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강독 3학년) 이생규장전과 최생우진기를 읽고 각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주제 등을 설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소설강독 3학년) 이생규장전과 최생우진기를 읽고 각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주제 등을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생규장전
1) 작품의 주제
2)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1) 이생
(2) 최랑
3)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1) 만남과 헤어짐의 중첩구조
(2) 시련
(3) 현실 대응

2. 최생우진기
1) 작품의 주제
2)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1) 최생
(2) 증공
3)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1) 선계체험
(2) 액자 속의 주인공
(3) 용궁회진시(龍宮會眞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나 그 우의가 정치적인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닌 신광한의 삶에서 과거를 반추하고자 만든 서사라고 보인다. 따라서 이 작품은 등장인물들의 위치와 기능을 재고하면서 신광한을 비춰보아야만 작가의 입장을 더 정확히 파악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바위에 오르지 못한 행위’는 어느 특정 시점 혹은 사건에서의 행위로 치환해서 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체의 삶을 돌이켜 보았을 때 언제나 그리고 매일같이 현실과 타협하는 텍스트 밖 신광한과 증공 혹은 우리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결국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을 지속적으로 반성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반성이란 최생을 무조건적으로 모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 잘못되었다고 ‘자각’하는 것에 있다. 다시 말해 작품에 나타난 반성의 실체는 전범이 될 등장인물의 모방과 함께 작가 혹은 독자의 ‘修養’에 중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품의 말미에서 이상세계에 도달하지 못한 증공이 이 이야기를 우리에게 전해주는 것은 조금이나마 최생 처럼 살라는 작은 가르침과 자신의 행동하지 못한 것에 대한 일종의 반성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중요한 부분을 간취할 수 있다. 바로 종교적 환상체험 서사에서 볼 수 있었던 주인공의 변화가 여기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종교적 환상체험에서는 기존의 가치를 전복시킴으로써 자기 내부의 탐색을 시도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증공의 이러한 면모가 그와 닮아 있다. 선계체험을 욕망하던 그가 최생의 선계체험 이야기를 전해 듣고 자기 내부의 욕망을 인식한 후 경계함으로써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2) 액자 속의 주인공
액자 속의 주인공인 최생이 추구하는 가치관이나, 소망을 위해 실행하고 체험했던 일들이 어떤 결과로 나타나 동선에게서 선약을 받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다. 먼저, 최생의 인물됨은 기개가 있고 영화와 이익을도외시하며 산수 유람하기를 좋아하여, 사람들이 세상 물정에 어둡다고 비웃음을 받는 사람이다. 또, 유학을 專業으로 했으나 이루지 못해 버리고 산수를 즐기다가 망령되이 바른 진리 구하기에 뜻을 두어 부처를 배우는 사람인 증공과 더불어 노닐었다. 증공과 더불어 두타산 무주암에 우거하고 산수를 두루 유람했지만 오직가 보지 않은 곳이 용추동이 었다. 최생은 眞人이 그곳에 있다는 사실을 증공에게 듣고 증공을 졸라 탐색의 길을 나선다. 부처님의 힘을 믿고 자주 갔었던 증공과는 달리 최생은 나는 듯이 절벽에 올라 두루 선경을 구경한다. 그리고 절벽 아래로 떨어졌다가 우여곡절 끝에 간신히 동굴을 찾아 水府로 들어간다. 水界의 경험과 동선과의 만남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다시 현실로 돌아와 不知所從한다.
(3) 용궁회진시(龍宮會眞詩)
최생이 용궁세계에 들어가 기이한 만남을 노래한 용궁회진시(龍宮會眞詩)에 세상의 선비가 임금에게 아첨하는 자가 많으니, 인사(人事)를 닦지 않으면 요탕(堯湯) 임금도 귀하다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미 세상에는 가르침이 쇠하고 도덕이 한미해졌으니, 이러한 까닭에 동선도 인간세상을 멀리 한 지 300년이 되었음을 슬퍼하는 내용이 나온다. 용왕은 아첨을 하며 잘못된 일들을 모두 하늘의 탓으로 도리는 유자들을 비판하고 있으며 세상의 교화가 쇠퇴하고 도덕인 희미해져 백성들의 삶이 애처롭다고 한탄하고 있다. 또한 그런 세속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생이 지은 시에서는 임금은 하늘의 뜻을 옳게 받들고 백성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는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즉 치국(治國)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으로 임금으로서 능동적 역할을 포기하는 순간 정치는 어지러워지고 세상은 험난해진다는 것이다. 또 신선이 될 분수도 안 되면서 선약을 먹고 신선이 되려고 하는 사람에게 그 약은 오히려 독이 된다는 동선(洞仙)의 말을 통해 분수에 넘치는 과도한 욕망을 경계한다.
<최생우진기>는 유자(儒者)로서 자기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고 무주암에 은거하는 최생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이상향인 선계를 설정하고 이를 동경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작가의 이상적 치국의 자세와 현실인식을 보여주는 작가의 한계 의식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이생규장전]과 [최생우진기]를 읽고 각 작품의 주요 인물들의 특징, 작품 내용에서의 흥미로운 점, 주제 등을 설명해 보았다. 「이생규장전」에서 또한 두 주인공의 문예 취향이 공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로의 사랑이 시작되고 애정을 돈독히 하고 유대를 굳건히 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바로 시를 주고 받는 행위인 것이다. 도일한 문예 취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생과 최랑은 강한 정신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강한 공감대는 이생이 죽을 때까지 최랑에 대한 사랑을 변치 않고 간직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생우진기는 기존의 작품들과는 달리 몽유액자형식을 빌지 않고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액자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것은 허구적인 이야기를 보다 사실적으로 유도하고 서술에 대한 강한 신뢰도와 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액자구성을 시험하고 있다. 이는 주제 의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신광한이 의도한 결과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김보경 (2011). 한국 화도시 연구 서설. 중국문학.
신상필, 「기재기이의 성격과 위상」, 『민족문학사연구』, 2004.
우쾌재 외,『고소설 연구사』,월인,2002.
문범두,「최생우진기의 구조와 의미」,『어문학』72, 2001.
권도경,「기재기이의 전기소설사적 의의 연구」,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000.
김자현,「<이생규장전>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박현호,「『금오신화』의 문학교육론적 연구-<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주용, 「「이생규장전」의 내용 분석과 교육적 의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김태은, 「한문소설 지도 방안 연구-「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문복희, 「이생규장전」의 삽입시로 본 인물과 작품의 구도」, 『인문과학연구』 제31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 가격6,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3.03.03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