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산업의 유통시스템화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요약>
다엽의 생산은 기후나 지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생산의 특징은 녹차가 전라남북도, 제주도, 경상남도의 농민에게는 유리한 소득작목으로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다엽의 생산을 통하여 생산자는 소득개발작목으로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소비자는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소비시스템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통시스템의 변화와 발전을 고찰하고자 한다.
생산과 소비의 시스템 변화에 대응하여 유통시스템은 단순히 생산된 것을 유통시키거나 구색을 변환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에 더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생산자측에 전달하여 신제품의 개발을 촉진하는 매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또한 유통시스템은 공급이 수요를 창조하는 새로운 매커니즘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Ⅰ. 서 론
Ⅱ. 녹차산업의 현황
Ⅲ. 녹차산업의 소비시스템
Ⅳ. 녹차산업의 생산시스템
Ⅴ. 녹차산업의 유통시스템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다류를 판매하는 유통전문업체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차보급을 위한 도소매상이나 대리점의 수가 커피나 기타 다류의 판매를 위한 도소매상의 수보다 적은 것은 녹차를 소비하는 계층이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식의 부족에 따른 도소매상의 판매부족 때문이다.
주요 소매상인 전통찻집의 위치는 서울의 인사동 골동품점들과 화랑이 밀집되어 있는 상점 간에 거리를 두고 있고, 부산은 광복동과 대청동 등의 시내 중심가에 그것이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는 금남로 등의 골동품 및 화랑이 밀집되어 있는 예술의 거리라고 하는 상가에 직영점 및 도소매점이 위치하고 있다.
산지의 도소매점에서는 주로 생산지 제다업체들의 제품과 다기, 민예품 등을 판매하고 있고, 도시의 소비지 도소매점은 규모가 20평 내외에 다기, 민예품, 골동품과 더불어 녹차를 판매하고 있다. 주요 녹차소비처인 전통찻집의 경우도 다기나 민예품을 판매하면서 평균 30석 내외의 객석과 사랑방식의 공간을 확보하여 다방업을 하고있다.
도소매업체에서 판매하는 녹차의 가격은 제다업체의 제품일 경우 업체 지정가격에 신축적인 마진을 적용하여 판매하고 있지만, 농민이나 스님제품의 경우는 지명도에 따라 유통업자의 임의대로 판매되고 있다. 녹차의 생산자별 수익율은 농민제품이 35∼40%, 기업제품이 20∼30%, 스님제품이 10%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민제품이 도소매점에 덤핑판매가 되고 있다.
소매업을 겸하고 있는 전통찻집에서 농민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농민의 제품을 소비자가 즐겨찾기 때문으로, 고급제품에 속하는 제품을 싸게 구입한다는 조건과 포장되어 있지 않는 황차로 구입하여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소매점에서 조사한 녹차의 계절별 매상동향을 살펴보면 전체 매상의 30%가 봄에 판매되고, 5%정도가 여름에, 40%정도가 가을에, 25%정도가 겨울에 판매된다. 특히, 봄에 녹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는 세작이 출하되는 5월경에 대량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판매 전망에 대하여 대부분의 상인들은 매우 희망적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수질오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건강지향형 소비자는 녹차를 상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Ⅵ. 요약 및 결론
유통의 기본적인 역할은 생산과 소비를 조정하여 이어주는 가교적 역할이다. 지금까지 녹차에서의 유통은 이미 생산된 것을 유통시키거나, 구색을 변환하여 유통시키는 것이 중심이 되어왔다.
앞으로 다가올 사회는 정보화의 진전에 의해 생겨나는 정보사회이다. 정보화라는 환경의 변화에서 생산시스템은 값싸고 질좋은 다양한 상품을 대량주문에 입각하여 개인상품을 생산하는 시대로 접어들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보기술을 통하여 녹차의 생산비용과 가격인하, 제품의 다양화에 입각한 수요의 증대를 가져오는, 즉, 공급이 수요를 창조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되어야할 것이다.
소비시스템에서는 이제까지 소비자는 타인지향적이고 동조의식이 강하여 기업이 일방으로 생산하여 제공하는 생산품이나 정보에 만족하였다. 그러나 정보화의 진전은 소비자의 의식과 행동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신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로 소비자의 선택력이 향상되어 다양한 상품 가운데 자신의 욕구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할 수 있는 고도의 소비문화가 형성되어가고 있다. 삶의 질을 추구하여 녹차상품에 있어서 안전성, 기능성 등에 대한 강한 욕구를 소비자가 나타내고 있다.
위와같은 생산과 소비 시스템의 변화에 대응하여 유통은 종래와 같이 생산된 상품을 이전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상품에 대한 수요를 발견하고 환기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생산자측에 전달하여 신제품개발을 촉진하는 매개자로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이는 유통이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재편성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업자는 공급자의 논리에 의한 일방적인 대량공급이 아니라 소비자나 다원지역 주민의 의향도 고려하면서 수요의 급격한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건강지향형 소비자의 욕구충족을 하여주는데 있어서 공공성을 중시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기민정 (1993), "국산차의 유통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기민정 (1989), "녹차의 생산·유통·소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농림부 (1999), 농림업주요통계.
농림부, 특용작물 생산실적, 각년도.
농수축산신문 (1999), 한국식품연감.
식품의약품안전청 (1999), 식품 및 식품 첨가물 생산실적.

On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systems in
the Green Tea industries
* Instructo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500-757
Ki, Min Jung*
The production of the tea leaf is characteristic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farmer of the Chonnam, Cheju, kyongnam has taken the their chance of the income crops in the tea leafs. The income crops has been developed the production system by the leaf producer. The consumer has improved the conditions of the life in search of the efficiency in the consumer system. Coping with the system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er, It requires consideration from the change and extension in the distribution systems. The distribution systems has gone through with the power of creation in the demand and supply.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6.2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