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재교육의 운영실태와 효율화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의 의의

Ⅱ. 이론적 배경
1. 영재아와 영재교육
2. 초등학교 영재판별
3. 영재교육 프로그램
4. 초등학교 영재교육 운영방법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도구 및 방법
3. 자료 처리

Ⅳ. 결과해석 및 논의
1. 연구결과 및 해석
2.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2. 제 언

본문내용

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라. 운영방법적 측면
영재교육 운영 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해야 한다. 현재 우리 나라의 영재교육 운영방식은 방과후 영재반 운영(69.1%)이 대부분이며, 가장 적절한 방법도 방과후 영재반 운영(60.7%)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과목은 미술, 음악, 외국어를 선호하는 입장에서 창의성, 과학, 컴퓨터를 희망하는 입장으로 바뀌었다.
형식적인 교과별 속진이 아닌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서는 교과별 속진제의 실시에 필요한 다양한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 시설 및 설비를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마. 담당교사 측면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 현재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외래강사(38.6%)보다 연구교과교사가 담당있어 외래 전문강사가 맡는 것(65.5%)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며 영재교육교사의 자격증 코스(29.6%)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영재교육이라는 미명하에 영재교육을 실시하기는 하지만 교육 대상자만이 일반 교육과 다를 뿐, 가르치는 교사나 교육 내용 그리고 교육 방법에 있어 일반 교육과 별로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많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어느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에도 영재교육에 관한 과목이 개설된 경우가 거의 없다. 다만 대학원 과정에서 2-3학교가 전공선택으로 영재교육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그만큼 자질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길러낼 제도적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질높은 영재교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법적 장치와 교육적 조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초등학교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안을 조사한 연구로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설문지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실시동기는 교육청과 학교 교육방침에 따라 실시하고 있으며, 초등영재학교의 운영은 아직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둘째, 영재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 실시과목은 미술, 음악, 외국어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은 창의성, 과학, 컴퓨터이다. 운영방법은 실태와 개선점 모두 방과후 영재반 운영과 클럽활동 시간 이용, 전문가 개별지도이며, 프로그램 개발 적용은 담당교사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어 전문 영재교육기관과 학교 공동개발이 요구된다.
세째, 영재판별 측면에서 선발의 기본원리는 종합적인 판별과 목적에 따라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판별방법은 취미와 적성, 지능과 예능능력에 따라 선발하고, 판별도구는 본인과 학부모의 희망, 담임교사의 추천, 학업성취도 검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구체적인 선발방법이 없으므로 담임과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각종 표준화된 적성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네째, 영재교육교사 측면에서 담당교사는 외래강사. 담임교사, 연구담당교사들이 담당하고 있어 교사의 자질은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연수방법은 자격증 코스개발, 구체적인 내용 워크섀을 요구한다.
다섯째, 행정적 측면에서 상부기관 지원은 구체적인 사항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가장 필요한 지원영역은 영재아 판별도구, 교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등을 제시하고 있다.
2. 제 언
1. 영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모델개발이 요구된다.
2.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자격코스 개설이 요구된다.
3. 영재교육에 대한 영역별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김정휘(1992). 영재학생 그들은 누구인가. 서울: 과학교육사.
김진희(1994). 영재판별평정척도의 타당화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김헌수(1995). 남북한의 영재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천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박정순(2001). 재능아 지도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을 통한 영재교육. 영재교육 연구 보고서.
송찬원(2001). 초등영재교육의 판별.교육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신세호(1979). 영재교육의 이론.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43.
영재교육진흥법 제 2조, (1999, 12).
영재교육진흥법 제 5조 1항, (1999. 12).
이재신(1995). 국제 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충북의 영재교육. 영재교육논총. 한국교육개발원. 261-267.
조석희(1994). 일반학교에서의 효율적인 심화학습 프로
그램 운영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7-85.
조석희(1995). 영재성과 영재교육의 개념. 서울 : 영재교육
조석희(1996). 영재교육 판별과 실제. 한국영재학회. 39.
조석희(1998). 초등학교 영재심화학습 운영방안. 한국교육개발원. 39-43.
Gagne, F.(1993). Definitions of Giftedness. Oxford : Pergamon.34.
Gardner, H.(1983).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 Basic Books. 69-87.
Goldring, E. B.(1990). Assessing the status of information on classroom organizational frameworks for gifted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3. 313-326.
Lindsey, M.(1980). Training Teachers of the Gifted and Talented.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Renzulli, J. S., & Reis, S. M.(1985). The Schoolwork Enrichment Model :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 T.: Creative Learning Press.
Tannenbaum, A. J.(1983). Gifted Children :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 Y.: Macmillan.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