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시 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사의 특징
2. 기존연구 검토
1) 내용적인 면
2) 형식적인 면
3) 관련설화
4) 기타
3. <가시리> 원문과 해석
1) <가시리> 원문
2) <가시리> 해석
4. <가시리>의 특성
1) 형식적 특성
2) 내용적 특성과 미학적 검토
5. 문예학적 가치

Ⅲ. 결론

참고문헌
<별 첨>

본문내용

구에 있어서 중요한 노래임을 알 수 있었다. 그 동안 속가 전체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가시리> 또한 그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이것에 대한 연구들은 거의 선행 연구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이었다. 이것은 연구에 기본이 되는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여 종합·정리하며, 잘못된 것들은 비판하고 몇몇의 새로운 관점들을 받아들이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번에 <가시리>에 대한 자료들을 조사하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남는 의문점들과 문제점이 적지 않았다. 그것들을 다음에 간단히 나열해 보았다.
우선, <가시리>는 기록된 조선시대 당시에 비해서 그 내용이나 표기상의 문제에서 전혀 변화가 없었으리라고 볼 수 없다. 또, 고려시대는 분명 조선시대와 달랐고 지금과도 다르다. 그런 주변의 환경 즉 당시 '고려'라는 나라에 대한 사회상, 생활상을 생각하여 더 심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금의 시대를 봐도 노래라는 것은 그 시대상을 너무나도 잘 반영하고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문화나 예술 모두가 그렇지만 노랫말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주는 것도 드물다. 그러므로 속가는 고려라는 나라를 생각하지 않고 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문학작품이나 예술작품은 그 시대에만 고정되어 논의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새로운 시대가 다가오면 거기에 맞게 새로운 시각이 등장하게 되어 있으며, 그러한 시각 속에도 시대를 통해 면면히 내려오는 정서의 기본 줄기가 있게 마련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속가에 흐르는 민족의 정서가 시대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겪어 왔으며, 오늘날 한민족의 가슴에 담겨있는 정서와는 또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
여기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고려시대의 시가에 대한 좀더 많은, 좀더 충실한 자료들의 발굴이겠으나, 현실상 고려시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함으로써 정확한 해석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속가에 대한 새로운 자료의 수집 발굴은 물론이거니와 글자에만 치우쳐진 연구가 아닌 고려 시가 문학으로서의 <가시리>를 평가할 수 있도록 여러 많은 문헌들과의 비교 고찰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참 고 문 헌 ◆
★ 단행본 ★
국어국문학회 편, 고려시가.악장 연구, 태학사, 1997.
______________, 국어국문학 55-57 합병호, 1972.
______________, 국어국문학 62-64 합병호, 1972.
김열규,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김학성, 국문학의 탐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김형규, 고가요주석, 일조각, 1965.
박병채, 고려속요의 어석연구, 반도출판사, 1995.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57.
전규태, 고려가요 시가경전편, 정음사, 1968.
_____,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197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94.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최용수,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1.
최철, 고려 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어문학회,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허남춘, 고전시가와 가악의 전통, 월인출판사, 1999.
현종호, 국어고전시가사 연구, 도서출판 보고사, 1996.
홍기문, 고가요집, 한국문화사, 1996.
★ 논문 ★
김선봉, 고려속요의 현실체험의 시적변용, 경북대 석사학위 논문, 1982.
김종길, 고려속요에 나타난 애정관, 세종대 석사학위 논문, 1985.
김종설, 고려가요의 표상성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 논문, 1992.
김진희, 고려속요의 음악적 구성원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2000.
문성곤, 고려속요의 형태 연구, 세종대 석사학위 논문, 1984.
박경우, 고려 속요 연구: 시.공간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1996.
박노일, 고려속요에 나타난 정서에 관한 고찰, 중앙대 석사학위 논문, 1987.
박욱규, 고려속요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전남대 석사학위 논문, 1981.
설성춘, 고려속요의 연구, 경북대 석사학위 논문, 1982.
윤성현, 고려속요의 서정성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1995.
이돈균, 고려가요의 형태 연구, 조선대 석사학위 논문, 1982.
이동주, 고려속요 연구: 화자의 태도유형에 따른 내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충남대 석사학위 논문, 1992.
이성주, 고려시가의 연구 - 그 사회의식을 중심으로 -, 세종대 박사학위
논문, 1988.
이임수, 고려가요연구,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1988.
이창환, 고려가요에 나타난 「님」 연구, 전남대 석사학위 논문, 1985.
임성규, 고려 속요에 나타난 애정관: 「가시리」를 중심으로, 전남대 석사학
위 논문, 1982.
조성길, 고려속요 연구, 인하대 석사학위 논문, 1986.
차주원, 고려속요의 정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1990.
<별 첨>
질문.
1. <가시리>와 관련설화와의 관계?
속가와 관련된 기록은 보이지가 않는데, 고대나 중세 문학 작품 중에서 설화를 갖는 작품이 많다는 것을 근거로 하여 학자들이 유추하여 주장한 것일 뿐 실제로 근원설화는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 <樂章歌詞> 가시리
. <時用鄕樂譜> 歸乎曲 俗稱가시리○平調
#1. <時用鄕樂譜> 상의 歸乎曲(속칭 가시리) 악보-1.
가시


























[句]
[句]
< 節 >






























































<----{종지}---->
#2. <時用鄕樂譜> 歸乎曲 원본.
歸 乎 曲
1節
2節
3節

下一
↘下二


下一
↘下二
↗下一
下二
下二
下三
↘下四
↘下五
宮 ↘ 下二→下二↘(下三 下五)
. <樂學便考> 嘉時理 -->
. 양주동의 麗謠箋註 중 <가시리 評說>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1.12.14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