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tshorn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신고전형이상학
II.1. 신고전형이상학의 철학적 배경과 위치
II.2 신고전형이상학의 실재관
II.3 범령활론(Panpsychism)과 우주적 생성론
II.4. 신과 세계의 유비로서의 총생적 과정(Social Process)

III. 고전관념비판과 새 인식논리학
III.1 무신론적 휴매니즘을 넘어서
III.2. 고전유신론비판과 신관계(關係)론

IV. 양극성적범재신론(Dipolarpanentheism)
IV. 1. 신관의 형태적 분석과 불가초자론(The Theory of The Unsurpassible)
IV. 2. 신의 양극성적 본성(절대성과 상대성)
IV. 3. 범재신론에서본 신과 세계

V. 결론

본문내용

살펴보면 쉽게 밝혀진다. 신이 어떤 면에서는 절대적으로 완전하시고 어떤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완전하시다고 표현했을 때 양극성중 일극성적 면으로서의 절대적 완전개념은 옛 신학에서 완전개념과 절대개념을 동일시했던 것과 다른 바가 없다. 그러나 문제는 신이 절대적이라는 신의 일극면에서의 일방적인 강조는 결국 그가 절대적으로 완전하셔서 그 완전성에 아무런 오점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만 강조하고 신의 일극, 즉 상대적인 완전개념을 무시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하르트숀은 신의 절대성의 국면을 삭제해 버린 것이 아니다. 상대적 완전에서 신은 절대성을 잃지 않는다.
) DR 18-22
그러면 하르트숀은 어떻게 신의 절대성과 상대성을 함께 말할 수 있을까? 상대적 완전이라는 말은 논리적으로 합리적인 개념일까? 상대적인 완전이 정말 완전할 수 있을까?
하르트숀은 상대적 완전이라는 말을 신이 그의 상대성 속에서 완전할 수 있다는 말로 대치해 보는데 즉 신이 모든 사물에 철저하게 참여하실 정도로 상대적이라면 어떤 유형에서도 그 보다 우월한 존재는 없다고 보는 것이다.
) MVG 48.
그러므로 상대성이란 관계적이고 총생적인 신의 사물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관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은 지고적으로 절대적이고 또한 지고적으로 상대적이시라는 신의 양극성이 성립할 수 있는 것이다.
IV. 3. 범재신론에서본 신과 세계
신고전 유신론이 주장하는 종교적으로 적합성을 지닌 신은 무엇보다도 신과 세계의 상호통전적 성격 가운데서 나타난 것이므로 신은 세계와의 관계에 있어 절대적이면서도 상대적인 양극성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 파악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곧 신의 구체적 국면(Concrete aspect)에 있어서 그는 상대적이지만 그의 추상적 국면(Abstract aspect)에 있어서 신은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 MVG 342-352
하르트숀이 주장한 인식관계론에서 볼 때 신이 세계를 안다면 그때 그는 세계에 관련된다. 더욱이 그가 아는 세계가 자기자신으로서의 체계를 아는 것이라면 그때 그는 우주 내에 있는 모든 것에 관련되고 따라서 그는 주어진 순간에 있어서 세계를 구체적으로 아는 것이 된다.
) PSG 17-20.
V. 결론
화이트헤드가 과정철학의 창시자라고 하면 하르트숀은 유명한 과정종교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자의 철학에는 같은 점, 그리고 다른 점이 있다.
양자의 신개념이 같은 형이상학적 기초는 양극적 신이라는 것이다. 신에게는 구체적인 면과 잠재적인 면이 있다. 전자는 신의 마음이고 후자는 그의 몸이다. 즉 잠재적인 면은 신의 관념적인 상이고 구체적인 면은 그 상의 물체적 실현이다. 그런데 구체적 세계는 계속적 과정에 있으므로 이 면은 소멸될 것이다. 그러나 잠재적인 면은 멸하지 않는다. 이런 양면을 가진 신은 구체적으로는 유한하나 잠재적으로는 유한하다. 그는 불변의 가능성과 가변적 실체를 가지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화이트헤드와 하르트숀은 양극적 유신론에서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이 두 사람은 전통적 유신론을 거부하는데도 하나이다. 전통적 신관은 세계의 창조주라 하지만 과정신학에서는 신은 오직 세계진행(과정)의 지휘자이다. 유신론은 신은 무에서 세계를 창조하셨으나 양극주의과정신학에서는 신은 세계를 타극에 영원히 있는 질료에서 형성하셨다고 한다. 그러므로 유신론적 신은 세계 위에 주권적으로 통치하시나 과정신학은 세계와 함께 혐력적으로 역사하신다. 전자에서 신은 세계에서 독립하시나 후자에서는 세계와 신이 상호의존적이다.
과정신학입장에서 볼 때 전통적 유신론은 불변적, 불유동적, 비인격적이고 예배드릴 수 없는 존재를 말한다고 보고 그 대신 과정신학은 실제적 세계진행과 가변적으로 상호관계를 갖는다고 한다. 이 점에서 화이트헤드와 하르트숀은 동의한다. 그러나 위의 양자가 서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신에의 접근방법과 형이상학적 신관이다.
화이트헤드의 방법론은 경험적이고 하르트숀은 아주 합리적이다. 전자의 방법적 출발점은 가정적인데 경험적 필요성에 기초하였으나 후자의 출발점은 범주적이며 합리적 필연성에 기초하여 있다.
) Norman L. Geister, "Process Theology", in Tensions in Contemporary Theology ed., by Stanley N. Gundry & Alan F. Johnson (Chicago: Moody Press, 1979), 252.
그러면 신은 순수한 사고의 산물인가? 여기에 대해서 하르트숀은 단순한 사상이 실재를 산출하지 않고 필요한 사상이 실재를 산출한다고 생각한다. 사상과 실재 사이에는 절대적 분리는 있을 수 없다. 사고는 참 경험이고 우리는 가능한 분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모든 사상은 적어도 가능한 것의 경험이라고 결론짓는다.
) 이근삼, "過程神學의 神槪念批判) in: 「성경과 개혁주의신학」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86), 394.
다음으로 형이상학적신관에 있어서 화이트헤드와 하르트숀의 차이는 첫째로 화이트헤드는 신을 구체적 실체로 보지만 하르트숀은 신을 구체적 실체들의 연속 또는 공동체(Series or soceity of actual entities)로 본다.
) Charles Hartshorne, The Logic of Perfection, 64-67.
하르트숀은 여기서 신은 우주적 마음(Cosmic Mind)으로서 그의 몸인 세계에 머문다.
또 한 가지 차이는 전자는 세계가 신의 주체적 목적 즉 이 세계를 위한 개념환상에 기초하고 있다고 하는데 비해서 후자는 세계는 모든 우연의 논리적으로 필요한 기초로서의 신에 기초하고 있다고 한다.
) Geister, op. cit., p. 255.
화이트헤드는 신은 이 특수 세계를 위한 기초로 보는데 하르트숀은 신은 모든 가능한 세계들을 위한 우주적 기초이다라고 본다.
하르트숀의 과정신학적 특징은 그의 과정신학적 방법론은 합리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전통적 신개념을 거부하고 절대성과 상대성의 성격을 지닌 양극적 신이며, 또한 신은 구체적 실체들의 연속이며, 신은 모든 가능한 세계들을 위한 우주적 기초로서의 신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1.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