요법을 실시한다.
⑦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⑧ 기침과 가래의 양상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기침을 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근거
①, ②, ③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수시로 사정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④ 침대 상부를 상승시키면 호흡이 용이해지고, 팔을 테이블에 기대는 것은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가슴의 팽창을 증진시킨다.
⑤ 호흡곤란을 조절하고 공기포획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⑥ 가래의 점성 감소, 자가 배출 용이, 세기관지에 점액 마개 형성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⑧ 기침은 똑바로 앉은 자세 또는 가슴 두드리기 후 머리 쪽이 아래로 향하게 되면 효율적이다.
간호진단
질병에 대한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정
주관적자료
“왜 저는 이렇게 숨 쉬기가 힘든지 답답해요.”
“먹는 약이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객관적자료
진단명 : asthma
C.C : dyspnea, cough, headache
처방약물 : 아미노필린주, 클락신정, 코대원정, 뮤테란캅셀, 액티피드정,
소론도정, 풀미코트 레스퓰 분무용 현탁액, 벤토린네뷸
약물에 대해 반복해서 질문함
계획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천식과 약물에 대한 이해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ebulizer를 스스로 사용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천식의 유발요인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중재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현재 지식수준과 교육요구를 구체적으로 사정한다.
② 약물의 용량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자가투여 할 수 있는지 환자의 능력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③ 약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투약한다. (용량, 용법, 경로, 적응증 및 부작용 등)
[교육적 계획]
④ 질병과정을 교육한다.
⑤ 처방약물을 교육한다.
⑥ 천식지속상태 예방을 교육한다.
이론적근거
① 대상자의 지식수준을 사정하고, 궁금해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교육계획을 세운다.
② 정확한 약물투여를 위하여 환자의 능력사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④ 질병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고, 질병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예방하기 위함이다.
⑤ 약물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⑥ 천식발작을 일으키는 요인과 천식발작 전 전구증상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Ⅴ. 결론
천식 치료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폐기능이 감소하여 장기적인 산소 치료가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천식의 악화를 예방하고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천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천식은 유전적 요인 외에 환경적 요인 또한 크게 작용하는 질병이므로 대상자가 스스로 주변 환경을 관리하여 원인 물질 및 악화 인자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처방약물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관련 기구(nebulizer) 사용에도 능숙해야 할 것이기에 천식 대상자에게 구체적인 보건교육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실습을 통해 case study 대상자를 천식환자로 선정하여 천식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 된 것 같다. 대상자분은 상태가 많이 호전되셔서 곧 퇴원을 앞두고 계신다고 한다. 실습을 마칠 때 까지 대상자분이 더욱 건강해지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다.
Ⅳ. 참고문헌
[도서 및 논문]
윤은자, 김숙영 외(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665-674
원종순, 김남초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p.138-147
은영, 전미양(2019). 「생애주기별 건강사정」. 수문사. p.192-201
[참고사이트]
대한의학회 한국 성인 천식의 진료지침
https://www.guideline.or.kr/guide/view.php?number=29&cate=B
건강프라임 https://tv.naver.com/v/9980074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2593&cid=63166&categoryId=51019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30&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73&cid=51007&categoryId=51007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928&cid=63166&categoryId=51022
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95509&cid=60408&categoryId=55558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1.12.30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0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