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와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현대 해석과 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대 가요와 공무도하가
1. 고대 가요의 정의
2.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원문과 해석
3.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배경 설화

Ⅲ. 맺음말

본문내용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에는 임과 이별하는 가상적 상황에서 그 슬픔을 인내하는 마음이 절실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물론, 다른 작품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다수 나타나지만 이 시만큼 애이불비(哀而不悲)의 민족적 정한이 아름답고 절실하게 형상화되고 있는 작품은 많지 않다. 이러한 정서는 우리 전통 시가의 한 맥을 이루는 것으로, 고려 속요 '가시리'나 '서경별곡', 그리고 민요인 '아리랑'으로 이어져 내려오는데 '진달래꽃'에서는 한층 더 심화되어 있다. 이 외에도 형태적, 소재적 측면에서 '진달래꽃'은 전통적 시가를 현대시로 계승한 소월의 대표작이자 한국시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있다.
Ⅲ.맺음말
공무도하가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갈래 - 4언 4구의 한역 시가
연대 - 고조선
성격 - 개인적 서정 가요
표현 - 직서법, 직정적(直情的)이고 절박한 표현
별칭 - 공후인
주제 - 임을 여읜 슬픔
의의 - '황조가'와 함께 우리 나라 최고(最古)의 서정 가요,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요
공무도하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보자면 공무도하가는 황조가와 함께 우리 나라최고의 서정 가요이며 집단적 서사가요로부터 개인적 서정가요의 변모를 보여준다. 또 우리 시 가사에서 물이 최초로 등장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훗날 고려 속요 서경별곡
) 당시 서경(西京:平壤)에서 널리 불리던 노래인 듯하다. 지금 가사가 전하는 고려가요 가운데서도 뛰어난 것의 하나이다. 모두 14절로 서경에 사는 여인이 대동강(大同江)에서 애인을 송별하는 이별의 내용이다.
조선 성종(成宗) 때 구악(舊樂)을 정리하면서 유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산제(刪除)되기도 하였으나, 다행히 그 원문이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실려 전한다. 강렬하고도 애절한 남녀의 애정이 유려한 운율로 절실하게 나타나 있다. 가사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1절)…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9절)…”.
정재상의 송인 등 많은 이별가에 등장하게 된다.
지금까지 고대가 요와 공무도하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무도하가는 지금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많은 견해로 여러 가지 논란들이 많이 있다. 이번 기회를 빌어 우리 나라의 고대 문학과 그 중에 고대 가요에 대해 많은걸 알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1.12.14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