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과 21세기 개혁신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화이트의 논지(The White Thesis)

2. 화이트의 논지에 대한 평가

3. 화이트 논지의 개정

결론

본문내용

아닐까? -- 역주).
28 Glanvill, Scepsis Scientifica, Sigs. b4r-v.
29 Duncan, Milton's Earthly Paradise, 152-4.
30 낙원에 대한 알레고리적 해석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Alexander Neckham, De naturis rerum, 2. 49; Guibert of Nogent, Moralium Geneseos, 1. 1. 21-4; Bartholomew Anglicus, De proprietatibus rerum, 15, 111, 158.
이런 알레고리적 해석에 대한 17세기의 비판을 위해서는 Salkeld, Treatise of Paradise, 4를 보라. 또한 William, The Common Expositor, 110을 보라.
31 Andrewes, Apospasmatia Sacra (London, 1657), 104.
32 예를 들자면, 다음을 보라. John White, A Commentary upon the First Three Chapters of the First Book of Moses called Genesis (London, 1656), bk. 1, 113f.; Hale, The Primitive Origination of Mankind (London, 1677), 317; Richard Neve, [T. Snow, pseud.], Apopiroscipy (London, 1702), ch. 2, p. 3; George Hughes, An Analytical Exposition of the first Book of Moses (London, 1672), 11. Cf. John Pettus, Volatiles from the History of Adam and Eve (London, 1674), 83.
33 사유 재산이 자연에 대한 파괴의 동기가 되었다고 논의되어 왔다. Harrison, "Subduing the Earth," 100ff.를 보라. (그러므로 성경 자체에 대한 문자적 해석으로 노동 자체가 신성시된 것과 자연 파괴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은 좀 무리한 것이다. 노동이 신성시된 것은 오히려 자연을 귀중하게 여기는 것과 더 잘 어울리지 않는가? 노동이 하나님 앞에서의 사역이라면, 자연은 하나님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노동과 자연을 모두 하나님과 연관시킨다면 어떻게 선물인 자연에 대해 인간 마음대로 훼손하는 태도가 나올 수 있을까? 오히려 사유 재산 증식을 위한 인간의 죄악된 탐욕이 문제의 근원이 아닌가? 그것이 자연을 하나님의 선물로 여기기보다는 정복할 대상으로 여기게 하는 것이 아닌가?--역주).
34 이와 연관해서 제임스 보노(James Bono)는 근자에 타락과 바벨탑에 대한 창세기 기사가 초기 근대에 "주제가 되는 이야기"(a master narrative)가 되었고, 이것이 결국 과학적 실천을 낳게 했다는 논의를 한 바 있다. James Bono, The Word of God and the Languages of Man: Interpreting Nature in Early Modern Science and Medicine, Vol. I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35 글랴켄의 다음 말을 참조하라: "서구 사상이 인도 사상이나 중국의 사상과 구별되는 독특한 정형화를 얻게 된 것은 이 시기 [17세기] 사상에서이다...... 사람이 땅을 지배한다는 종교적 개념, 인간이 피조계를 완성한다는 개념 등은 17 세기에 더 분명하고 예리하게 되었다(Glacken, Traces on the Rhodian Shore, 494f.).
36 타락으로 말미암은 땅과 그 안의 피조물의 변화에 대한 전형적 설명으로 다음을 보라: George Walker, The History of the Creation (London, 1641), 23-5; Jean-Francois Senault, Man Becom Guilty, Or the Corruption of Nature by Sinne, according to St. Augustin's Sense (London, 1650), 319-90; Richard Franck, A Philosphical Treatise (London, 1687), 124-70.
* (이런 점에서 17 세기적 통치 개념은 펠라기안주의적이며, 휴매니스틱한 개념으로 성경의 가르침에 충실한 것이라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 역자 주).
37 Thomas Traherne, Christian Ethicks (London, 1675), 103: the earth "had been a Wilderness overgrown with Thorns, and Wild Beasts, and Serpents; Which now by the Labor of many hands, is reduced to the Beauty and Order of Eden."
38 John Pettus, Volatiles from the History of Adam and Eve (London, 1674), 83. Timothy Nourse, Campania Foelix (London, 1700), 2.
39 John Donne, "To Sir Edward Herbert. At Julyers," lines 33f.: It is our business "to rectifie nature to what she was." (이런 점에서 해리슨이 들고 있는 17 세기 저자들 대부분은 정통적인 기독교 사상 내에 있는 이들이기보다는 오늘날의 현대 사상을 형성시킨 선구자들, 즉 인간주의적 입장에서 나름대로 기독교와 성경을 바라보며 말하던 이들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해리슨 교수가 말하는 화이트 논지의 수정도 또 다시 수정되어야 할 논지임이 분명하다 -- 역자 주).
40 Bacon, Novum Organum, I. cxxix.
41 John Flavell, Husbandry Spiritualized (London, 1669), sig. A2v.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06.16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