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접근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들을 권면하였다. 할레이는 불안 발작, 우울 증상 발현, 공포 증세, 알코올 마력과 같은 증상들에 대한 정신 역동적 설명을 강력히 거절했다. 그는 증상들을 가족간의 관계를 통제하기 위하여 한 식구가 사용하는 대인관계 작전들이라고 보았다. 치료자로서 할레이는 관계를 규정하는 다른 전략들을 개발하도록 가족식구들을 격려하는 방법들을 고안하였다. 이렇게 되면 증상들은 쓸모 없는 것이 되어 식구들은 그것들을 버릴 수 있다. 그는 또한 치료자와 환자들이 서로 간에 사용하는 힘의 대결을 강조하고 가족상담자들은 주도권을 잡고 가족 변화를 지시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족구조이론에 근거한 중재 방안
가족구조 이론은 여러 다른 하부 가족구조들 간의 관계, 가족 경계선들, 발달 단계마다에서 발생하는 변화에의 적응 능력, 등에 초점을 맞춘다. 미누친(Minuchin, 1974)에 의하여 처음 개발된 구조 이론은 가족 단위 전체의 긍정적 전인성을 중시한다. 가족의 상호작용들은 근원적인 구조나 조직에 대한 암시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가족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반하여 구조 주의자들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느냐 보다는 '어떠한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느냐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둔다. 가족구조 이론은 혼동, 분열, 가족 지도, 가족 균형,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살바도르 미누친의 구조이론
치료자로서 미누친(Salvador Minuchin, 1974a, 1974b)은 가족에 들어가서 그 가족과 관계를 맺고 그 가족에 적응하고 나서 가족의 조직을 재배치하는 중재 방안을 고안한다. 그래서 가족이 더 기능적으로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구조를 재구성한다. 그는 원치 않는 행위를 유지시키는 역기능의 모형들을 직면하고 도전하여 가족을 재구성한다. 그의 가족 치료 기법은 '혁신적이다', '계획적인 조작 방법이다', '극적이다', '연극적이다', '비관습적이다'(Goldenberg & Goldenberg, 1988), 등으로 불린다. 그의 치료 작전은 가족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끔은 가족 위기에 빠질 정도로 스트레스를 주어서, 가족의 항상성의 균형을 깨뜨린다. 그렇게 해서 가족 변화의 장을 마련하고 가족 상호 간에 더 합당한 방법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돕는다. 그는 병적인 증상을 가족의 구조 문제가 현상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고 가족 치료에서는 가족구조를 재구성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가족 행동 이론에 근거한 중재 방안
가족 행동 이론가들은 부적응의 가족 모형들을 학습 이론으로 설명한다. 적극적 부정적 강화 방법, 계획적 조절 방법, 구체화, 모델링, 소멸, 그리고 다른 학습절차들을 조직적으로 가족문제교정에 적용한다. 행동주의적 분석은 문제행위들에 대한 조심스러운 실천적 정의, 조직적인 관찰, 행동들과 그 행동과 관련된 자극 사건들을 신뢰할 수 있게 기록하는 것 등을 요구한다. 행동주의적 평가는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우발성을 명료화시켰다. 치유목표는 서로 합의하여 만들고, 치료자는 가족의 역기능의 행동들을 강화시키는 우발성들을 고치도록 지도한다.
제랄 페터슨의 사회학습요법
페터슨(Gerald Peterson, 1971)은 부모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자녀들을 효과적인 행동조정기술들을 사용하게 한다. 훈련 받은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적응력이 있는 행위 모형을 가르치고 수행하게 지도한다. 문제 자녀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심층적으로 연구 조사한 후에 그는 부모들을 가르치는 구체적인 절차들을 만들어 내었다. 여기에는 자녀의 행동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조사하는가, 또는 어떻게 강화 계약을 합의하는가 등이 포함된다. 미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패터슨은 이런 행동적 접근의 효과성을 실증했다.
리차드 스튜아트의 계획적 대인관계 요법
스튜아트(Richard Stuart, 1976)는 불화관계에 있는 부부치료 중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조사를 발표했다. 그는 부부간에 그들이 할 수 있는 최상의 관계개발을 도왔다. 그는 치료과정의 8단계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부부행동의 적극적인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는 부부간에 행동주의적 계약을 맺는 일과 효과적인 결정전략을 가르친다. 그는 부부가 넉 달에 한 번씩 발전 상황을 자기 점검하게 하고 새로운 관계 변화 목적들의 제정을 권장한다.
로버트 리버만의 우발성계약(Contingency Contract)
리버만(Robert Liberman, 1972)은 가정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우발성 강화 프로그램을 새로 작성하려고 했다. 그는 적극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행동의 구체적 교정을 동의하는 여러 가족식구들 사이에 우발성계약을 맺게 한다. 리버만은 행동주의적 방법으로 목표설정에 합의한 후에 그 가족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현재의 우발성 강화행동을 변화시켜 적응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도록 지도한다. 그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치료자의 역할을 강조하고, 구조주의적 관점을 가미시킨다. 그는 우발성 계약의 기술을 개발했다. 여기에는 다른 가족식구들과 자신에게 주는 보상을 확인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보상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공감하고 보상제공의 비용을 정하고 교환하는 것 등이다.
다른 중재모델들
이외에도 수많은 가족상담모델들이 여러 독립적인 치료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제랄드 쥬크(Gerald Zuk, 1971)는 '3자관계에 기초한 가족치료' 접근을 개발했다. 이 모델에서 그는 만성적인 부적응의 관계모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족식구들 사이에 '사이로 가기(go-between)' 과정을 통제한다.
죤 벨(John Bell, 1975)은 소그룹행동의 사회심리학에 기초하여 '가족그룹치료'를 개발했다. 벨은 문제해결을 촉진하고 가족결정을 고무하기 위하여 그룹과정 지도자로 가족을 돕는다.
H. P. 라커(Laquer, 1976)는 네 가정이나 그 이상 가정들을 이 치유의 촉진자로서 함께 행동하는 '다수가족요법'을 개발했다.
부록2는 위에서 소개한 가족상담 모델을 소개하는 저서들을 소개했다. 여기에는 가족상담에 관한 최근의 핸드북과 교제들도 포함했다. 이 책들은 여러 가지 중재기술들에 관한 더 전문적인 정보들을 제공할 것이다.

키워드

가족,   상담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2.10.0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