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유의할 점 리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유의할 점
□ 총 페이지수 : 21
□ 목 차:

음악조기교육과 재능...


- -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 -

우리나라 속담에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다. 버릇에는 좋은 버릇도 있을 것이요 나쁜 버릇도 있을 것이나 일반적으로는 나쁜 버릇을 뜻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니 세 살 때에 잘못 배운 것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은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과장해서 말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나는 운경 유치원을 설립 한 지 19년이 되는 오늘날까지 나 자신이 과거에 유치원 교육을 받지 못했던 것이 늘 후회된다 물론 나의 어린 시절에도 유치원이 있었던 것만은 사실이지만 오늘날처럼

본문내용

있음을 알게 된다.
3.민요의 특징
1. 토리
우리나라는 작은 국토이지만, 산이 많아서 옛날에는 교통이 매우 불편하였다.그래서 인근 지역과의 교류가 어려운 탓으로 지방마다 말씨가 약간씩 다른 사투리가 생겼으며, 노래에 있어서도 지방마다 '시김새'가 조금씩 다르게 발달되었는데, 이를 '토리'라고 한다. 이처럼 지역간의 교류가 어려웠다는 것은 민족문화의 동질적 형성에는 단점이 될 듯도 한데, 신기하게도 특징의 주요 핵심적 요소들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지역별로 특색있게 그리고 다양하게 발전되어 온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2. 창법
우리민요에서 가락을 멋지게 표현하는 창법으로써 '농현법'이 있다. 이 농현법은 서양 음악에서 볼 수 없는 기묘한 표현 방법이다. 농현법을 크게 분류하여 보면,전성, 평성, 퇴성이라는 것이 있다. 농현법은 서양 음악의 비브라토(Vibrato)와는 전연 다른 감명을 주는 요소로써 우리음악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민요는 시김새를 넣어서 불려야만 제맛이 나는 것이다. 이 시김새를 표현하는 창법은 지역적으로 민요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시김새의 종류>
시김새는 전통음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음을 흔들어서 표현하는 기법이다.기악에서는 농현법이라하고, 성악에서는 시김새라고 한다.
1) 전성 : 흔드는 폭이 조금 크고 약간 느린데, '흔드는 목'이라고도 한다.
2) 평성 : 절대로 흔들지 않는데, '평소리'라고도 한다.
3) 퇴성 : 원음보다 위음에서 끌어내리거나, 아래음에서 끌어올려서 내는 소리인데
꺾는 목'이라고도 한다.
4) 요성 : 흔드는 폭을 작게, 그리고 좀 빠르게 흔드는 소리이다.
5) 굴리는 목 : 원음 앞에 굴리듯이 장식음을 넣어서 부르는 것이다.
4.민요의 형식
1. 메기고 받는 형식
옛날에 우리 조상들은 고된 농사일을 '두레'와 같은 풍습으로 집단적 공동 노동을 하였다. 이런 집단노동에는 필연코 음악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공동노동 가운데 음악을 함께 함으로써 지루하고도 고된 노동을 즐거운 노동으로 전환시켜 작업능률을 올리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생활음악 속에서 발전된 것이 주고받는 형식이다.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기는 부분은 독창으로 선창하는데, 즉흥적으로 사설을 만들어 가면서 부르는 것이다. 받는 부분은 여럿이 제창을 하는데, 사설이 변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흥을 돋구어 주는 데에는 일품이다.
후렴과 같은 형태이지만, 서양음악에서의 후렴과는 느낌이 다른 특이한 음악 형식이다. 한 사람이 의미있는 노랫말을 넣어 소리를 메기고 나머지 여러 사람들이 의미없는 후렴으로 받는 형식을 '선후 창(先後唱)방식'이라고 한다. 선후 창 방식은 타작이나 뱃일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춰 함께 해야 하는 일을 할 때 이러한 방식의 노동요를 부른다.
구 분
부르는 방법
가사의 형태
메기는 부분
독창-선창
사설이 변함.
받는 부분
제창-후렴
사설이 변치 않음.
예를 들어 보면, 메기는 소리 : 에헤에헤 -------- 받는 소리 : 옹헤야
메기는 소리 : 어절시구 -------- 받는 소리 : 옹헤야
메기는 소리 : 잘도 한다-------- 받는 소리 : 옹헤야
2. 엮음 형식
이야기하듯이 사설을 읊어 가는 방법인데, '정선아리랑'은 엮음 형식의 대표적인 민요로써, 대단한 걸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3. 제창 형식
제창 형식은 역할 분담 없이 모두 한꺼번에 같은 노래를 하거나 한 사람이 독창을 하는 방식이다. 길쌈과 같이 여러 사람이 행동을 통일할 필요가 없는 일일 때 이런 방식의 노래를 주로 부른다. 주로 여성들의 수공업에 이런 형식의 노래가 많이 불리는데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일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대체로 노랫말이 긴 편이고 스토리가 있는 경우도 많이 있다. 밖에서는 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아서 구성지고 처연한 노래가 많다.
5.민요의 종류
우리나라 민요에서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리랑'이다. 그런데 이 아리랑에 관한 노래만하더라도 조사된 것이 수백곡이나 되며, 민요의 성격, 내용, 지역 등등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많다. 세계의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이 우리와 같이 이렇게 다양하게 발전된 민요를 갖고 있는 민족이 있겠는가? 요즈음에는 창작된 신민요도 많지만, 옛날에는 작자를 알 수 없는 노래를 민중들 사이에 구전되면서 발전해온 민족의 노래이다. 민요의 종류를 분류함에 있어서는 불리어지는 범위, 용도, 지역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1. 범위에 따른 종류
(1) 토속민요
널리 알리어지지 않고 다만 어느 지역에 한정되어서 불리어지는 민요이다. 그 지방의 소박한 감정과 생활정서가 있다.
예) 지신밟기 노래, 모심기 노래, 상여 노래 등등.
(2) 통속민요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서 불리어지는 민요인데, 보통 전문 소리꾼이 토속민요를 잘 다듬어서 여러 곳을 다니면서 부르게 되어 통속민요로 되는 경우가 많다.
예) 아리랑, 도라지 타령, 풍년가 등등.
2. 용도에 따른 종류
노동요, 유희요, 남창요, 여창요, 열녀가 등등.
3. 지역에 따른 종류
우리민요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있지만, 우리가 흔히 잘 알고 있는 민요들을 다음 표와 같이 토리에 따라 지역별로 몇가지만 소개한다.
<우리민요의 토리별 분류>
토 리 별
지 역
민 요
경 기 민 요
서울
경기도
충청도 북부
본조 아리랑, 도라지 타령, 풍년가, 노래가락, 창부타령,
경복궁타령, 이별가, 사발가, 베틀가, 태평가, 방아타령,
양산도, 한강수 타령, 늴리리야, 군밤타령, 천안삼거리.
남 도 민 요
전라도, 충청도 남부
새타령, 육자배기, 농부가, 진도아리랑,
까투리 타령, 강강수월래
서 도 민 요
황해도, 평안도
산염불, 난봉가, 몽금포 타령, 수심가,
긴 아리와 자진 아리
동 부 민 요
* 함경도
* 강원도
* 경상도
* 신고산 타령, 궁초댕기, 애원성.
* 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한오백년.
* 밀양아리랑, 쾌지나 칭칭나네, 뱃노래,
성주풀이, 담바귀 타령, 옹헤야(보리타작).
제주도 민요
제주도
제주도 타령, 해녀 뱃노래, 사랑가,
이야옹 타령, 둥그레당실(오돌또기).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4.14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