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협력확대와 통일에 대비한 북한지역 근로자들의 직업훈련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언

2. 독일통일의 교훈
2.1 통일독일과 자유의 좌절
2.2 적극적 고용촉진책으로서의 직업훈련

3. 북한지역 근로자들의 직업훈련방안
3.1 예상되는 고용환경의 변화와 고용촉진책의 고려
3.2 북한지역 근로자들의 직업훈련 방안

4. 결언

본문내용

북한지역 진출 기업과 협력체제를 유지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사전경험을 습득해야 한다.
또한 통일 후 예상되는 사항으로는 먼저 북한지역 훈련기관의 현대화를 위한 지원이며, 이는 구서독지역의 훈련기관이 구동독지역의 훈련기관 1개씩을 분담했던 경험을 참조하여 남한지역 훈련기관들이 북한지역의 훈련기관 1개씩을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둘째, 문화이해와 생활적응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체제이해와 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異文化 커뮤니케이션 훈련' 차원에서의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북한지역의 산업여건과 근로자들 수준에 적합한 직업훈련체계를 우리 나라의 현행 제도를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해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북한지역 출신 근로자들의 재취업 가능성과 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교육을 포괄하고, 훈련기회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기금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는 상태이고 아직까지 현실적인 연구들이 대단히 빈약하여 초보적인 연구단계이므로 그 한계성이 많을 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욱이 최근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IT산업의 경우 9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IT인력을 적극 활용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커다란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동아일보 2001. 2. 19일자).
< 참고문헌 >
강석승(1996), "탈북·귀순자의 한국사회적응과 대책", 통일로, '99, 1996. 11, 14∼25.
강수돌(1996), 외국인 노동자 고용 및 관리실태와 정책대안: 기업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성의 비교관점에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김덕수(1990), 북한의 산업기술교육과 노동행정관리실태: 직업훈련과 관련하여, 서울: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 직업훈련연구소.
·신광호(1997),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직업훈련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논문집, 1997.12, 303∼14.
김수곤(1992), "북한의 잠재인력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북한경제실상과 남북경제협 력방안의 모색, 서울: 한우리정경연구원.
김해성(1998), "외국인 노동자 실태와 개선방향", 명지, 32, 172∼7.
남궁영(1996),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력 평가,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민경호·강종건(1998), 통일에 대비한 북한지역출신 근로자들의 직업훈련방안, 한국인 적자원개발학회, 1998년도 정기학술발표회 발표논문, 1∼14.
· (1998), "몽골인 근로자들의 기능교육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연구: 외국 인근로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몽경제학회·한국지역사회개발학 회 1998 한·몽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 1998. 8. 5.
· (1999), 동일에 대비한 북한지역 근로자들의 직업훈련방안, 한ㆍ몽경제 학회, 한몽경제연구, 4, 277∼92.
박 진(1993), "통일을 전후한 노동시장의 제문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제2회 노사정 정책토론회 발표논문.
선한승(1998 a), 남북한 노동제도의 비교와 노동정책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998. 8.
(1998 b), "남북경제교류와 노동제도의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남북경제협력 과 노동정책에 관한 세미나, 1998. 6. 10, 1∼58.
(1996), "탈북자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제도화방향", 통일, 174, 1996. 3, 28∼31.
(1995), 북한노동자의 적응력 실태와 인력활용방안,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993), "통일독일의 경제사회통합과 한국의 통일노동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제2회 노사정 정책토론회 발표논문.
성기영(1996), "탈북자의 적응교육 어떻게 실시해야 하나", 통일, 181, 1996. 10, 24∼7.
안두순(1993), "통일후 경제통합과 경제체제", 구영록 ·임용순, 한국의 통일정책, 서울: 나남.
오혜정(1995), 귀순 북한동포의 남한사회적응실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이영선·전우택(1996), 탈북자의 삶: 문제와 대책, 서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이영애(1996 a), "탈북자 수용정책의 허와 실: 사회적응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자유 공론, 352, 1996. 7, 112∼22.
(1996 b), "탈북자 대책마련은 통일과정의 시작이다: '북한탈출주민보호 및 정착 지원법' 보완점은 없는가", 자유공론, 357, 1996. 12, 106∼16.
이우영(1997), "탈북주민실태조사", 신동아, 1997. 5월호, 382∼93.
전경수·서병철(1995), 통일사회의 재편과정: 독일과 베트남,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제성호(1996), "탈북자 수용, 적응훈련제도 시급하다", 자유공론, 348, 1996. 3, 36∼55.
조동호(1997), 경제체제전환기의 노동정책: 동구의 경험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서 울: 한국개발연구원.
(1994), 통일후 북한지역의 예상실업규모,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한만길(1996), "탈북이주자의 남한사회 적응문제와 재사회화방안", 민족통일연구원 통 일연구논총, 5⑵, 1996. 12, 215∼38.
통일교육원(1996), 통일문제 이해 1997, 서울: 통일원 통일교육원.
한백연구재단(1993), "델파이리서치", 포럼 21, 7, 1993 가을호.
Brautzsch, Hans-Ulrich(1997), Arbeitsmarkt Ostdeutschland 1997:
Beschaftigungabbau setzt sich fort, Wirtschaft im Wandel(주독일대사관 번 역자료).
Siebert, Horst(1993), Das Wagnis der Einheit: eine wirtschafts-politische Therapie, Stuttgart: Deutsche Verlags-Anstalt GmbH의 역서; 허선(1993), 통일, 그리 고 경제의 모험: 통일 이후 독일경제의 분석과 전망, 서울: 을유문화사.
Presse-und-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1994), Vier Jahre Deutsche
Einheit 3, Oktober 19, 1994(주독일대사관 번역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05.07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