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의 대중국 경제특구 진출 확대방안( 신의주 중국 국제경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중국의 개방정책과 경제특구 운영배경 실태

제 3 장 한국기업의 진출에 따른 문제점

제 4 장 한국기업의 진출투자 전략

제 5 장 결 론

본문내용

시장기회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단기적 성공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 안목에서의 투자전략 수립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초기의 맹목성을 벗어나 이성적으로 중국시장을 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기업들의 중국투자 확대에 따른 선진관리기법의 도입 등으로 인해 한국기업에 대한 이미지가 제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국기업의 진출이 많은 산동성과 요녕성 등 지방정부 지도자들이 한국투자기업 대표와의 정기적 면담, 외상투자 신고센터 설립 등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현지기업경영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정부 차원에서 용수, 전력, 통신시설,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드웨어 환경 이외에 소프트웨어 환경의 개선에도 주력하여야 한다. 이는 외자기업에 대한 서비스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관의 근무시간을 조정하여 주말에도 통관이 되도록 해야 하며 담당자가 없으면 일처리가 되지 않은 불합리한 관행도 개선되어야 한다.
우리기업들로서도 대중국 투자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중국의 실제 경제발전상황에 부합하는 투자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내륙지역에 대한 투자진출 확대도 좋은 방편의 하나로서 한국기업들은 이미 환발해만 지역에 대한 집중적 투자진출로 동 지역에서 어느 정도 기반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이들 지역을 전초기지로 하여 중국 중서부 내륙지역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 내륙지역에 대한 투자진출은 중국정부에서 장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륙의 경우 일부기업을 제외하고는 외국 대기업들의 진출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투자 선점 차원에서 우리기업들의 적극적 투자가 요청된다.
자원이 부족한 한국경제 상황에서 볼 때 중국의 농업 및 자원개발 등 분야에 적극 투자하는 일도 식량과 자원의 안정적 공급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 그리고 중국 국유기업의 기술개조 사업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중국 개혁 개방 초창기에 중국에 진출한 선진국 기업들은 경영상태가 양호한 중국 국유기업과의 합작에 주력하였는데 이러한 '강강연합(强强聯合)'의 방식은 한국기업들로서는 추진하기가 어려웠다. 한국기업들로서는 비교적 경영상태가 좋지 않는 기업이라고 해도 중국 국유기업과의 합작기회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중국에서의 발전을 도모해 가야 한다. 또한 94년에 설립된 '한중산업협력위원회'와 같은 방식으로 중국 유관지역과 지역간 협력기구를 설치하여 상호 교류를 활성화하는 일도 양국간 협력관계를 촉진하는데 중요하다.
○ 參考文獻
1. 김학수, 두만강지역 개발구상에 대한 논의와 전망, 대외경제연구 원, 1993
2. 김화섭, 『중국진출 무엇이 문제인가』, 산업연구원, 1997
3. 박상수『한국기업의 대중투자 실태 및 경영성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 12
4. 양평섭, 안종석, 『중국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변화와 한국의 대중투자』, KIEP 지역정보센터, 1992. 12
5. 이남구, 세계지역경제, 무역경영사, 2001
6. 정영록, 『선진국의 대중 경제교류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 6.
7. 제성호, 두만강지역 개발계획의 현황과 전망, 민족통일연구원, 1992. 12
8. 홍순태, 개방개혁시대의 중국경제, 을지 서적, 1995
9. 중국물가연간, 중국 물가 출판사, 1990∼1994
10. 중앙공론, 일본 중앙 공론사, 1994년2월∼1996년1월11. 중국의 경제정책 및 한중경제관계 전망, 전경련 세미나 자료 1995. 6
11. 통계에 나타난 한·중간 경제교류 실태. 통계청 국제통계과 1995. 8
12. 중국 현대 경제사, 매일경제신문사, 1994
13.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론, 진명문화사. 1995
14. 중국 경제 개론, 지영사, 1995
15. 중국의 선택, 한국경제신문사 1995
16.『중국의 공업발전전략과 산업정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
17.『중국 양자강 중상류지역의 투자환경과 기업진출전략: 호남·호 북·사천 중심으로』, 대한 상공회의소 한중민간경제협의회.
18.“중국의 WTO 가입이 국제통상환경에 미치는 영향,” 『통상법률』, 법무부, 통권 제8호, 1996. 4
19.“중국 WTO 가입의 경제적 효과”, 경영논총, 통권 제40집, 1996. 5
20.“중국의 WTO 가입전망과 내수시장의 구조변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제5권 제8호, 96년 8월호
21. "중국 시장의 유통장벽과 외자기업간의 전략적 제휴 가능성", [경영연구], 제30권 제2호
22.『중국 진출기업의 경영실태와 투자성과 분석: 산동성?요녕성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상의, 한중민간경제협의회, 1994. 11
23. 『중국 비즈니스 실무가이드』, 무역협회, 1996
24. 『중국투자사례분석』, 중소기업진흥공단, 자료 96-4, 1996. 3.
25. "중국투자 우리기업의 경영실태와 성과", 무역협회, 1995.3.
26.『중국 진출기업을 위한 노무관리 실무가이드』 무역협회, 1997
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지역경제, 각호
28. 동아일보사.신동아,「다시 보는 중국」, 1997
29. 지역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1997. 4∼9.
30. 한·중 관계론, 진성사, 1999
31. 한국비교사.비교사회-특별기획「중국의 전환」1997
32. 『한국기업의 對中투자 성과분석』, 대한상의, 한중민간경제협의회, 1994
33.『한국기업의 대중투자 현황과 전망』, 대한상의, 한중민간경제협의회, 1994
34.『해외직접투자 경험사례』, 조사자료 해정 96-1.
35.“WTO 가입이 중국경제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지역경제, 97. 8
36. WWW.KOTRA.OR.KR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7. WWW.KCCI.OR.KR (대한상공회의소)
38. WWW.MOCIE.GO.KR (산업 자원부)
39. WWW.KOFA.NET (한국외국기업협의회)
40. WWW.CHINA.KOFA.ORG (주한 중국대사관)
41. WWW.SERIECON.SERI.ORG (삼성경제연구소)
42. WWW.LGERI.COM (LG경제 연구원)
  • 가격2,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2.11.0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