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인문어학음소의 정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육]인문어학음소의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성학의 정의
2. 음성학의 종류
3. 언어의 말소리가 발생하는 경로
4. 음운론의 정의
5. 음운론에서의 기본적인 개념들
6. 음운론의 역사
7. 음성학과 음운론의 연구사
8. 음운론의 윤곽
9. 음소의 개념과 음소 설정 원리
10.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본문내용

어서
심리적 각도와는 정반대의 면으로 음소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그 분포를 기준으로 음소를 정의한 학자의 대표적인 사람이 존즈이다. 그는, “한 음소란, 어떤 언어에서 쓰이는 음성들의 가족인데, 그 음성들은 성격으로 서로 관계가 있고, 그리고 그 가운데의 어떠한 음성도, 한 낱말에 있어서, 다른 음성과 같은 음성적 환경에 쓰일 수 없는 것이다.”이 정의 방법은 심리 현상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소리의 분포에 기대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곧 앞에서 우리가 한국말의 [p]와 [b]의 예로써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음성들의 분포가 배타적일 때, 그 음성들은 한 음소의 가족으로 묶인다는 것이다. 다만 어떠한 소리라도 그렇게 될 수 있느냐 하면 그런 것이 아니라, 그 소리가 서로 비슷해야 한다는 것이다.
③ 기능의 각도
존즈는, 음소의 본질을 그 분포에 중점을 두고 정의한 것은 사실이나, 그는 음소의 대립이 말의 뜻을 분화하는 힘을 가졌다는 것을 결코 소흘하게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소리가 말의 뜻을 구별해 주어야 한다는 그 기능의 각도로 음소를 정의하는 일은 음소의 본질로 보아 매우 중요하다. 소리는 말의 뜻을 나타내되, 말들을 서로 구별해 주는데 그 존재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각도에서 그 기능에 중점을 두고 음소를 정의한 대표적인 언어학자는 트루베츠코이다. 그는 한 언어에서 ‘지적인 뜻’을 분화할 수 있는 모든 소리의 대립을 음운학적 대립이라고 하고, 이러한 대립에 있어서의 각 부분을 ‘변별적 음운학적 단위’라 한다.
④ 실재론과 형식론
트루베츠코이는 음소의 본질을, 말의 뜻을 분화하는데 관여하는 소리의 대립으로 파악하려 하였다. 이에 대해 존즈는 음소를 실질적인 소리인 음성의 묶음이라는데 중점을 두고, 쿠르트네이는 음소를 실질적인 소리에 대응하는 심리적인 소리로 보았다. 존즈와 쿠르트네이는 다 같이 소리의 내재적 특질에 중점을 두고 음소의 본질을 보려는 점으로 해서 공통점을 띠고 있다.
2) 변별적 소리바탕의 묶음으로 음소의 특질
① 변별적 소리바탕과 비변별적 소리바탕
트루베츠코이가 음소의 본질을 그 기능에 중점을 두고 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는, 음소가 말의 뜻을 분화하는 데는 그 음소가 가지고 있는 모든 소리바탕이 다 이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바탕들 가운데 몇 가지만이 의한다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모든 음성이 다 가지고 있는 보편적 소리바탕에 대한 그렇지 않은 특수적 소리바탕, 그 한 바탕이라도 바꾸면 다른 음성이 되어 버리는 본디 바탕에 대한 그렇지 않은 뜨내기 바탕 등 몇 가지 소리바탕이 분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의 관점은 순수한 음성학적 관점이다. 곧 음성의 순수히 물질적인 성격만을 고려한 것이지, 그 말의 뜻을 나타내어 주는 데 관여하고 관여하지 않는 점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음소의 본질적인 방면에서 보면 말의 뜻을 분화하는 데 관여하느냐 않느냐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소리바탕은 뜻을 분화하는 데 관여하는 바탕과 그렇지 않은 바탕으로 나누는 것이, 음소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것이다.
10.음성학(phonetics)과 음운론(phonology)의 차이
음성학과 음운론은 둘 다 음(sound)을 연구한다는 데에 일치하지만 우선 그 단위가 각각 음성과 음소(또는 음운)인 점에서 다르다. 인간의 언어음성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은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어도 연구의 관점과 방법에 있어서 다소간 차이가 있으므로 자연 대상도 달리 정의되는 것이다. 음성학은 입을 통해 생리적으로 발화된 음성을 객관적으로 정밀하게 기술하려고 한다. 따라서 음성의 실질적이고 물리적 특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음성학에서 다루는 음성들은 모두 동등한 가치를 가진 실체들이다. 음성학의 연구 대상인 음성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단위이다. 어떤 음성이 치조음이라거나 파찰음이라거나 하는 사실은 그 음성이 조음되는 과정을 연구하거나 그 음향적 특징을 음성 기기를 통해서 연구함으로써 밝혀낼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실은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통용된다. 그런데 음성학적으로 분명히 다른 두 음성이 어떤 언어에서는 같은 소리인 것처럼 취급될 수 있다. 그 음성이 같은 소리로 취급된다는 것은 음운론적으로 같은 음소라는 뜻이다. 음운론적으로 서로 다른 음소가 되려면 음성학적으로 달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으로 그 언어에서 서로 다른 소리인 것처럼 쓰여야 한다. 이처럼 음소라는 것은 음성들이 한 언어에서 어떻게 쓰이는가, 즉 어떤 기능을 가지는가 하는 것을 중시한다. 서로 다른 소리인 것처럼 쓰인다는 것은 뜻을 구별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을 변별적 기능이라 한다.
또한, 음운론에서 문제로 하고 있는 음성은 입을 통해 발화된 음성 자체가 아니라 귀를 통해 의식에 지각되는 다소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성질 을 지닌다. 발화된 모든 음성들이나 음성적 성질들이 모두 귀를 통해 지각되고 인지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음성들 상호간에 가치의 차이가 있다. 지각되어 인지되는 음성들은 한 언어의 체계를 구성하여 뜻을 구별하는 기능을 지니지만, 체계를 구성하지 못하는 음성들은 이러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고 주변적이거나 잉여적인 가치밖에 없다.
음운론에서 다루는 음성들은 바로 체계를 구성하는 기능을 지닌 음성들, 즉 음소(phoneme) 이다. 그러나 음성학에서는 음성들이 체계를 구성하느냐, 언어적으로 유의미한 기능을 갖느냐의 여부에 상관없이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든 음성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소쉬르의 랑그와 빠롤의 개념을 빌어 표현하자면 음성학은 빠롤의 음성을, 음운론은 랑그의 음성을 연구한다. 음성표기는 [ ]에 넣어 표기하고 음운표기는 / /에 넣어 표기한다.
참고문헌
이건수 2000, 언어학 개론, 신아사,
김진우 1985, 언 어, 탑출판사
허 웅 1981, 국어음운학, 샘문화사
오주영, 박종갑 1996, 언어학개론, 경성대학교 출판부
신지영 2000, 말소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김방한 1992,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허웅 1981. 언어학-그 대상과 방법-. 샘문화사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3.05
  • 저작시기201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