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족의 모습, 그리고 강요하는 가족의 모습은 없어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얼마 전 조카의 그림에서 가족그리기 숙제를 본 적 있다. 아이가 그린 우리 가족의 모습에는 나는 없었다. 아이에게 물었다. 왜 나는 없어? 아이는 대답했다. 이모는 우리 가족은 아니잖아. 가족은 부모님이랑 나만 이야기하는거야! 라고.
이건 맞는 것인가 틀린 것인가? 우리는 이에 대해 답할 수 없다. 그간 묵인했던 또 폭력으로 방관했던 이 사회전체적 문제를 단순히 바라볼 수 만은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모든 이들이 함께 반성하며 이를 고쳐나가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세상을 바라볼 때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지름길이고 또 다시 생각할 수 있는 방향성일 것이다. 오늘 우리는 이 자리에서 이야기해야한다. 더 이상 옭아매는 것은 우리에게 좋지 못하다고, 오히려 우리는 모든 일에 처연히 그러려니 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그것이 우리가 삶을 바라보는 행복한 길이며, 우리 아이들이 나아갈 수 있는 길일 것이라고 말이다.
백주희,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국제비교분석, 200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아이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단순하게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가족의 속에서 사랑을 받는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어야할 것이다. 우리는 가족의 품에서 커가게 되고 가족들과의 유대관계를 통해 사회를 배우고 또 사회를 인식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그리는 이상적인 가족의 모습은 물론 편견이 가득하겠지만 편견이 가득한 이 이상적 가족의 모습 역시도 반드시 틀린 가족의 모습이라 치부할 수 만은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왜 우리가 그를 필요로 하는지, 어떻게 아이들이 이를 인식해야하는지가 가장 핵심이 될 것이다. 안호용, 김홍주,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2000, 한국사회
책은 이야기한다. 이상적 가족이란 없다. 이상한 가족만 남았다. 우리는 그 틀 속에서 틀을 어떻게 깨나가야하는지, 또 그 틀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아야하는지 등을 고려해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바라는 가족의 모습이며, 가족과 함께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일 것이다. 따라서 본인이 만일 가족 계획이 있는 상황이고 가족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면 이상적 가족의 모습을 찾을 것이 아니라 나만의 가족을 위해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그 가족의 모습과 형태가 어떻게 보여지든지 간에 우리는 그 가족의 형태 역시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우리가 바라는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일 것이다.
■ 참고문헌
- 안호용, 김홍주,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2000, 한국사회
- 백주희,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국제비교분석, 200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성미애, \"한국가족 및 친족 개념에 대한 연구: 가족관련 법을 중심으로\", 2009, 대한가정학회지
- 김희경,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2017;2022, 동아시아
얼마 전 조카의 그림에서 가족그리기 숙제를 본 적 있다. 아이가 그린 우리 가족의 모습에는 나는 없었다. 아이에게 물었다. 왜 나는 없어? 아이는 대답했다. 이모는 우리 가족은 아니잖아. 가족은 부모님이랑 나만 이야기하는거야! 라고.
이건 맞는 것인가 틀린 것인가? 우리는 이에 대해 답할 수 없다. 그간 묵인했던 또 폭력으로 방관했던 이 사회전체적 문제를 단순히 바라볼 수 만은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모든 이들이 함께 반성하며 이를 고쳐나가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세상을 바라볼 때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지름길이고 또 다시 생각할 수 있는 방향성일 것이다. 오늘 우리는 이 자리에서 이야기해야한다. 더 이상 옭아매는 것은 우리에게 좋지 못하다고, 오히려 우리는 모든 일에 처연히 그러려니 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그것이 우리가 삶을 바라보는 행복한 길이며, 우리 아이들이 나아갈 수 있는 길일 것이라고 말이다.
백주희,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국제비교분석, 200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아이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단순하게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가족의 속에서 사랑을 받는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어야할 것이다. 우리는 가족의 품에서 커가게 되고 가족들과의 유대관계를 통해 사회를 배우고 또 사회를 인식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그리는 이상적인 가족의 모습은 물론 편견이 가득하겠지만 편견이 가득한 이 이상적 가족의 모습 역시도 반드시 틀린 가족의 모습이라 치부할 수 만은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왜 우리가 그를 필요로 하는지, 어떻게 아이들이 이를 인식해야하는지가 가장 핵심이 될 것이다. 안호용, 김홍주,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2000, 한국사회
책은 이야기한다. 이상적 가족이란 없다. 이상한 가족만 남았다. 우리는 그 틀 속에서 틀을 어떻게 깨나가야하는지, 또 그 틀을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아야하는지 등을 고려해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바라는 가족의 모습이며, 가족과 함께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일 것이다. 따라서 본인이 만일 가족 계획이 있는 상황이고 가족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면 이상적 가족의 모습을 찾을 것이 아니라 나만의 가족을 위해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그 가족의 모습과 형태가 어떻게 보여지든지 간에 우리는 그 가족의 형태 역시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우리가 바라는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일 것이다.
■ 참고문헌
- 안호용, 김홍주,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2000, 한국사회
- 백주희,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국제비교분석, 200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성미애, \"한국가족 및 친족 개념에 대한 연구: 가족관련 법을 중심으로\", 2009, 대한가정학회지
- 김희경,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2017;2022, 동아시아
추천자료
사회문제론4B) 한국사회에서 남성과여성, 가족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사회문제론 B형 가족 고정관념과 가족변화의 모습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 B형 이상한 정상가족 가족이데올로기에 관하여
사회문제론 B형 데이트 폭력의 실태와 심리적 영향
[방통대 공통학과 4학년 성 사랑 사회 B형]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
성사랑사회4공통)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독후감을 쓰시오0k
성사랑사회 2022 참고문헌에 제시된 저서 중 하나[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
(성,사랑,사회, 공통)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의 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