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대중문화 매니지먼트산업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제2절 연구문제
제3절 연구방법
1.연구관점
2.연구범위와 연구체계
제2장 대중문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대중문화론과 문화산업론
1.대중문화론과 문화산업론
2.한국의 대중문화 인식 변천과 연구 경향
제2절 90년대의 대중문화와 사회발전
1.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대중문화 생산양식의 변화
2.사회경제적 지표와 대중문화 소비행태의 변화
제3장 90년대의 대중가요와 스타만들기
제1절 대중가요와 사회
1.대중가요의 의미: 노래의 사회학
2.대중가요의 장르적 변천과 대중문화론적 인식
제2절 대중가요 스타의 사회적 의미:
이미지와 허구의 상품화 전략
1.사회현상으로서의 가요스타
2.문화상품으로서의 가요스타
제4장 90년대 대중가수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
제1절 대중가수 매니지먼트의 발전
1.대중가수 매니지먼트의 역사
2.대중가수 매니지먼트의 성격
제2절 대중가수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특성
1.조직구조
2.기획구조
3.스타만들기
(1)판촉구조
(2)소비구조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논의98
제2절 논문의 제한점



본문
생활의 양적 측면의 성장을 우선시 하던 산업사회 단계가 지나게 되면 사람들은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면서 마음의 풍요를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경제와 문화의 상호관계, 즉 물질적인 삶과 정신적인 가치의 조화에 대해서도 종전과는 다른 접근방식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시말해 물질적인 가치가 중시되던 경제시대에서 정신적인 가치가 중요시되는 문화시대로의 이행이 공공연히 운위된다. 성숙한 경제시대란 동시에 질 높은 문화시대를 뜻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행히도 이제 경제도 넓은 의미에서 문화의 일부라는, 문화로서의 경제에 대한 이해가 보편화 되기 시작한다. 물론 경제가 발전되어야만 문화창조에의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본문내용

서 한국사회는 과연 대중사회이며 한국의 문화는 대중문화인가'
)1971년 한완상과 노재봉사이의 논쟁. 같은해 서강대 주최 대중사회와 대중문화에 대한 심포지움 에서 한국의 대중사회와 대중문화현상에 대해 논의. 강현두,유재천,이근삼 공저, 현대사회와 대중문화(서울: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74). 중앙일보 1975. 11.24-12.24일자를 통하여 한국의 대중문화'라는 지상 심포지움에 참여한 윤 용,이상섭,이만갑,유현목,이근삼 등의 교수와 현장실무에 참여하는 다수인의 대중문화론에 대한 전개. 김 현, 대중문화의 새로운 인식', 뿌리깊은나무(서울:브리테니커사, 1987.4), pp.42-48. 김 현 교수는 이 글에서 1960년대로부터 1970년대로 이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를 '의사 대중사회'의 차원에서 설명을 시도하고 그 요인을 대중매체와 근대화에서 찾고있다.
라는 문제에 대한 논란으로부터 시작된 한국의 대중문화 논의는 70년대 들어 급속한 산업화과정을 겪으면서 학술적 영역에서 주요 관심사의 하나로 대두하였고 80년대에 와서 더욱 활발한 성과를 낳았다.
)80년대 나타난 대중문화에 관한 주요 논의는 강현두 편, 대중문화의 이론(서울:민음사, 1980). 강현두는 이 글에서 60년대의 각종 주간지 창간과 상업방송 및 텔리비젼 개국, 70년대의 문화적 폭증 현상에 따른 대중문화 현상을 지적하고 있다. 김주연 편, 대중문학과 민중문학(서울:민음사, 1980). 노만 제이콥스 편, 강현두 역, 대중시대의 문화와 예술(서울:흥성사, 1980). 알란 스윈지우드, 이강수 역, 대중문화론의 원점(서울:전예원, 1984). 이강수는 이글 서문에서 한국의 경우도 대체로 70년을 기점으로 산업사회 단계로 접어듬과 동시에 매스 미디어의 보편적인 대중화현상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뤼시엥 골드만, 천회상 역, 문학과 변증법(서울:지양사, 1986) 등이 있다.
특히 80년대에는 이른바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패러다임이 도입되면서 단순한 미학적 관점을 벗어나 대중문화를 좀더 구조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시각들이 소개되었고
)이상희, 커뮤니케이션과 이데올로기(서울:한길사, 1983), 박명진,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과와 문제점(서울:나남, 1989), 등 참조.
진보적인 문화운동의 활발한 전개와 함께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확대되었다.
학술적 영역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구미의 대중사회론의 맥락
)Alan Swingewood, The Myth of Mass Culture(London,Macmillan, 1977). 이강수 역, 대중문화론의 원점(서울:전예원, 1984) 참조. 알란스윈지우드는 이 글에서 리비스, 엘리어트와 같은 문예 비평가, 아도르노, 마르쿠제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들에 의한 대중문화의 비판적 관점과 아울러 근래의 후기산업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이론과 같은 보다 낙관적 관점을 포함한 대중사회와 대중사회론의 발전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박기성, 앞의 책, 참조. 박기성은 이 글에서 대중문화의 이론적 근거를 모색해보기 위해 대중문화론의 전개동향을 구미의 대중문화론, 한국 대중문화론, 문화산업론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특히 구미의 대중문화론에서는 매슈 아놀드(Mathew Arnold), 엘리오트(T.S. Eliot), 로젠버그(Bernard Rosenberg), 맥도날드(Dwight McDonald), 하그(Ernest Van den Haag), 지너(Salvador Giner) 등의 대중문화 비판론, 화이트(David Manning White), 쉴즈( Edward Shils), 릴(Michael Real), 로웬탈(Leo Lowenthal), 바우먼(Zigmunt Bauman) 등의 대중문화 긍정론으로 유형화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에서 한국사회의 대중문화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들은 대중문화가 가지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한국사회의 구조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상희, 한국의 사회적 상황과 그 문화의 특성:대중사회론의 시각에서 , 신문연구(1977, 가을), pp45-54. 이상희, 대중문화에 대한 문명비판론적 연구 , 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와 문화(정신문화연구원, 1980) 등 참조.
대중문화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구미의 다양한 이론적 자원들이 본격 소개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대중문화의 긍정론과 부정론, 네오맑시스트들의 대중문화이론 등이 본격 소개되면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한층 풍부하고 균형잡힌 것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강현두 편, 대중문화의 이론(서울:민음사, 1980). 강현두 편, 대중문화론(서울:나남, 1987), 강현두 편, 한국의 대중문화(서울:나남, 1987). 이강수, 매스 커뮤니케이션사회학(서울:나남, 1987) 등 참조.
이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 그간의 다양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의 대중문화는 학술적 담론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당당히 중심적인 주제로 자리잡았으며, 단순한 미학적 편견이 아니라 거시적인 사회관계와 구조의 맥락에서 그 의의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성과가 한국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이해하고 그 바람직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 중요한 인식의 진전을 이룰 수 있게 해 준 것임은 분명하다.
문제는 대중문화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논의에서 한국의 실제 대중적 문화현상의 안으로부터 접근하여 그러한 성격과 구조가 어떤 방식을 통해 작용하는가를 세밀히 분석하는 작업이 충분치 않았다는 점이다. 그동안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는 구미 대중문화이론의 프리즘으로 한국의 문화현실을 재단하는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학술적 영역에서 보이는 이러한 이론중심적인 경향은 그동안의 한국 대중문화현상에 대한 논의의 다양성을 크게 제한해 왔다. 그런 와중에도 80년대 들어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의 이론적 자원을 한국 문화 현실의 구체적인 현장에 대한 관심과 결합시킴으로써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보다 적절한 이해를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던 것은 사실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04페이지
  • 등록일2002.10.0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