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논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논의의 배경

2. 집계적 생산함수와 한계생산력설

3. 비용함수에 의한 네오리카디언 모형의 재정식화

4. 자유주의의 실체적 해석과 자본논쟁의 해소

본문내용

원에서의 합리성을 보이는데 일정한 대가가 지불되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는 사상을 넘어 이론차원에서 자유주의 학설이 자본주의시장경제의 합리성을 설명하고 옹호하는 데는 일정한 장애가 있는 듯이 보인다. 이것이 단순한 이론의 미완성 때문인지, 본질적인 것인지는 흥미로운 연구거리이다.
지금도 많은 주류 경제학자들은 수미일관을 희생하고 이론적 결론의 단순성을 택하고 있다. 예컨대 일부 합리적 기대론자들처럼 고전파의 장기균형 개념을 극단적으로 해석하여 단기에도 시장은 항상 청산된다는 가정을 채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이론의 명쾌성을 희생하는 하는 한이 있더라도 수미일관성을 고수하는 이론화의 방향이 주류의 이론적 잠재력을 확대하고 생명력(vitality)을 유지하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예측이 자본논쟁이 던져주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결론적으로 자본논쟁의 현재적 의미는 한계생산력설이 옳다 그르다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논쟁이 신고전파 이론의 사상적 순화의 계기로 되었다는 점에서 찾아야 한다. 신고전파의 장기균형 개념에 애매한 형태로 은폐되어 있었던 리카디언적인 '집단주의'를, 실체적 개인주의 및 균형개념의 수정 또는 포기를 통해 극복하는 하나의 주요한 계기가 자본논쟁에서 주어졌다.
자본논쟁이라는 학설사상의 사건을 통해 최근 20년간의 신고전파이론의 발전을 평가해보면 이러한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된다.
) 물론 자본논쟁이 직접적으로 이상의 이론경향의 변화를 유도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추적한 것은 하나의 논리적 연관이지 어떤 직접적인 계기는 아니다. 예컨대 Austrian 이론은 이미 1930년대 부터 있어 왔지만 왜 그것이 70년대 이후 일정한 세력을 얻었는가라는 점에 대한 사상적 이론적 근거 따위가 관심사인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경제학의 이론적 경향은 끊임없이 변화해왔지만 '균형', '자본' 등 근본적인 개념에 대한 재검토와 재정식화를 통해 그 기반을 공공히 할 때 세력을 넓힐 수 있었다. 자본논쟁은 이들 개념의 사상적 배경으로 논의를 회귀시키는 데 있어 지금도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참고문헌>
Ahmad, S.(1991) Capital in Economic Theory, Edward Elgar.
Boettke, P.J. and Prychitko, D.L.(eds.)(1994) The Market Process, Edward Elgar.
Reconsidered, Cambridge Unisersity Press.
Cohen, A.J.(1993) "Samuelson and the 93% Scarcity Theory of Value", in M.
Baranzini and G.C. Harcourt(eds.) The Dynamics of the Wealth of Nations,
Macmillan.
Garegnani, P.(1970), "Heterogeneous Capital, The Production Function and the Theory
of Distributi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Harcourt, G.C.(1972) Some Cambridge Controveries in the Theory of Capital,
Cambridge Univ. Pr.
Harris, D.(1973) "Capital, Distribution,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Americal Economic Review 63(1).
Hsing, M.(1992) "On the Measurement of Aggregate Production Funciton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6.
Kirzner, I.M.(1992) The Meaning of Market Process, Routledge.
Kurz, H.D.(1985) "Sraffa's Contribution to the Debate in Capital Theory",
Contributions to Political Economy 4.
Lavoie, D.(1985) Rivalry and Central Planning: The Socialist Caculation Debate
Salvadori, N. and I. Steedman(1985) "Cost Functions and Produced Means of
Production: Duality and Capital Theory", Contributions to Political Economy 4.
Samuelson, P.(1962) "Parable and Realism in Captial Theory: The Surrogate
Production Funcit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Shaikh, A.(1974) "Laws of Production and Laws of Algebra: the Humbug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Sraffa, P.(1960) Production of Commodities by Means of Commodities, Prelude to a
Critique of Economic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edman, I.(1994) " 'Perverse' Behaviour in a 'One Commodity' Model",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8.
Takayama, A.(1972) International Trade,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Varian, H.R.(1984) Microeconomic Analysis, W.W. Norton.
Wicksell, K.(1901) Lectures on Political Economy, vol. I,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34.

키워드

자본,   논쟁,   국제경제학,   소비,   생산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6.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