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1.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용어 문제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

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문화의 이해
1. 언어와 문화
2. 문화적 차이에 의한 표현의 차이

Ⅲ.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교재 편성
1. 교재 편성시 고려 사항
2. 현행 한국어 교재 분석

Ⅳ. 결 론

본문내용

, 유사점이 있는 이야기를 제시하면 언어상의 차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한 표현상의 차이를 학습자가 쉽게 배울 수 있다.
다음은 한국의 전통 사상과 외국인의 사상을 비교 대조한 글을 예
) 예문은 필자가 월간 조선에서 뽑아 학습자가 외국인인 경우에 활용할 한국어 교재의 예문으로 실을 경우를 고려하여 윤문한 글이다.
로 제시해 보겠다.
이솝 우화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꿀벌을 치는 주인이 집을 비우고 있는 동안 도둑이 들어 벌통 속의 꿀을 훔쳐갔다. 돌아온 꿀벌들이 꿀이 없어진 것을 알고 몹시 슬퍼하고 있는 주인에게 달려들어 주인을 마구 쏘아댔다.
"꿀벌 훔쳐간 도둑은 못쏘고 저희들을 걱정하고 있는 나를 쏘다니!"하고 주인은 한숨 쉬었다. 이처럼 유럽의 꿀벌들은 의리가 없다.
그러나 동방예의지국에서 태어나서인지 한국의 토종 꿀벌은 의리가 있고 도덕적이다.
밀양사람으로 꿀벌을 기르는 자가 있었다. 집안에 슬픈 일이 있었던 어느 날 이 주인이 벌통 속에 들어가보니 여왕벌 곁에 뭇벌들이 한마리도 남김없이 죽어 있었다. 주인이 이를 보고 정중하게 제사를 지내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와 같이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모습으로 꿀벌이 묘사되어 있다.
위의 글을 읽고 전래 동화에 제시된 동·서양의 꿀벌의 묘사를 비교하여 보게 한다. 또한 내용에 대한 반박이나 찬성을 제시해 보도록 하여 토론의 거리로 삼게 한다. 같은 사물을 바라보는 동·서양의 사고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도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Ⅳ. 결 론
급진적인 한국 경제의 발전과 한국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학, 동양학을 전공하기 위하여 외국인들의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고 외국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적 차이가 있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하기 위하여 문화와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재 편성의 고려사항과 교재 편성의 사례를 제시하는 것은 한국어 교육에 필요하리라는 취지 아래 본고의 작업을 하였다.
한 집단이 갖는 넓은 의미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언어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외국어에 대한 이해도 커질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있어 문화의 이해가 반드시 교육 목표의 하나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진정한 의미에서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려면 언어의 뿌리라 할 수 있는 문화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3장 1절에서는 교재 편성시 고려 사항을 이론상으로 살펴보았다.
교재 외적인 조건으로는 학습자 변인과 교사 변인을 고려해야 하고 교재 내적인 요인으로는 어휘 선정 시에 구어체 중심의 기초어휘를 선정해야 하고 문법 설명 시는 혼동하기 쉬운 유사한 문법 용례를 함께 제시하고, 문화적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언어 사용의 양상을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제시해야 한다. 비디오나 컴퓨터를 이용한 보조 자료의 제시도 필요하다.
3장 2절에서는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I, Ⅱ, Ⅲ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에 대한 이해가 동반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교재 편성시 본문의 내용은 우리 언어 체계를 고려한 구성이 되어야 한다.
한국어는 주어 중심의 언어가 아니다. 주어가 생략되어도 문장이 되는 언어이다. 그러므로 영어처럼 주어의 존재와 지정을 뒷받침해 주는 '-이다' 동사를 먼저 가르칠 필요는 없다. 학생이 쉽게 이해하리라고 생각되는 문형부터 시작하면 무난할 것이다. 한국어의 경우는 완전한 문형 습득 이전에 우선 의사소통부터 할 수 있게 동작동사의 제시부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단계의 본문 제시에 동사 중심의 제시와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 서법이다. '-ㅂ니다'를 먼저 제시할 것인지 '-어/아요'체를 제시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한국어I에서는 '-어/아요'체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난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현대인의 어법에서 '-ㅂ니다'보다 '-어/아요'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읽을 거리에서는 민간전래 동화나 고전 소설, 판소리 등을 쉬운말로 윤문하여 제시하거나 영어 번역으로 읽을거리를 제시하여 우리 문화에 대한 친근감을 주는 것이 좋겠고 한국의 전통 사상과 외국인의 사상을 비교 대조한 설명문이나 논설문을 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로빈훗과 홍길동전, 신데렐라와 콩쥐팥쥐 이야기를 대조하여 서양인의 사고 방식과 한국인의 사고 방식의 차이를 실감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시대와 문화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구비 전승된 문학작품을 다시 쓴다거나 외국 소설을 한국 현실에 맞춰 번안한 작품을 실을 수도 있다.
< 참 고 문 헌 >
고영근(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 言語敎育 제 6권 1호, 서울大學校 語學硏究所.
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이론적 배경, 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육한글 4, 한글학회.
박갑수(1994), 이중언어교육의 과제, 교육월보 146, 교육부.
박명석(1980), 언어와 문화, 외국어교육 논문집, 한국외국어대학 외국어연수원.
백봉자(1988), 기초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무엇부터 다루는 것이 좋은가? -동사류어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글 제 201, 202호, 한글학회.
백봉자(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한글학회.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편(1992), 한국어 KOREAN I, 대한민국문화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편(1992), 한국어 KOREAN Ⅱ, 대한민국문화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편(1992), 한국어 KOREAN Ⅲ, 대한민국문화부.
이계순(1980), 외국어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그 교육방향, 외국어교육 논문집, 한국외국어대학 외국어연수원.
이영숙(1990), 수동문 구문의 대조분석, 언어연구 제 9집, 경희대학교.
이정노(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문제, 교육한글 4, 한글학회.
John & Soars(1994), HEADWAY, pre-intermediate, Oxford university press.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0.12.09
  • 저작시기200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