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언어이해론을 위한 근본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끄는 글

2. 개념과 범주의 설정

3. 매체언어의 실현

4. 매체언어의 이해와 교육적 고려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발전된 매체언어 읽기 지도의 목표와 방법이 적용된다.(2단계)
발전된 수준의 매체언어 읽기 지도가 이루어지면, 이 활동은 의존적인 방식에서 독립적인 방식으로 옮겨가며 피드백된다. 이를 심화된 수준의 매체언어 읽기 지도라 하겠다. 심화된 수준의 매체언어 읽기 지도에서는 앞서 제시했던 질문들을 아동 스스로 다시 던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는 일을 한다. 예컨대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교사는 지금까지 읽은 동화책과 만화 영화로 된 「정글북」을 대신하여 소설 「톰소여의 모험」을 제시한다. 매체언어에 대한 파악을 위해 잠시의 시간을 준 다음, 아동에게 어떤 방식으로 무엇에 초점을 두고 읽을 계획인지 물어 본다.
ㅇ 이 책에는 어떤 종류의 글이 실려 있다고 생각하는가.
ㅇ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인가.
ㅇ 책의 제목에서 어떤 이야기가 실려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게 되었는가.
ㅇ 그렇다면 무엇에 초점을 두고 읽는 것이 좋겠는가.
ㅇ 이 이야기가 영화가 아닌 책에 실려 있는 만큼, 어떻게 읽으면 흥미 있고 즐겁게 읽을 수 있겠는가.
이런 질문들에 대한 아동의 답변은 앞서의 두 수준의 매체언어 읽기 지도에서 아동이 답할 답변과는 성격이 다르다. 여기서 아동은 이제 그 자신이 주도하는 매체언어 읽기 활동에 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아동이 적용할 읽기 방법이나 전략을 미리 공표(公表)하는 시간을 갖는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읽기의 특성상 그 과정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에, 유일하게 교사가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는 단서를 얻게 되는 것이 이 시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읽기에 들어가면, 아동은 자신이 내세운 가설을 강화하거나 수정하면서 더 풍부하고 충실하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읽기의 과정은 앞의 두 수준의 매체언어 읽기 지도 과정에서 교사가 던졌던 질문들을 스스로 묻고 답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여기까지 심화된 매체언어 읽기 지도의 목표와 방법이 적용된다.(3단계)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읽기 개념의 확장은 매체언어와 어떤 방식으로 읽기가 만나게 되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매체언어 읽기 지도의 목표와 방법도 또한 위계화될 수 있다. 이를 매체언어에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다르게 명명(命名)해 본다. 그 가운데 하나는 고전적 읽기의 개념이 담긴 <매체에 의한 읽기>이고, 또 하나는 주로 읽기의 대상으로서 매체의 방식과 특성에 초점을 둔 <매체에 대한 읽기>이며, 나머지 하나는 읽기의 내용과 방법에 초점을 둔 <매체를 통한 읽기>이다. 이것들은 다음과 같이 도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읽기 전 과정으로서 매체 읽기
읽기 과정으로서 매체 읽기
확장된 매체 읽기
(매체에 의한 읽기)
(매체를 대한 읽기)
매체를 통한 읽기
5. 맺음말
지금까지 필자는 매체언어 읽기의 이론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중심적 논점들을 밝혀왔다. 하지만 본고를 통해 하나의 이론을 제시하기보다는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제기를 했다고 생각한다. 이는 후속되기를 기대하는 다양한 입장들의 개진과 검증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뜻에서이다. 변화하는 매체언어 환경 속에서 향후의 독서이론이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독서학계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어쩌면 매체연구, 어쩌면 커뮤니케이션이론이 독서이론을 대체하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되고, 안 되고 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독서이론이 매체언어의 속성과 작용 및 효과를 합당하게 다룰 수 있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매체언어 읽기의 이론을 전통적인 글쓰기를 통해 검토한다는 것이 꽤 역설적으로 보인다. 이것이 광야에서 뒤에 올 구세주를 증거하고 있는 요한의 운명처럼 독서이론에 주어진 근본적 한계일지 어떨지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닐까. 이와 관련하여 학술적 글쓰기 모델에 관한 점증하는 문제제기는 비단 글쓰기 이론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이것이 필자가 '매체언어이해론'에 국한하여 논의하게 된 또 다른 이유이다.
참고문헌
Najjar,L.J.(1996), Multimedia information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5, 129-150.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New York: McGraw-Hill.
존 스토리, 박모 옮김(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Adams,D.M. & Hamm,M.F(1989), Media and Literacy: Learning in an Electronic Age: Issues, Ideas and Teaching, Springfield, Illinois, Thomas.
김대행(1997),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영역」, 『선청어문』 제25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김대행(1998),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국어교육』 97,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미량(2000),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독서연구』 제5호, 한국독서학회.
김하수(1990), 「언어 규범 문제에 따른 매체 언어의 기능」, 『한국어연구논문』 25.
노명완(1996), 「독서 개념의 현대적 조명」, 『독서연구』 제1호, 한국독서학회.
박영목(1996), 『국어이해론』, 법인문화사.
박인기(1996), 「독서와 매체환경」, 『독서연구』 제1호, 한국독서학회.
우한용(2000), 「지식정보화시대의 독서-독서의 정치학을 위한 각서」, 『독서연구』 제5호, 한국독서학회.
이경화(2000), 「학교교육으로 매체 언어를 실행하는 방안」, 『한국어문연구』 제9집.
이재승(2000), 「정보화 사회와 독서 교육」, 『독서연구』 제5호, 한국독서학회.
이종철(1998), 「대중 매체의 언어 메시지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8,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이화진(2000), 「정보화 시대의 독서전략」, 『독서연구』 제5호, 한국독서학회.
최병우(2000), 「다매체 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제5호, 한국독서학회.
최영환(1999), 「매체 변화에 대응하는 국어교육」, 『국어교육』 98,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1.06.24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