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도우미사업 운영평가와 개선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Ⅰ. 문제의 제기
1. 서울가정도우미사업의 등장 배경
2. 가정봉사원과 가정도우미사업
Ⅱ. 연구목적 및 범위
1. 연구목적
2. 연구의 범위
Ⅲ. 조사연구 및 방법
1. 설문 조사 내용 및 구성
2. 설문조사의 개요

제 2 장 가정도우미의 이론적배경
Ⅰ. 가정도우미의 개념
1. 가정도우미의 정의
2. 전임직원형과 파트타임형 가정도우미
Ⅱ. 미국과 일본의 가정도우미사업
1. 미국의 가정봉사원제도
2. 일본의 가정도우미사업
Ⅲ. 가정도우미서비스의 비용수납체계
1. 미국 가정도우미서비스의 비용수납체계
2. 일본 가정도우미서비스의 비용수납체계

제 3 장 가정도우미사업 운영사례유형
Ⅰ. 유형1> 구청 가정복지과 혹은 사회복지과에서 총괄하고 있는 경우(22개구)
1. 운영내용
2. 팀운영센터
3. 가정도우미 및 대상자 선정
4. 가정도우미 지도체제
5. 평가
Ⅱ. 유형2> 구 보건소에서 총괄하고 있는 경우(은평구, 중구)
1. 운영현황
2. 팀운영센터
3. 가정도우미 및 대상자 선정
4. 가정도우미 지도체제
5. 평가
Ⅲ. 유형3> 구청에서 팀센터를 지역복지관에 두어 관리하는 경우(동작구)
1. 운영현황
2. 팀운영센터
3. 평가

제 4 장 가정도우미 사업 2개년 운영평가 및 조사연구
Ⅰ. 대상자 설문 조사 보고서
1. 대상자 특성
2. 가정도우미 서비스 현황
3. 가정도우미 서비스 평가
4. 요 약
Ⅱ. 가정도우미 설문조사 보고서
1. 가정도우미 특성
2. 가정도우미 참여 경로
3. 가정도우미 활동
4. 가정도우미 지도·감독
5. 가정도우미 서비스 평가
6. 요 약
Ⅲ. 가정도우미 담당자 설문조사
1. 가정도우미 담당자의 특성
2. 가정도우미 인식
3. 대상자 및 서비스 관리·조정
4. 가정도우미 운영·관리
5. 서비스 통합화 및 전달체계
6. 요 약
Ⅳ. 사회복지사 설문조사 보고서
1. 사회복지사 특성
2. 가정도우미 제도 인식
3. 서비스 조정 및 관리 문제
4. 요 약
Ⅴ. 가정도우미 서비스 평가 및 전달체계 비교분석
1. 가정도우미 평가
2. 요 약
Ⅵ. 설문조사 결론
1. 가정도우미 사업의 효과성
2. 봉사정신이 투철한 가정도우미의 선발 및 평가제도의 도입
3. 가정도우미 관리제도의 개선
4. 가정도우미서비스 연계체제의 강화
제 5 장 결 론
1. 가정도우미 서비스 대상자 확대
2. 가정도우미 자질 평가 방안
3. 가정도우미 서비스 개선
4. 가정도우미 활동 파트타임제도 도입
5. 가정도우미 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
6. 서울 가정도우미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모형
7. 가정도우미사업을 수익사업으로 확대
8. 가정도우미교육의 강화 및 자격화

본문내용

재가복지봉사센터)에서 담당
___③ 지역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설정 ___④ 기타(자세히: )
42. 만약 가정도우미 사업이 조정, 통합된다면 운영·관리의 주체는 누가 적당합니까?(하나선택)
___① 공적 영역(구청 혹은 보건소)에서 담당
___② 민간 영역(노인/장애인/사회복지관 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에서 담당
___③ 지역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설정 ___④ 기타(자세히: )
43. 종합적인 서비스 조정 및 연계 체제(사례관리)를 누가 담당하는 것이 적당합니까?(하나선택)
___① 공적 영역(구청 혹은 보건소)에서 담당
___② 민간 영역(노인/장애인/사회복지관 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에서 담당
___③ 지역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설정 ___④ 기타(자세히: )
◎ 설문과 관련하여 귀하의 신상에 대하여 몇 가지만 여쭈어 보겠습니다.
44.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___① 남자 ___② 여자
45. 귀하의 연령은 만으로 얼마입니까? 만________세
46. 귀하는 공무원 경력이 얼마나 됩니까? 만________년
47. 귀하는 가정도우미 관련 업무 경력이 얼마나 됩니까? _________개월
48. 귀하가 현재 근무하는 관청은 어디입니까?
___① 구청 ___② 보건소 ___③ 동사무소 ___④ 기타
49. 귀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셨습니까?
___① 대학원 전공 ___② 대학(4년제) 전공 ___③ 전문대학 전공
___④ 사회복지연수원 ___⑤ 관련교육 수료 ___⑥ 전공하지 않음
◎ 기타 가정도우미 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문제점을 지적해 주시거나,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지금까지 설문에 응하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V41
V42
V43
V44
V45-AGE
V46-CARR
V47-HELPER
V48
V49
참고문헌
Alfred Kadushin, Homemaker services, The Chaucer Press, Great Britain, 1983
Area 2 Agencies on Aging, Real Services, Inc (in Indiana). Vendor Manual, FY 1997/98-98/99
Christine A. Rovinski, et. all, Home Care: A Technical Manual for the Professional Nurse, W. B. Saunders Company, 1989.
Cynthia Policy, Marie Parker, Deborah Chase, Margaret Hottinger, Managing Health Care for the Elderly, United Health care Corporation, John Willey & Sons Inc., 1992.
Eileen R. Chichin & Marjorie H. Cantor, The Home Care Industry: Strategies for Survival in an Era of Dwindling Resources, in Journal od Aging & Social Policy, Vol. 4(1/2), 1992 by The Haworth Press, Inc.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90.
Indiana Family and Social Services Administration, IN-HOME SERVICES Bulletin, July, 1992, State of Indiana.
Real Services, Service and Administrative Requirements, 3/1/97.
Real Services, Vendor Book, 1993
Robert B Hudson, Home and Community-Based Care: Recent Accomplishments and New Challenges, in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7, No.3/4, 1996.
Robert C. Myrtle & Kathleen H. Wilber, Designing Service Delivery Systems: Lessons from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Systems of Care for the Elderly, i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May/June 1994, Vol. 54, No.3.
State of Indiana, Community and Home Options to Institutional Care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CHOICE) - Guidelines and Procedures, July, 1996
東京在宅福祉硏究會, 『Homehelper(ホ-ムヘルパ-)のためのGuide Book(ガイドブック)』, 誠信書房, 1997.
森 幹郞, 『Home Helper(ホ-ムヘルパ-)』, 財團法人 日本生命濟生會, 1974.
日本全國社會福祉協議會, 『全國(home help service)ホ-ムヘルプサ-ビス運營者硏究協議會報告書』, 1996.
고양곤, 재가노인복지의 개념과 서비스 방안, 「재가노인복지사업 -이론과 실제」한국노인복지회 편저, 홍익제, 1997.
김범수, 『재가복지론』, 홍익재, 1992.
김범수, 서울가정도우미의 등장배경과 과제, 사회복지신문, 1996.4.8일자. 4월 22일자.
데이비드 피 목슬레이 저, 김만두 편역, 『효과적인 복지서비스를 위한 사례관리 실천론』, 홍익제.
서울특별시 가정복지과, 가정도우미 사례집,『나를 기다리시는 할머니.할아버지』,1996.
서울특별시, 『서울가정도우미 운영지침』,1996.
서울특별시, 『서울시 사회복지 기초수요조사 및 정책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8.
이가옥, 권중돈, 권선진, 강혜규, 『가정봉사원제도의 정착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1.
이창희, 재가노인을 위한 가정봉사 활동의 이론과 실제, 홍익재, 1992.
일본전국사회복지협의회, 『현대사회복지사전』, 1990.
최은영, 『노인보호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영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1996, 한국여성개발원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12페이지
  • 등록일2002.11.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