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입법계품에 대한 교육적 조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화엄경 입법계품의 위상

Ⅲ. 선재동자와 53 선지식 : 교육적 인간상

Ⅳ. 보살도 : 보살행의 교육이념

Ⅴ. 십바라밀 : 깨우침의 교육과정

Ⅴl. 결론

본문내용

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지적인 삶을 추구하는 한 사람의 주체적 인간으로서 귀감이 됨과 동시에 휴전의 아픔보다 더 큰 굶주림의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을 기억하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기아 난민과 전쟁 고아들, 병들고 고통받는 자에 대한 인식을 키우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체 생명에 대한 자비심을 발휘하여 동물과 식물을 아낌은 물론 무생물에까지도 마음을 실어주는 보살행의 구현은 그 자체로 교육의 궁극적 이념이라 할 것이다.
금세기 말 시시각각으로 숨가쁘게 변하는 세계의 제반 행태에 있어서 교육은 주체와 객체를 막론하고 탁류에 떠밀리고 있는 형국이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대는 시간의 시대로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물질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힘들이 인간 삶의 형식을 주도할 것이다. 화엄의 세계에서 시간의 근원을 돌아본다면 찰나가 곧 영겁이며, 공간의 근원으로 말하자면 일심이 만 허공을 채우고도 남는다. 서구적인 합리주의에 기초한 논리와 분별로는 불교적 진리의 세계에 대한 깨우침을 이루기 어렵다. 보시, 인욕, 지계, 정진, 선정, 반야의 육바라밀로 이루어진 견고한 구도의 배를 타고, 방편과 원력을 세워 험한 현실세계의 파도를 헤쳐 궁극의 깨달음에로 나아가는 교육방법론은 근간 학생들의 편리와 흥미 본위, 눈에 보이는 지엽적인 성과 위주의 교육 현실에 전혀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고요하고 평화로운 삼매의 경지와 극기하는 인욕의 덕목, 항하사 모래알 같은 세상사를 하나 같이 비추이는 밝은 지혜를 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일은 묵은 교육론을 되새기는 수준에서가 아니라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대에 부응하는 새 논리와 방법론을 창출하는 시각에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광대무변한 화엄 법계의 무진보는 이미 수학과 물리학, 생물학 등 과학적인 현대 학문의 새로운 탐구영역이자 접근방법으로 교육계의 과목과 방법론에도 새로운 경지를 열어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엄경 입법계품은 생명의 길을 극적인 구성으로 구체화하여 보여주는 경전이다. 그 법계에 속한 개념들과 사유들, 비유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불교적 존재론이나 윤리적 덕목들이 한량없이 깊고 풍부하다. 지극히 풍부하고 아름다운 세계의 구현과 장엄을 경험하게 하는 입법계품의 세계는 오늘날 다양성과 창의성을 추구하는 한국의 교육 현실에 새로운 세계관을 열어줄 수 있다. 신에서 발심하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에 이르는 불퇴전의 굳은 신념을 기초로 한 보살도는 오늘날 삶의 중심을 잃고 흔들리는 나약한 인간의 구심점으로서, 종교교육 또는 윤리교육의 교육과정 속에 구체화된다면, 새로운 교육적 인간상을 키우는 길잡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원대하고 장구한 보현행원의 실천은 불교종단을 비롯한 불교계에서 펼치고 있는 사회운동과 연계하여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들의 평생교육, 그리고 살아있는 교육으로서의 참교육과 열린교육의 이념으로 피어날 수 있다. 화엄 일승, 육상원융의 다함없는 법문은 우리의 교육적 관심과 교육이념 및 방법론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무비(편), 1994, 화엄경 1-12 , 민족사.
법정(편), 1988/1997, 신역 화엄경,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역경원.
대한불교조계종역경위원회(편), 1968, 한글대장경 43,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역경원.
김 석, 1994, 화엄경의 교육관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불교학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영태, 1997, 불교사상사론, 민족사.
김용운, 1989/1994, Fractal 이론과 화엄경, 불교의 현대적 조명, 교수불자연합회(편), 394-406.
김용정, 1986, 불교와 윤리학, 불교와 현대사상, 동화출판공사.
김현준, 1999, 육바라밀 수행법, 효림, 불교신행총서 3.
도법, 1999, 화엄의 길, 생명의 길, 선우도량.
동아대백과 사전, 金鉉埈, 253
무비(1998), 화엄경 강의-<입법계품> 근본법회, 불광출판부.
____(편찬, 1994), 화엄경 8 - 12 , 민족사.
____(편찬, 1994), 화엄경소사전, 민족사.
박광서, 1995, "현대 과학기술과 불교의 새로운 만남 - 우주적 세계관의 지평", 불교를 알면 21세기가 보인다, 한국불교사회연구소(편), 정토출판.
박선영, 1999, "정보사회에서의 교육과 한국문화의 정체성", 교육철학 제 21집,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35-59.
______, 1983, 불교와 교육사회, 보림사.
______, 1981, 한국불교의 인간형성이론, 현대교육철학의 제문제, 한국교육학회 교육사교육철학연구회(편). 세영사.
______, 1979, 불교적 교육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강호, 1988, 깨우침에 관한 교육인간학, 학민사.
오인탁, 1990, 현대교육철학, 서광사.
이기영, 1978, 불전해설, 한국불교연구원.
이도업, 1998, 화엄경사상연구, 민족사.
이제열, 1998, 법수로 배우는 불교, 여시아문, 주머니 속 대장경 102.
이효걸, 1991, 화엄경의 성립배경과 구조체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전해주, 1994, 의상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정대련, 1997, 불교경전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법화경 7 비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의 사상적 이해, 학지사.
정병조, 1997, 정병조의 불교강좌, 민족사.
_____, 1995, 한국 불교철학의 어제와 오늘, 대원정사.
최준식. 1998.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사계절. 한국문화총서 6.
한기언, 1994, 교사의 철학, 양서원.
황옥자, 1994, 불교아동교육론, 불교시대사.
鎌田茂雄/카마타시게오, 1991, 華嚴經物語, 大法輪閣, 1998, 화엄경이야기, 장휘옥(역), 장승.
Cook, Francis, H., 1977, Hya-yen Buddhis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화엄불교의 세계, 문찬주(역), 불교시대사. 1995.
Maxcy, Spencer J., 1978,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Future, 미래를 위한 교육철학, 성 기산(역), 1994, 집문당.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