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의 효과적 대응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아동학대에 대한 이해

III. 개정아동복지법에서의 아동학대 규정 검토

IV. 아동학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

V. 맺음말

본문내용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동학대문제 해결은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아동학대가 주로 부모의 개인적인 문제(e.g. 부모의 알콜중독, 정신적 장애 등)들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은 서구사회에 비해, 우리사회는 아동학대가 오랜 기간을 통해 형성된 문화적인 태도(e.g. 체벌중시, 자녀에 대한 소유의식, 가정에 대한 사회적 개입거부 등)와 관련되므로, 한국사회에서 아동학대를 해결하는 것은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태도와 인식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현대사회에서 대중매체의 위력을 생각할 때, 대중매체를 통한 끊임없는 홍보와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실 최근에 아동복지법이 개정되면서 아동학대치료와 예방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우리사회의 여러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개정된 법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은 매우 소수이다. 아니, 더 나아가서 아동학대가 신고를 해야하는 사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도 사회구성원의 일부에 불과할 것이다. 즉, 누구도 문제의 심각성이나 또는 신고의 의무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신고체계나 제도를 만들어 놓는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사실을 생각할 때, 우리사회에서 아동학대에 대한 계몽 및 홍보를 위한 노력들이 매우 절실하다고 보여진다. 특히, 개정아동복지법이 신고제를 의무화함으로써 마치 아동학대자를 고발하고 처벌하는 데 법개정의 목적이 있는 것처럼 잘못 인식되고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효과적인 법의 시행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인식의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V. 맺음말
Daro (1988)는 아동학대에 대한 문제에 왜 사회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학대 그 자체는 아동에게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심한 신체적, 정신적인 손상을 가져오므로 사회는 아동복지적인 차원에서 이에 적극 개입해야 하며, 둘째, 어린 시절에 학대받은 경험은 나중에 성인이 되어 일탈행위나 문제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셋째, 사회가 초기에 이런 문제에 개입하는 것은 나중에 이들이 파괴적인 사회구성원이 되어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넷째, 아동학대와 같은 문제가 존재하는 것 자체는 사회의 전반적인 가치와 대립되는 것으로 사회가 나서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Daro가 지적한 것처럼, 아동학대 문제는 단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아동학대는 100%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학대의 경험은 아동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사회도 아동학대에 대한 방관자의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zar, S. T. (1991). Models of child abuse : A metatheoretical analysi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18. 30-46.
Daro, D. (1988). Confronting child abuse : Research for effective program design.
NY : The Free Press.
Fergussion, D. and Lynskey, M. (1997). Physical punishment/maltreatment during childhood and adjustment in young adulthood. Child Abuse & Neglect, 21. 617-630.
Kemp, A. (1998). Abuse in the family: An introduction.
CA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Miller, K. and Knutson, J. (1997). Reports of severe physical punishment and
exposure to animal cruelty by inmates convicted of felonies and by university
students. Child Abuse & Negelct, 21. 59-82.
Milner, J. and Chilamkurti, C. (1991). Physical child abuse perpetrator characteristics
: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6. 345-366.
Straus, M. A. and Kantor, G. (1994). Corporal punishment of adolescents by parents
: A risk factor in the epidemology of depression, suicide, alcohol abuse,
and wife beating. Adolescence, 29. 543-561.
Wissow, L. and Roter, D. (1994). Toward effective discussion of discipline and corporal
punishment during primary care visits : Findings from studies doctor-patient
interaction. Pediatrics, 94. 587-593.
Zigler, E. and Hall, N. (1989). Physical child abuse in America - past, present, and future.
In D. Cicchetti and V. Carlson (Ed.), Child maltreatment :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