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을 통한 현대인의 해방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파울로 프레이리의 敎育思想을 中心으로


I. 序論
1. 現代의 人間 狀況과 그 對案들
2. 硏究의 目的과 範圍

II. 파울로 프레이리의 生涯와 思想의 背景
1. 파울로 프레이리의 生涯
2. 파울로 프레이리 思想의 背景
3. 파울로 프레이리의 現實 認識 - 主體인 人間, 客體인 抑壓的 社會, 變革의 歷史

III. 파울로 프레이리의 敎育論
1. 파울로 프레이리 敎育의 中心 思想 - 意識化 敎育
2. 파울로 프레이리의 敎育 方法 - 問題 提起, 對話, 行動 正式

IV. 파울로 프레이리 敎育論의 評價와 展望
1. 파울로 프레이리 思想의 批判的 省察
2. 파울로 프레이리 敎育論의 適用

V. 人間 疏外로부터 解放을 위한 敎育的 提言

본문내용

이 일어나고, 이 행동 - 성찰 - 행동 이 바로 프락시스이다. 교회에서 청소년들의 실천은 매우 제약되어 있으나, 여기에서는 거대한 것만을 말하는 것이아니라, 실천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삶의 행동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실천은 그들이 가정, 학교, 사회, 그리고 교회에서 행하는 일이나 사건도 포함한다. 이 실천적 측면에 있어서 교회교육은 먼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실천 방법을 찾아내고 그 실천을 통하여 자신의 삶의 성찰하고, 교회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경험을 공유하게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신앙을 통한 실천이 청소년들의 전 삶의 영역으로 확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찰은 행동의 결과를 분석적으로 인식하는 행위일 뿐 아니라 새로운 행동을 예시하는 방법이면서, 경험에 뒤따르는 상황을 의식적으로 활력화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행동과 성찰은 동시성을 가지며 동시에 상호 보충적인 기능 속에서 비로소 인간은 세계를 의식하게 되고, 세계를 역사화하는 일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참여와 실천을 통한 교육은 이전의 의식화나 공동체성을 위한 교육을 총괄하여 돕는 방법이고, 이를 통하여 고립된 개인은 공동체적 삶의 현장으로 나오고 연대성의 참 의미를 깨달음으로써 풍요로운 활동을 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모든 과정이 현대의 청소년들이 느끼는 소외감과 고립감, 그리고 이기주의의 삐뚫어진 감정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교회교육에 있어서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그들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다. 하나님의 공동체를 만드는 것과 그것을 이끌어 가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라는 신앙 속에서 인간이 노력할 때에, 그 신앙은 개혁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용기와 에너지를 끊임없이 우리에게 공급한다. 이러한 신앙을 근거로하여 교회교육은 그 신앙을 확실한 방법으로 전달하고 계승하는 것이어야 한다. 곧 교회교육의 본질은 우리가 각각의 인간으로서 또한 교회로서 이 신앙과 하나님의 목적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람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는 일체의 활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문제를 인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1. 은준관, 『교육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6)
2. 은준관, 현대의 교육신학 , 『기독교교육사』, (서울:교육목회, 1992)
3. 은준관, 『기독교교육 현장론』, (대한기독교출판사, 서울, 1988),
4. Paulo Freire, The Pedagoy of The Oppressed, 성찬성 역, 『페다고지-민중교육론』,
(광주:광주, 1986)
5. ____________, The Politics of Education, 김쾌상 역, 『실천교육학』, (서울:일월서
각, 1986)
6. ____________, Education as Cultural Action, 김쾌상 역, 『문화적 행동으로서의 교
육』, (서울:한길사, 1979)
7. ____________,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채광석 역, 『교육과 의식
화』, (서울:새밭, 1978)
8. 황필호, 『이데올로기, 해방신학, 의식화 교육』, (서울:종로서적, 1985)
9. Erich Fromm, The Sane Society, 이용호 역, 『건정한 사회』, (서울:백조출판사,
1983)
10. ___________, The Revolation of Hope, 최혁순 역, 『희망의 혁명』, (서울:서음출판
사, 1983)
11. Fritz Pappenheim, The Allenation of Modern Man, 황문수 역, 『현대인의 소외』,
(서울:문예출판사, 1978)
12. Jean-Paul Sartre, Situaition V, 박정자 역, 『상황 V』, (광주:사계절, 1983)
13. Rollo May, Man's Search for Himself, 백상창 역,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서
울:문예출판사, 1974)
14. 務台理作, 『현대의 휴머니즘』, 풀빛편집부 역, (서울:풀빛, 1982)
15. Frantz Fanon, Les Damn s de la Terre, 구자익 역,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 (서
울:언어문화사, 1986)
16. Penny Lernoux, Cry of The People - The Struggle for Human Rights in Latin
America, 이부영 역, 『민중의 외침』, (왜관:분도출판사, 1984)
17. 고재식, 『해방신학의 재조명』, (광주:사계절, 1986)
18. Gustavo Gutierrez, Theology of Liberation, 편집부 역, 『해방신학』I, (서울:한밭
출판사, 1984)
19. Leonardo Boff - Clodovis Boff, Como fazer teologia da libera o, 김수복 역,
『해방신학 입문』, (서울:한마당, 1987)
20. T.G.Sanders, The Paulo Freire Methods, 박동규 역, (서울:제 3일사, 1972)
21. 문동환,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이론 , 『세계와 선교』 21집, (서울:한신세계와 선
교사, 1971)
22. 최기준, 파울로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론 비판 연구 , 연세대학 석사논문, 1976
23. 이영조, 파울로 프레이리와 레티 러셀 비교 연구 및 비판 , 연세대학 석사논문,
1974
24. 노정선, 『통일 신학을 향하여』, (서울:한울, 1988)
25. Reinhold Niebuhr, Faith and History, 편집부 역, 『신앙과 역사』, (서울:종로서
적, 1983)
26. Reinhold Niebuhr,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이병섭 역, (서울:현대사상사,
1972)
27. 강희천, 『기독교교육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1),
28. John H. Westerhoff III,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