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매의 원인과 증상
(1) 치매의 원인과 관련 요인
(2) 치매의 증상
2) 치매 환자의 망상 대처 요령
출처 및 참고문헌
(1) 치매의 원인과 관련 요인
(2) 치매의 증상
2) 치매 환자의 망상 대처 요령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그 불안을 아무도 알아주지 않을 경우 불만으로 가득 차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치매 환자와 함께 물건을 찾아보고, 환자를 안심시켜 주어야 한다. 치매 환자에게 그 생각은 망상이라고 꾸짖거나 무시해서는 안 된다.
다른 경우도 살펴보자. 치매 환자가 처방받은 약을 독약이라고 주장하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가 처방받은 약이 알약이라면 그것을 가루로 만들어서 몰래 다른 음식과 함께 주거나 달콤한 꿀과 섞어서 먹여보는 것도 좋겠다. 치매 환자가 거부함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약을 먹이게 되면 오히려 좋지 않다.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을 하고, 약을 먹을 수 있도록 설득한다. 설득이 되지 않을 경우 다른 음료에 타서 함께 먹게 한다거나 앞서 언급한 대로 다른 음식에 섞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치매 환자가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음식에 독약을 넣어서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망상을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때는 치매 환자가 좋아하는 장소로 함께 가서 식사를 하거나 잠시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기분을 풀어 주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예로 치매 환자가 가족 구성원들의 물건을 가져와서 자신의 물건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에는 강제로 뺐어서는 안 된다. 치매 환자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물건이 자신의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에게 아무리 그것이 본인의 것이 아니라고 설명을 해도 소용이 없다. 억지로 뺏으려 하거나 설명을 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보다는 치매 환자가 물건을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런 다음 시간이 지나서 치매 환자가 그 물건에 관심이 없어지게 되면 그것을 가져오면 된다.
슈퍼마켓이나 이웃집에 방문하여 물건을 훔치고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치매 환자에게는 남의 물건을 도둑질했다는 인식이 전혀 없다. 그렇게 때문에 치매 환자를 나무라고 비난해서는 안 된다. 물건의 주인에게 우선 양해를 구한 뒤에 치매 환자가 물건을 잠깐 가지고 있게 한 뒤 시간을 흘러서 주인에게 다시 돌려주는 편이 좋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지남력 장애, 「표준국어대사전」
2) 치매, 두피디아.
3) 치매환자의 가족을 위한 정보, 건강정보,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보털
4) 한성간, “치매 환자 ‘망상’ 치료 약 있다”, 연합뉴스, 2019년 12월 6일.
5) 9강_강의록, 7~27쪽.
다른 경우도 살펴보자. 치매 환자가 처방받은 약을 독약이라고 주장하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가 처방받은 약이 알약이라면 그것을 가루로 만들어서 몰래 다른 음식과 함께 주거나 달콤한 꿀과 섞어서 먹여보는 것도 좋겠다. 치매 환자가 거부함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약을 먹이게 되면 오히려 좋지 않다.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을 하고, 약을 먹을 수 있도록 설득한다. 설득이 되지 않을 경우 다른 음료에 타서 함께 먹게 한다거나 앞서 언급한 대로 다른 음식에 섞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치매 환자가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음식에 독약을 넣어서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망상을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때는 치매 환자가 좋아하는 장소로 함께 가서 식사를 하거나 잠시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기분을 풀어 주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예로 치매 환자가 가족 구성원들의 물건을 가져와서 자신의 물건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에는 강제로 뺐어서는 안 된다. 치매 환자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물건이 자신의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에게 아무리 그것이 본인의 것이 아니라고 설명을 해도 소용이 없다. 억지로 뺏으려 하거나 설명을 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보다는 치매 환자가 물건을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런 다음 시간이 지나서 치매 환자가 그 물건에 관심이 없어지게 되면 그것을 가져오면 된다.
슈퍼마켓이나 이웃집에 방문하여 물건을 훔치고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치매 환자에게는 남의 물건을 도둑질했다는 인식이 전혀 없다. 그렇게 때문에 치매 환자를 나무라고 비난해서는 안 된다. 물건의 주인에게 우선 양해를 구한 뒤에 치매 환자가 물건을 잠깐 가지고 있게 한 뒤 시간을 흘러서 주인에게 다시 돌려주는 편이 좋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지남력 장애, 「표준국어대사전」
2) 치매, 두피디아.
3) 치매환자의 가족을 위한 정보, 건강정보,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보털
4) 한성간, “치매 환자 ‘망상’ 치료 약 있다”, 연합뉴스, 2019년 12월 6일.
5) 9강_강의록, 7~27쪽.
추천자료
[노인간호학]1.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감각(시각, 청각 등), 지각(기억력, 학습능력, 문제...
노인간호학 2020 1.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감각(시각, 청각 등) 지각(기억력, 학습능력, 문...
생활과건강] 1. 단계별 질병예방 행위 중 1차 예방행위의 개념 2) 1차 질병예방행위 필요성과...
[생활과건강 2021] 1. 질병예방행위는 잠재적이거나 실제적인 질병으로부터의 위협 및 그로 ...
[생활과건강] 2021년 중간과제물, 1. 질병예방행위 1) 1차 예방행위의 개념 2) 가장 필요하고...
노인간호학 )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감각(시각, 청각 등),지각(기억력, 학습능력, 문제해결...
노인간호학 ) 치매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경인지기능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 중 5가...
노인간호학 ) 치매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경인지기능장애 중 5가지를 선택하여 각각을 상...
노인간호학 치매환자 대상자를 자신의 주변에서 확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