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비평 감상문 김종회 문화비평 문화의 푸른 숲, 도서출판 아르테, 2022를 읽고 비평적 감상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 비평 감상문 김종회 문화비평 문화의 푸른 숲, 도서출판 아르테, 2022를 읽고 비평적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에서 문학을 바라보고 정해진 틀에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앞으로 문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자세로써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것보다 문학이 갖는 의미가 우리에게 숨겨진 보화와 같이 문학의 다양한 존재양식을 중요하게 여겨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 문학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모국어로서 창작되는 문학이 갖는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높게 평가해야 할 것이다. 문학이 옳고 그름 혹은 어렵거나 쉽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작품 그 자체를 이해하고 여러 작품을 접한다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문학 작품을 경험하는 것이 우리가 일상의 삶에 대한 서술과 함꼐 궁극의 의의를 추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접근법이 될 수 있으며 문학이 삶의 목적이 될 수 있는 명제를 탐색하면서 그 본질을 향해 열정과 치열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미 이 책의 저자는 다양한 수필을 쓴 작가들과 그 글들을 통해 스스로 가슴을 열어 보이는 용기가 있으면 주변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 또한 아름다워질 수 있다고 보며 건실한 기대는 글을 읽는 기쁨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어떤 문학의 장르라도 독자로 하여금 가치를 느끼게 만드는데 중요하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현대 사회가 많은 논리와 이념이 충돌하고 있는 격변의 현장 속 우리는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자하며, 서로에 대한 불신이 점차 깊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우리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할 것인지, 우리가 자신의 이익을 내세우면서 약속을 파기하는 것은 후진한 사회로의 발전이자 그러한 인물로 거듭날 경우 볼품 없는 인물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우리가 작은 약속이라도 지키고 삶의 길에 미숙한 인물이 약속과 신의를 지킴으로써 됨됨이를 갖춰야 할 것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우리는 문학을 중요시하게 생각해야 할 필요가 어디서부터 비롯됐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무엇보다 다양한 문학을 통해 우리가 단순히 다양한 작품을 접하는 것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독특한 문장이나 그 작품 속에 녹아든 이야기를 통해 모두가 즐거움을 느끼고 더 나은 삶으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문학 평론가로서의 역할이 단순히 문학을 비평하거나 독자와 작가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분야 자체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모두가 작가와 독자 혹은 비평가의 역할에 한정적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더 다양하게 바라보고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평론을 위해 작품을 이용만 할 것이 아니라 문학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며 앞으로 어떻게 발전하고 문학을 계승해나갈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3. 결론
문학비평가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많다. 이에 비평가들의 역할은 그 중간을 이어 본래 문학이 갖는 형질이나 의미를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움을 줄 수 있는 역할로써 존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들을 통해 문학이 갖는 의미가 단순히 작가들이 자신의 이야기 혹은 내재한 함의들을 보여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작품을 접함으로 인해 우리는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그 가치에 대해 다시 느끼게 만든다는 것이다. 많은 작품들에 대한 비평을 통해 우리가 문학을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대하는 태도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생각하게 만들며, 문학작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보다 우리가 함께 문학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 삶 곳곳에서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그것의 힘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어렵고 차갑다고 생각했던 문학 비평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문학에 더 가까워져야 할 이유 그리고 그에 대한 합당한 근거를 통해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의 입장에서도 충분하게 생각해볼 기회를 만들어줬다. 또한 문학을 통해 우리가 행복하고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문학이 주는 가치가 생각보다 더 크고 이를 잘 계승하는 것이 우리가 앞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 중 하나이며, 문학비평가의 역할 그리고 작가와 독자의 역할도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4. 참고문헌
1) 김종회. 문화의 푸른 숲. 경기도: arte(아르테), 2022.
http://www.riss.kr/link?id=M16258999

키워드

독서,   비평,   감상문,   김종회,   문화비평,   문화의,   푸른
  • 가격4,1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3.03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