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의 현재적 변용양상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완판본 {열녀춘향수절가}의 독자 생산적 수용양상

1. 신소설로 수용된 화해의 모티브-{옥중화}
2. 어둠을 밝히는 자유로의 의지-[춘향뎐]
3. 민중의 혁명으로 현실극복-{새춘향뎐}
4. 사실(事實)과 사실(寫實)의 외설적 묘사-{외설춘향전}

Ⅲ. 마무리

본문내용

민중들의 진정한 인간다운 삶은 몽룡과 춘향의 현실도피로 말미암아 환상의 세계로 전이된다. 현실의 모순을 외면한 채 환상의 세계로 도피한다는 사실은 인간다운 삶을 포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김용옥의 「새춘향뎐」에서는 민중들의 욕망이 동학혁명으로 표출된다. 동학혁명은 고종 31년 1894년 동학 교도가 주동이 되어 일으킨 농민혁명으로 밑으로부터의 혁명이다. 결과적으로 실패한 혁명이지만 대내적으로 위정자의 반성과 각성을 촉구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갑오경장이라는 정치적 혁신을 가져왔으며 대외적으로는 청일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작가는 군사 정권의 위정자들의 경각심과 현실에 소외당한 민중이 현실을 바로 직시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전달하였다. 여기서는 작가의 주체적 사고방식과 가장 적극적인 민중의 힘찬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주동인물의 죽음이라는 상황설정은 모순된 현실을 외면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김주영의 『외설춘향전』은 작가의 걸쭉한 입심으로 새롭게 태어난 우리 고전의 진수를 맛보게 해주었다. 아울러 보조인물로 등장하는 민중들의 결집된 힘으로 모순된 현실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연과 공백의 기법은 독자들의 역동적 독서행위를 가능하게 하였다.
오늘날은 아웃사이더의 부각과 함께 독자의 권위 또한 상승되고 있다. 반면에 작가의 권위는 점차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작가는 작가 이전에 한사람의 독자에 불과한 존재이다. 작품이 현대적으로 재생산된다는 것은 독자가 작가로 변하는 순간이다. 독자와 작가의 상호소통은 문학의 민주화를 위해서도 매우 타당하다. 특히 고전소설의 현대적 수용은 고전과 현대의 단절이 아닌 하나의 통합된 흐름을 파악하는 의도를 지닌다. 단순히 전통의 계승이나 낡은 문화적 유산의 부활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고전과 현대간의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대화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희돈, 『소설의 빈자리 채워읽기』, 양문각, 1993.
『한국문화상징사전』,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동아출판사, 1992.
박혜경, 「고전문학의 현대적 수용양상」, 『작가세계』, 1993. 여름호.
리몬 캐넌(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1987.
김수환, 『십육춘향전』, 오광인쇄주식회사, 1988.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병국 외, 「춘향전의 지평변환과 후대적 변모」,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1994
송재영, 「꿈의 연구」, 『작가세계』, 1990. 봄호.
최인훈, 『우상의 집』, 문학과지성사, 1976.
김용옥, 『철학강의』, 통나무, 1986.
______, 『새춘향뎐』, 통나무, 1989.
조윤제, 『교주 춘향전』, 을서문화사, 1979.
이만열, 『한국사 연보』, 역민사, 1985.
김기동, 『국문학 개론』, 태학사, 1981.
권영민, 『한국 민족 문학론 연구』, 민음사, 1988.
정병욱, 『한국 고전의 재인식』, 기린원, 1988.
차봉희, 『문예사조 12장』, 문학사상사, 1981.
차봉희 편저, 『독자반응비평』, 고려원, 1993.
최상규 역, 『수용이론』, 삼영사, 1985
장영태, 『도전으로서의 문학사』, 문학과지성사, 1983.
강남주, 『수용의 시론』, 현대문학사, 1987.
박찬기 외, 『수용미학』, 고려원, 1992.
정명환 외, 『20세기 이데올로기와 문학사상』, 서울대 출판부, 1979.
클라우스-미하엘 보그달 편저(문학이론연구회 옮김), 『새로운 문학 이론의 흐름』, 문학과지성사, 1994.
Appearance of modernistic transformation of 『Chunhyangjeon』
Kim Jae-Gook
This is cansidered about an aspect of reader's Productive reception of Choi in-hun's 『chunhyangjeon』(1970), Lee hae-jo's 『Ogjunghwa』(1910), Kim yong-ok's 『Sae chunhyangjeon』(1980) based on 『Yeoljeo Chunhyangsujeolga』.
Today, reader's power is rising with relief of outsider. The other side, writer's power is becoming more and more weakened. Writer is nothing but a reader before being writer. Reproduction of novel is the moment that reader is trans formed into writer.
Reciprocal action of writer and reader is a matter to be desired for democratic literature.
Especially, modernistic reception of classical novel has an intention of under standing that it is not discontinuation of classical navel and modern novel but unificated current Modernistic reception of classical novel can find the new meaning through creative conversation of classic and modern get over the revival of old fashioned cultural inheritance or succession of tradition.
Novel is based on the realities of life. Reproduction of novel isn't over looking at the realities of life in that time. Deficiency part in that time is appeared in novel. This is an order of novel and it is the way that we must go in the future.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11.0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