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 경쟁력의 의미와 방향 ( 교사 교육정책 )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교육 경쟁력의 수준

2. 교직 경쟁력의 의미

3. 우리나라 교직 경쟁력 수준
(1) 교사의 특성과 능력
(2) 교직 체제의 효율성
(3) 지역사회의 교직인식

4. 교직 경쟁력 강화의 방향

5.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지식과 정보를 산출하고 생산해내는 능력을 교육의 중심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학교교육이 Thinking을 소홀히 한다면 긍극적으로는 국가의 생존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야기 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직 경쟁력은 결국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Thinking을 얼마나 잘 가르칠 수 있느냐에 달려있고, 이런 교사를 얼마나 잘 지원하고 보호하느냐에 달려있다. 이점과 관련해서 이미 사회일반(기업, 학부모 등)에서는 학교가 "창의력과 사고능력"을 길러 주어야한다는 요구를 해오고 있고, 교육당국은 이에 호응하여 교육과정의 특색을 사고력 쪽으로 방향전환한지 오래이다.
그러나 정작 교실의 수업장면에서는 창의력과 사고력은 제대로 길러지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이것은 교사 개인들의 탓으로 돌릴 문제가 아니다. 그들이 사고력과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중요하다 예컨대 교대와 사대 등에서 사고력과 창의력을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양성 해야한다. 교육당국은 사고력을 기르자는 목표만 제시했지, 그런 교육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제반 조치는 미흡했다. 아울러 학부모들도 사고력과 창의력을 강조는 하면서도, 실제에 있어서는 대학입시에 도움되는 교육에 더 신경을 쓰곤 했다.
결국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것이 교직 경쟁력의 핵심적 차원인데, 이는 교사의 특성과 능력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교직업무체제의 지원, 학부모와 사회 일반의 인식 전환과 협조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둘째 바람은 학교가 이제는 지식습득과 이해의 경쟁장소가 아니라, 능력 개발의 경쟁 장소가 되어야한다는 바람이다. 교육은 성적을 높게 받는데 있지 않고, 학생들 하나 하나의 고유한 적성과 능력을 개발해서 그 나름대로 의미있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주는 것이 학교교육의 본래적 목적이라는 것이다. 요즘 유행하는 다중지능 이론이 바로 이런 큰 바람의 배후에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을 개발해주는 전문성의 구비가 장차의 교직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우리 나라의 교사들은 지식을 교수하고 학습시키는 데에는 전문성이 크다. 그러나 적성과 능력을 개발하는 전문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런 교육을 사대와 교대에서 받지 않았고, 실제 학교에서 그런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문성도 교사 개인의 노력으로만 될 일이 아니다. 관계 당국과 일반 사회의 의식 전환과 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셋째 바람은 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가 지식의 교수자(敎授者)로부터 사랑의 인도자(引導者)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종래 교사의 고유한 업무였던 지식전수가 이제는 많은 사회교육기관으로 옮겨갔고, 컴퓨터, 오디오 시스템 등의 학습보조기구의 발달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보편화되면서, 학교 교사에 거는 학부모와 사회 일반의 기대는 지식 전수자쪽 보다는 사랑의 인도자 쪽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 문제, 학교 폭력, 인터넷 부작용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학교교사에 대한 학부모와 일반의 기대는 지식 전수 쪽 보다는 사랑의 시혜자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교사들은 이 점에 관한 준비가 과연 어느 정도 되어있는가? 지식의 전수라는 역할을 오히려 더 거세게 고집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교직의 경쟁력은 이러한 사랑의 인도자 쪽으로 교사들이, 교직체제가 그리고 일반 학부모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해 줄 때에 더욱 강화되어 갈 것이다.
5. 요약 및 결론
이 글은 교직 경쟁력의 의미와 활성화의 방향을 논의한 것이다. 교직 경쟁력을 "학교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교사와 교직 수행과 관련된 요인들의 효율성과 생산성의 수준"이라고 정의하면서 이것을 구성하는 요인을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해보았다.
첫째는 '교사 경쟁력'이라는 것으로서 교사 개인의 성격과 성품, 전문(교과)지식, 교수기술, 리더쉽(학생을 다루는 기술) 등을 말하며, 둘째는 '교직체제 경쟁력'이라는 것으로서 교사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행정적, 관행적 규율체제를 가리킨다. 셋째는 '지역사회인의 교직인식'이라는 것으로서 교사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의 교사와 교육에 대한 인식체제, 협동과 협조 그리고 지원과 보호의 정도와 특성을 가리킨다. 예컨대 학부모, 일반시민, 언론 등에서 어떤 시각으로 교사와 교육을 바라다보고 있는지가 교사의 교직업무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각기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전체가 합해서 교직 경쟁력을 구성한다.
이 개념에 따라 현재의 우리나라 교직 경쟁력 수준을 몇 가지 조사된 통계자료 및 질문지 응답내용을 중심으로 추정해 보았는데, 예컨대 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만족도, 성취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는 교직 경쟁력을 낮추는 요인들이 교직 언저리에 상당수 잠복해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뒷부분에서 교직 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는데, 그 첫째는 교사를 중심으로 교직업무체제와 사회 일반의 기대 등이 사고력(Thinking)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나가야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학생들의 능력 개발이 교사와 학교의 주된 업무가 되도록 학교체제가 바뀌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지식 전수자로부터 사랑의 인도자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교사와 학교체제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도록 변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방향으로의 변화를 위해서 교사, 학교당국, 그리고 지역사회는 Win-Win 게임의 입장에서 상호 협력해야하며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교직 경쟁력은 결코 교사만의 특성과 능력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정부와 학교당국 그리고 지역 사회가 교사들로 하여금 그런 특성과 능력을 배양하고,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협조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참 고 문 헌
김영화, 이인효, 임진영(1994). 한국인의 교육 의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p.79
이혜영, 유방란, 윤여각(2001). 중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정책기획위원회(2001). 국가경쟁력 관련 자료집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09.08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