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 환경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동차의 배출가스 규제현황
1. 자동차 배출가스 현황
2. 대체에너지 수요 현황

Ⅱ 세계 자동차 산업의 기술환경 현향

1. 세계 기술환경
2. 미국 자동차산업의 기술환경
3. 유럽 자동차산업의 기술환경
4. 일본 자동차산업의 기술환경

Ⅲ 한국자동차 산업의 기술환경현황
1. 국내 경제 환경
2. 국내 연구개발 동향

Ⅳ 한국자동차 산업의 기술환경 전략

Ⅴ 결론

본문내용

국가간 CO2 배출량 삭감협약을 준수하기 위하여 이들 중 중요한 배출원인 자동차 부분에서의 저감이라는 관점과, 둘째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로 현재의 규제가스 종류에 더하여 CO2가 추가된다는 것이며 선진국의 초저연비자동차 사업이 완료되는 2005년경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입장에서 보면 첫째 보다는 둘째 사안이 훨씬 중요하다. 왜냐하면 배출관으로 직접 CO2를 규제할 경우 80년대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가 자동차의 중요한 무역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과 유사한 어려움을 다시 직면하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와 같이 자동차 수출을 위하여 선진국과 경쟁하여야 하는 입장에서는 CO2에 대비한 국가적인 저공해, 저연비자동차 대책이 이미 준비되었어야 하나, 이제라도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마주하여 대응전략을 조속하게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의 자동차환경 현황과 사회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몇 가지 방안 및 문제점을 보면,
첫째, 초저연비자동차의 대상 차종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수요가 가장 많은 대중적인 차종이라야 공해 저감효과가 크며 이에 따라 미국은 대형승용차를 유럽은 소형승용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소형차량이 CO2 저감이 용이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경우 배기량 1300cc 이하의 소형승용차가 기술적인 효과면에서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나, 아직도 대형차를 선호하는 국민들의 정서를 감안할 때 과연 대중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지의 엄정한 검증이 필요하며 사업의 성공여부와 직결된다.
둘째, 주동력엔진기술의 선정이다. 미국이나 유럽은 소형고속디젤엔진을 가장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디젤자동차에 대한 거부감이 워낙 강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전략수립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형차용 디젤엔진에 비해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초저연비용 소형디젤엔진은 한 세대 앞선 개념의 청정엔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급선무는 시내버스의 매연을 해결함으로서 시민이 느끼는 체감공해를 개선하여 디젤엔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청정연료인 천연가스엔진 보급과 가솔린직접분사식엔진 개발전략이 동시에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범국가적인 초저연비자동차 기술개발 방향 및 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우선 국내의 CO2 규제치와 규제시기를 먼저 제시하여야 하며, 초저연비자동차에 대한 명확한 정의, 정부와 기업의 개발일정 및 보급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저공해자동차보급사업을 초저연비자동차보급사업과 일원화할 수 있는 에너지와 환경조화 정책이 중요하다.
넷째, 향후 예상되는 디젤승용차의 세계적 수요증가에 대비하여 현재의 가솔린승용차 중심에서 디젤승용차와의 균형적인 발전정책으로 외국과의 경쟁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일부 자동차회사에서 수출용 디젤승용차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특히 초기에는 내수 없는 기술개발은 성공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낮은 경유가격 때문에 디젤자동차가 증가하였고 이 때문에 대도시 공기오염 등 사회문제가 유발되었다고 분석하고, 경유가격을 상향 조정함으로서 경유자동차 운행대수를 줄여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것이 현정부의 경유자동차 정책방향이나, 한편으로 보면 이런 여건을 긍정적으로 활용하여 저공해디젤자동차 개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대신 내수를 유지하여 디젤승용차시장을 조속하게 확충함으로서 CO2 대응뿐만 아니라 자동차산업의 균형적인 발전과 수출전략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VI 결론
우리 나라의 연간 CO2 배출량은 1억톤을 넘어 세계 16위에서 2천년에는 세계 9위로 올라선다는 예측을 하고 있다. 오염원별 배출 비중을 살펴보면 산업부문이 35% 이상으로 가장 높으며, 발전부문 25%, 수송부문 22%, 가정 및 상업이 15% 순이다. 그러나 수송분야는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2천년에는 25% 수준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각 분야별로 기술의 속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대책기술도 분야별로 수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자동차에서의 CO2 저감방안도 근본적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연료 경제성이 우수한 초저공해/초저연비 자동차개발이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방향으로 제시됨으로써 유해배출가스로 규제되고 있는 CO, HC, NOx, PM 등이 동시에 개선되어야 하며, 국내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 자동차와 연관된 사회적, 문화적 여건 등을 동시에 고려하면 효율적인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저공해 기술은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미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국내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 분야에서 기술을 선점하고 있는 선진 공업국의 회사에 기술적인 종속 관계가 성립되어 앞으로 자동차 해외 수출 및 판매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동차 핵심 기술 확보는 영원히 이루지 못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선진국에서 규제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치를 만족하고 관련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의 확보 및 첨단기술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디젤 엔진의 연소 시스템 개선 및 분사 시스템 독자 설계 기술을 확보하여 초 저공해 디젤 엔진 연소 시스템을 지향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1. Advance Automotive Technologies, 1999, Annual Progress Report
2. The Clean Fuels and Electric Vehicles Report, 1999, Volume Ⅱ, No3, Energy Future, Inc.
3. 제29회 교통안전 공해연구소 연구발표회 강연집, 1999, 운수성, 교통안전공해연구소
4. 자동차연구, 1999, 1-4 JARI Rearch Journal, 일본자동차연구소
5. Office of Advanced Automotive Technologies R&D Plan, 1998. 3. Department of Energy, USA
6. 초저연비 승용차량 기반기술개발, 1997. 자동차부품연구원
7. 21세기 자동차산업의 비전, 세미나 논문, 1998. 5.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05.07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