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의 제작활성화를 위한 열 가지 투자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국영화의 제작 현황과 과제
1. 한국영화의 제작 현황
2. 한국영화 제작의 과제

Ⅱ. 세계 영화산업의 제작 및 투자 현황
1. 세계의 영화제작 현황
2. 세계의 영화제작 투자 현황
3. 민간투자의 중요성

Ⅲ. 영화제작의 10가지 자금조달방법
1. 파트너쉽
2. S 법인의 설립
3. 주식금융
4. 투자약정
5. 해외금융
6. 기획개발금융
7. 선매금융
8. 교부금
9. 네트워크금융
10. 은행금융

Ⅳ.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다양한 형태의 조세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세계 최강을 자랑하는 미국 영화산업계의 경우에도 과거 1960년 말 캘리포니아주 의회가 영화진흥을 위해 민간의 영화제작 투자 활동에 대해 파격적인 세금 공제혜택을 부여한 바 있음.
. 또한, 미국의 연방정부는 1976년부터 1986년까지 10년간 민간의 영화산업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조치를 취한 바 있음. 이러한 미국 정부의 투자감면조치는 미국의 메이저 영화사와 독립제작사의 자본축적과 제작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함으로써 미국 영화사들이 세계 영화산업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따라서, 이하에서는 한국영화에 대한 민간자본 유입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정책 방향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함.
- 우리 영화산업의 제작부문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관련된 사회간접시설의 확충이라는 정부의 역할도 강조되어야 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무엇보다도 민간이 주도하는 제작 자본시장의 형성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평가됨.
. 특히 민간자본이 제작부문에 지속적으로, 원활히 유입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금융조달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이 전제되어야 하며, 정부는 이러한 시스템이 영화산업계에 조기 정착되도록 기존 시스템의 개정과 함께 새로운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에 있어서 인센티브 조치가 요구됨.
. 예를 들면, 영화제작을 위한 투자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미국의 파트너십, S 법인 등과 같은 새로운 조직의 설립 및 과세체계의 개편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다음으로, 현재 문화적 차원을 겨우 벗어나기 시작하고 있는 국내 영화계가 명실공히 세계와 경쟁하며, 또한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의 커다란 영역으로서 제 몫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엔지니어링뿐만 아니라, 자본조달기술, 판매 및 마케팅기술 등에서 선진국과의 격차를 하루속히 줄여야 할 것임.
. 이를 위해서 현장 및 기능·기술교육에 편중된 현재의 교육·훈련체제를 개선하되, 특히 자본조달, 판매·마케팅, 지적재산권 및 상품개발 등 모든 비즈니스와 관련된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균형있는 교육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함.
- 마지막으로, 상업위성방송의 확대, 디지털기술의 발달 및 유통채널의 급속한 증대 등은 영화의 재활용 시장을 전세계적으로 크게 확대시킬 것으로 전망되지만, 우리 영화는 아직 컨텐츠 자체의 경쟁력뿐 아니라, 언어와 문화장벽으로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됨.
. 그러나, 최근 우리 영화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우리 문화와 유사한 일부 아시아권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들 국가와의 합작제작 투자 및 배급에 관한 협력체제를 강구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세계 주요 상영시장인 구미선진국과도 제작뿐 아니라, 기획개발 및 배급과 관련한 공식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국내 영화인력의 기회 확대와 함께 시장개척의 이점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참 고 문 헌 
. 구문모(1999), 「영화.음반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 방안」, 산업연구원.
. 구문모(1999), 「영상.음반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 구문모 외(2000),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서울 : 을류문화사.
. 김기태(1997), 「영화흥행을 위한 마케팅」, 서울 : 삶과 꿈.
. 김형석(1999), 「영화 마케팅 비즈니스」, 서울 : 문지사.
. 문화관광부(2000), 「2000 문화산업백서」.
. 문화관광부.영화진흥위원회(2000), 「21세기 영상문화 시대의 영화진흥정책」.
. 송기재 외(1998), 「벤처기업을 위한 자금원 확충방안」, 산업연구원.
. Australian Film Commission(2000), A Study of Australian and international funding and practice in the feature film industry, www.afc.gov.au.
. Barry R. Litman(1998), The Motion Picture Mega-Industry, Allyn & Bacon.
. DACST(1998), The South African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Report, The SA Film and Television Sector.
. European Commission(1997), The European Film Industry under Analysis, europa.eu.int.
. Harold L. Vogel(1998), Entertainment industry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Jason E, Squire ed.(1995), The Movie Business Book.
. John W. Cones(1992), Film Finance & Distribution, Los Angeles: Silman-James Press.
. (1998), 43 Ways to Finance Your Feature Film,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KPMG(1996), Public Policy Issues Arising from Telecommuni- cations and Audiovisual Convergence.
. Renee Harmon(1994), The Beginning Filmmaker's Business Guide, New York : Walker and Company.
. Schuyler M. Moore(2000), THE BIZ : the basic business, legal, and financial aspects of the film industry, Los Angeles : Silman-James Press.
. Screen Digest, screendigest 각 월호.
. Tim O'Neill(1997), Industry Profile: The Canadian Film & Video Industry, Toronto : Bank of Montreal.
  • 가격2,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