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번 문제 - 목차]
1) 노동계급 청년 하위문화의 특징
2) 시사점
[2번 문제 - 목차]
1) 청소년의 욕설 문화 현황
2) 문제점
3) 교육적 과제
참고문헌
1) 노동계급 청년 하위문화의 특징
2) 시사점
[2번 문제 - 목차]
1) 청소년의 욕설 문화 현황
2) 문제점
3) 교육적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도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이상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지 않으면 욕설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며, 현실을 바꾸지 않고 욕설만 금지하려 들면, 청소년들의 현실은 더 열악해질 것이다.” 조혜영 외(2020).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305쪽
사회적으로 욕설문화를 지양하기 위한 캠페인 등을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욕설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표출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육적으로 예체능 교육의 정상화 및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체육과 예술 활동은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발산하고 분노 정서를 순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 과정에서는 예체능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과목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음악교육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온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존 예체능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더욱 강화함으로써 청소년의 폭력과 욕설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60쪽
따라서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도 예체능 특별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들이 다양한 예체능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학교와 가정에서도 일상적인 대화에서 욕설 및 비속어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 행태와 관련하여 부모와 교사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가 먼저 청소년과의 대화 시에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 언어에서 욕설과 비속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조혜영 외(2020).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 정동훈. 월거지ㆍ엘거ㆍ빌거…또 다른 \'계급\'에 우는 아이들. 아시아경제신문, 2019년 11월 11일자.
- 송인걸. 어린이·청소년 10명 중 4명 “매일 욕한다”. 한겨레신문, 2018년 10월 7일자.
- 국민대통합위원회(2015). [보도자료] 청소년 언어실태조사 결과발표. 국민대통합위원회.
-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사회적으로 욕설문화를 지양하기 위한 캠페인 등을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욕설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표출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육적으로 예체능 교육의 정상화 및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체육과 예술 활동은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발산하고 분노 정서를 순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 과정에서는 예체능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과목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음악교육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온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존 예체능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더욱 강화함으로써 청소년의 폭력과 욕설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60쪽
따라서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도 예체능 특별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들이 다양한 예체능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학교와 가정에서도 일상적인 대화에서 욕설 및 비속어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 행태와 관련하여 부모와 교사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가 먼저 청소년과의 대화 시에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 언어에서 욕설과 비속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조혜영 외(2020).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 정동훈. 월거지ㆍ엘거ㆍ빌거…또 다른 \'계급\'에 우는 아이들. 아시아경제신문, 2019년 11월 11일자.
- 송인걸. 어린이·청소년 10명 중 4명 “매일 욕한다”. 한겨레신문, 2018년 10월 7일자.
- 국민대통합위원회(2015). [보도자료] 청소년 언어실태조사 결과발표. 국민대통합위원회.
-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추천자료
표로 정리한 국사, 국사흐름요약표,신석기청동기철기 비교,남북 부족국가 비교,시대별제도비...
[교육학]일제고사의 현황과 문제점
문화론적 관점에서 계급의식과 프랑크푸르트 학파
[동서양고전의이해]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1학기 과제물(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현대의서양문화 4학년 B형] 18세기에 형성된 계몽주의적 이성에 대한 프랑크푸르트학파(호르...
2020년 2학기 청소년문화 기말시험 과제물(노동계급 청년 하위문화, 청소년 욕설문화)
청소년문화2공통)영국버밍햄학파 노동계급청년하위문화의특징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청소년의...
방송통신대학교/현대의 서양문화/18세기에 형성된 계몽주의적 이성에 대한 프랑크푸르트학파(...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육심리학(공통)(콜버그 도덕성 발달단계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