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옥수수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
1) 옥수수 잎
2) 옥수수 줄기
3) 옥수수 뿌리
2. 콩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
1) 콩의 잎
2) 콩의 줄기
3) 콩의 뿌리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옥수수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
1) 옥수수 잎
2) 옥수수 줄기
3) 옥수수 뿌리
2. 콩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
1) 콩의 잎
2) 콩의 줄기
3) 콩의 뿌리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왕성하다. 토양 중 콩 근류균의 밀도는 콩의 재배연한과 관계가 있는데, 수년간 콩을 재배하지 않았거나 전혀 작물을 재배하지 않았던 신개간지 등에는 인공접종으로 근류균을 보충하지 않으면 충분한 뿌리혹의 형성과 질소고정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질소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① 품종에 따라서 뿌리혹박테리아의 착생량과 질소 고정정도에 차이가 있다. 뿌리혹박테리아를 착생하지 않고 질소고정을 거의 하지 않는 품종도 있다. ② 질소 비료주기(시비)를 과도하게 하면 뿌리혹 착생이 줄어들게 되므로 적정한 질소 시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제초제 및 살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뿌리혹 착생을 감소시키나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④ 이밖에도 토양의 pH, 심는 간격, 지온, 수분, 비옥도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토양의 pH가 지나치게 낮은 산성토양에서는 뿌리혹이 잘 착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강산성 토양은 석회를 시용하여 pH를 높여주는 것이좋다.
Ⅲ. 결 론
옥수수 줄기는 한 대씩 나며, 곧추서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높이는 4m에 달한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60~100cm, 폭 8~10cm이며,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주름이 잡힌다. 잎혀는 길이 2mm쯤이고 막질로 되어 있다. 꽃은 암수한포기로 핀다. 수꽃은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수꽃 작은이삭은 길이 1cm쯤이고 2개의 작은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꽃은 원통 모양이며, 대가 없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술대는 길며, 꽃차례를 감싸는 포 밖으로 나와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영과로 구형이며, 지름 6mm, 보통 노란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색깔뿐 아니라 모양이나 크기도 다양하다.
옥수수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길이가 25~100cm, 너비는 2~10cm에 달하는데 윗 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쳐진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자웅이화서(雌雄異花序)로서 수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며 3개의 수술만 가진 수꽃이 여러개 달린다. 암이삭은 줄기 마디에 1~3개 달린다. 뿌리는 여러 개로 갈라진 뿌리가 튼튼한 줄기 하나를 지탱한다.
콩의 용도는 매우 다양한데 사람이 직접 섭취하는 식용, 콩기름 및 콩깻묵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 수용성 페인트, 비누 및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공업용, 콩, 콩깻묵, 풋베기콩 및 콩깍지를 이용하는 사료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콩은 기생하는 근류균으로부터 질소를 공급받는데, 생육 초기에는 질소비료를 필요로 하고, 일반적으로 지력이 좋은 쪽이 수확량이 많다. 개화기까지 2-3회의 잡초방제와 쓰러짐 방지를 위한 중경·배토를 한다.
수확은 잎이 말라서 떨어지기 시작하고 꼬투리가 성숙한 때에 하는데, 여름콩은 7월 중순부터 8월 상순, 가을 콩은 10월 상·중순이 적기이다. 수확할 때는 면적이 좁으면 뿌리째 뽑기도 하지만, 면적이 넓으면 낫으로 베는 요령으로 꺾는다. 콩이 자라는 데 알맞은 온도는 25-30℃이며, 습기가 알맞고 온도가 높은 것이 좋다. 콩은 10월 상·중순쯤 꼬투리가 성숙하면 수확한다. 아침이나 저녁때 베어 다발로 묵어 두었다가 탈곡기로 타작한 다음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말려서 저장한다.
참고문헌
-공용, 2018, 식용작물학2, 콩의 용도별 특성을 비교하고, 최근 육성된 품종의 특성
-권태완(1995), 콩박사 권태완과 함께 떠나는 콩 건강여행, 성하출판
-손미선(2004), 잘먹고 잘사는법 콩, 김영사
-이정호(2001), 알콩달콩 신비한 된장이야기, 오성출판사
-조재영 외, 향문사, 1980, 전작(田作)
-조재영 외, 향문사, 1983,작물학개요
-이성우, 『한국의 콩연구』, 한국콩연구학회, 1984, 대두문화는 동방에서
① 품종에 따라서 뿌리혹박테리아의 착생량과 질소 고정정도에 차이가 있다. 뿌리혹박테리아를 착생하지 않고 질소고정을 거의 하지 않는 품종도 있다. ② 질소 비료주기(시비)를 과도하게 하면 뿌리혹 착생이 줄어들게 되므로 적정한 질소 시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제초제 및 살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뿌리혹 착생을 감소시키나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④ 이밖에도 토양의 pH, 심는 간격, 지온, 수분, 비옥도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토양의 pH가 지나치게 낮은 산성토양에서는 뿌리혹이 잘 착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강산성 토양은 석회를 시용하여 pH를 높여주는 것이좋다.
Ⅲ. 결 론
옥수수 줄기는 한 대씩 나며, 곧추서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높이는 4m에 달한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60~100cm, 폭 8~10cm이며,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주름이 잡힌다. 잎혀는 길이 2mm쯤이고 막질로 되어 있다. 꽃은 암수한포기로 핀다. 수꽃은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수꽃 작은이삭은 길이 1cm쯤이고 2개의 작은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꽃은 원통 모양이며, 대가 없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술대는 길며, 꽃차례를 감싸는 포 밖으로 나와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영과로 구형이며, 지름 6mm, 보통 노란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색깔뿐 아니라 모양이나 크기도 다양하다.
옥수수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길이가 25~100cm, 너비는 2~10cm에 달하는데 윗 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쳐진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자웅이화서(雌雄異花序)로서 수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며 3개의 수술만 가진 수꽃이 여러개 달린다. 암이삭은 줄기 마디에 1~3개 달린다. 뿌리는 여러 개로 갈라진 뿌리가 튼튼한 줄기 하나를 지탱한다.
콩의 용도는 매우 다양한데 사람이 직접 섭취하는 식용, 콩기름 및 콩깻묵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 수용성 페인트, 비누 및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공업용, 콩, 콩깻묵, 풋베기콩 및 콩깍지를 이용하는 사료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콩은 기생하는 근류균으로부터 질소를 공급받는데, 생육 초기에는 질소비료를 필요로 하고, 일반적으로 지력이 좋은 쪽이 수확량이 많다. 개화기까지 2-3회의 잡초방제와 쓰러짐 방지를 위한 중경·배토를 한다.
수확은 잎이 말라서 떨어지기 시작하고 꼬투리가 성숙한 때에 하는데, 여름콩은 7월 중순부터 8월 상순, 가을 콩은 10월 상·중순이 적기이다. 수확할 때는 면적이 좁으면 뿌리째 뽑기도 하지만, 면적이 넓으면 낫으로 베는 요령으로 꺾는다. 콩이 자라는 데 알맞은 온도는 25-30℃이며, 습기가 알맞고 온도가 높은 것이 좋다. 콩은 10월 상·중순쯤 꼬투리가 성숙하면 수확한다. 아침이나 저녁때 베어 다발로 묵어 두었다가 탈곡기로 타작한 다음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말려서 저장한다.
참고문헌
-공용, 2018, 식용작물학2, 콩의 용도별 특성을 비교하고, 최근 육성된 품종의 특성
-권태완(1995), 콩박사 권태완과 함께 떠나는 콩 건강여행, 성하출판
-손미선(2004), 잘먹고 잘사는법 콩, 김영사
-이정호(2001), 알콩달콩 신비한 된장이야기, 오성출판사
-조재영 외, 향문사, 1980, 전작(田作)
-조재영 외, 향문사, 1983,작물학개요
-이성우, 『한국의 콩연구』, 한국콩연구학회, 1984, 대두문화는 동방에서
추천자료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교사용)
[과외]1.생물 땅에서사는식물-2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찰, 꽃, 꽃 관찰, 줄기관찰, 잎 관찰, 뿌리 관찰, 양파 관찰, 줄기, 잎, 뿌리, 양파, 자연...
식용작물학2B)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 가능한 이유와 질소고정에 대하...
식용작물학24B) 콩은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하다. 그 이유와 질소고정에...
식용작물학24공통) 콩의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다 발육하지못하고 발육초기 떨어지는현상을 무...
2020년 2학기 재배식물생리학 기말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2022년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2 기말과제물)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