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별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원문및현대어역
2. 문학적해석상의문제들
3. 만전춘별사의 별사라는 명칭
4. 만전춘별사의 구조문제
1)분장문제
2)재구성문제
4. 만전춘별사의 화자문제
5. 만전춘별사와 만전춘
6. 희곡으로서의 가능성
7. 시조와의 관련성
8. 정과정곡과의 관련성
9. 작품분석

결론

본문내용

착된다는 의미로서, 비오리의 접근 불능 상황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즉, 님을 마음 속에 간직하여 아무 남자에게 접근을 열어주지 않는 고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비오리를 이처럼 거부하자 마침내 '소콧 얼면 여흘도 됴힝니'라고 볼멘 소리를 지르면서 늘 개방되어있는 여흘에게 옮겨가는 것이다. 이러한 광경은 <동동> 12월 노래에도 나타나 엉뚱한 객이 님 젓가락으로 상징되는 자신을 물었다는 침해당한 정절을 말하게 된다고 한다.
[5] 5연 : 육체적인 관계를 통한 화합의 희원
이상을 그린 내용으로 제 4연까지의 현실세계를 벗어나서 내일을 기약하고 꿈을 지니고 희망을 바라보면서 현실의 고독을 참고 이겨나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인간 삶의 보편성이다. 그러기에 임과 해후할 때는 가장 좋은 잠자리, 가장 좋은 베개, 가장 좋은 비단으로 수놓은 이불에서 살냄새 향기로운 임의 품에 안겨서 오랫동안 보고픈 임에 대한 상사병을 앓던 답답한 내 가슴을 임과 함께 꼭 맞출 것이라는 순수한 염원을 말한다. 가상의 세계 속에서 임과의 화합을 추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정시가 지향하는 영역에 놓여있다. 이 연에 나타나는 소재에 관해서도 약간의 다양한 논의들이 올라오고 있다.
'남산, 옥산, 금수산' 등의 의미를 상징적, 비유적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문맥이나 통사적 질서로 볼 때 그렇게 적극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은 것 같다. 남녀의 결합에 이불이 산 모양이 된다든지, 옥산이 여성의 지칭이라든지 하는 견해는(성현경) 견강 부회한 느낌이 짙다. '사향각시'에 대해서도 여성 화자를 일컫는다는 의견이 있어, 이 사향각시를 안는 화자는 남성으로 대치되고 따라서 이중 화자를 낳게되는 결과가 벌어지기도 한다. (현혜경) 그러나 느닷없이 여성 화자가 종적을 감추고 님이 나타나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해석인 듯 하다. 죽부인의 다른 이름이 '바람각시'이고, 풀로 사람 모양을 만든 인형을 '풀각시'라 부르는 것처럼 '사향각시'도 무생물로 '향낭' 즉, 사향이 든 주머니를 이른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읽을 때 제 5연의 화자도 일관적으로 해석되게 된다.
[6] 6연
전체를 마무리하는 기원으로 영원토록 이별을 모르고 싶다는 간절한 염원이다. 이는 총체적인 결집의 소망으로 표현된다. 제 5연과 똑같은 무대 위에서 진술된 기원이기 때문에 현실의 언어가 아닌 상상의 세계에 귀속시켜야 될 언어이다. 몸 자체는 현실에 둔 채, 상상의 무대를 설정하여 그렇게 되기를 소망한 언어이기 때문에 제 5연과 함께 제6연에서의 님과의 화합도 완성된 화합이기보다 완성되기를 희망하는 화합에 머무르게 된다. 감탄사와 또한 끝맺음의 방법에 있어서 제 6연은 <정과정곡>의 끝 구 '아소 님하 도람드르샤 괴오쇼셔'나, <이상곡>의 끝 구 '아소님하 한딪ㅣ녀겻 期約이이다 ', <사모곡>의 끝 구 '아소님하 어마님까티 괴시리 업세라',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大平盛代' 등과 널리 통하고 있어 작품의 속요적 성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결론
<만전춘별사>는 임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성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남녀의 애정을 진솔하게 그린 노래의 절조라 할 수 있다. 전 6연으로 되어 있는 이 노래는 고려 속요가 가지고 있는 주제와 소재면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장 잘 구비하고 있는 작품이다. 내용은 남녀간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노래한 것으로, 노골적이고, 퇴영적인 표현 기교를 거침없이 나타내었으며, 특히 이 노래 속에 담겨 있는 차원 높은 비유법과 이미지의 전개는 매우 신선하다. <만전춘별사>의 해석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중인 상태이며 워낙 다양한 접근과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어 함부로 결론을 짓기는 어렵다. <만전춘별사>가 가지고 있는 폭 넙은 가능성을 가늠하며 문학사적 사료로서 그 귀중함을 감히 짐작해볼 따름이다.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권두환/한국문학총서1 고전시가/해냄출판사/1997
박노준/고려가요의 연구/새문사/1990
신동욱/고려시대의 가요 문학/1992
(백영)정병욱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고전시가작품론 1/集文堂/1992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편/고려가요 연구의 현황과 전망/집문당/1996
이성주/고려시대의 가요/민속원/1998
최용수/고려가요 연구/계명문화사/1993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9/9-만전춘별사.htm
http://solbit.net/고려가요/고려가요-만전춘별사.htm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2.0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