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 크기는 영양소 필요량에 영향을 준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과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아와 유아의 체위기준을 설정한 방법을 각각 나누어 간략하게 제시하시오.
1) 연령 구분
2) 체위기준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아와 유아의 체위기준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아와 유아의 체위기준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영아와 유아의 ‘2020 체위기준’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제시된 ‘2015 체위기준’을 1개의 표로 만들어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3. 참고문헌
1) 연령 구분
2) 체위기준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아와 유아의 체위기준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아와 유아의 체위기준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영아와 유아의 ‘2020 체위기준’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제시된 ‘2015 체위기준’을 1개의 표로 만들어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나 2020년 최근 5년(2013~2017)의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중 19~49세 건강한 성인(BMI 18.5~24.9 kg/m2)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의 체질량지수의 중위수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2015과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영유아의 체위기준은 표2에서처럼 차이가 발생했다.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영아와 유아의 ‘2020 체위기준’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제시된 ‘2015 체위기준’을 1개의 표로 만들어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구분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연령
신장(cm)
체중(kg)
체질량지수
(kg/m2)
신장(cm)
체중(kg)
체질량지수
(kg/m2)
0~5개월
60.3
6.2
17.1
58.3
5.5
16.2
6~11개월
72.2
8.9
17.1
70.3
8.4
17.0
1~2세
86.4
12.5
16.7
85.8
11.7
15.9
3~5세
105.4
17.4
15.7
105.4
17.6
15.8
표2에 제시된 2020년의 체위기준을 보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가 3-5세 연령대를 제외하면 모든 연령대의 영유아에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1에서 설명한 것처럼 2020의 체위기준 설정방법이 2015과 다소 달라지면서 생긴 것이다.
3. 참고문헌
김정희·곽호경·신동미(2019). 생애주기영양학.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ww.kns.or.kr/)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ww.kns.or.kr/)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영아와 유아의 ‘2020 체위기준’과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제시된 ‘2015 체위기준’을 1개의 표로 만들어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구분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연령
신장(cm)
체중(kg)
체질량지수
(kg/m2)
신장(cm)
체중(kg)
체질량지수
(kg/m2)
0~5개월
60.3
6.2
17.1
58.3
5.5
16.2
6~11개월
72.2
8.9
17.1
70.3
8.4
17.0
1~2세
86.4
12.5
16.7
85.8
11.7
15.9
3~5세
105.4
17.4
15.7
105.4
17.6
15.8
표2에 제시된 2020년의 체위기준을 보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가 3-5세 연령대를 제외하면 모든 연령대의 영유아에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1에서 설명한 것처럼 2020의 체위기준 설정방법이 2015과 다소 달라지면서 생긴 것이다.
3. 참고문헌
김정희·곽호경·신동미(2019). 생애주기영양학.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ww.kns.or.kr/)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https://www.kns.or.kr/)
키워드
추천자료
영양판정 실험 실습
단백질 대사과정
우리나라 식생활과 식품 영양섭취 변화실태 및 문제점,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방안
[지역사회영양학B]우리나라의 인구변화와 그에 따른 질병 양상 변화, 식생활의 변화실태 및 ...
영유아 영양교육의 기초 (유아 영양의 중요성, 다섯 가지 기초 식품군, 식품 구성탑, 식사 지...
[아동영양학] 식이섬유소가 영유아의 무기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식이섬유소)
생애주기영양학3)성공적인 수유를 위한 수유부의 올바른 영양 및 식생활 관리 방법을 서술하...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출처표기)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기말시험)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을 참고하여 성인 남녀에 ...
생애주기영양학3공통) 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65세 이상 노인전체의 에너지 섭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