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교육의 기본과제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학 교육의 기본 과제
1. 문학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2. 문학 교사론
3. 문학 교재론
4. 문학 학습자론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야의 학자와 함께 높은 수준의 문학 교육적 소양을 갖춘 교사 등이 담당해야 함은 물론이다. 교재는 시대적, 초시대적 요청과 편찬자의 세계관이 융화된 좌표에서 탄생하는 교수·학습의 가장 신뢰할 만한 준거다. 그러나 지금은 '교과서를' 교수·학습하는 교과서 절대주의를 다소 완화하여 '교과서로' 교수·학습하는 교과서 상대주의를 도입함으로써 교과서를 수정, 보완하여 교재를 재편성할 수 있는 자유가 있어야 한다.
학습자 중심의 문학 현상론적 문학 교육은 만난을 무릅쓰고 추진되어야 하며, 그것은 궁극적으로 인간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근대 이후 서구적 인간은 자연 과학에 편향된 일차원적 삶을 살고 있다. 산업 정보화 사회에서 욕구 충족을 극대화한 인간은 비판적 사고력을 잃고 지배 체제의 수동적 도구가 되었으며, 예술도 일차원화했다. 인간의 삶은 현실의 수평축만 왕래하는 수준의 타락한 생존을 하고 있다. 현대인은 자동화된 상투어와 구호, 선전 등의 수사적 상황에서 자기 정체성의 위기에 처한 것이다. 심지어 물질이나 자기 조직뿐 아니라 자아에서 소외되어 환경과의 동화와 조절에도 실패하기에 이르렀다.
문학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이러한 위기에서 자신을 구하기 위하여, 문학적 상상력으로 구원의 우주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강기철, <<새 地平>> 상·하, 대정진, 1992
경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엮음), <<현대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인문학>>, 백의, 1994.
구인환 외, <<문학 교육론>>, 삼지원, 1988.
김대행 외, <<21세기 국어과 교육의 지향과 수준별 교육 과정>>, 한국 교육 개발원, 1997.
김봉군, <<한국 소설의 기독교 의식 연구>>, 민지사, 1997.
김봉군·이상우·이정숙, <<문학 개론>>, 개문사, 1986.
김봉군·이용남·한상무, <<한국 현대 작가론>>, 민지사, 1985.
김봉군, "힌국인의 가치관과 독서학의 과제", <<독서 연구>>, 창간호, 한국 독서학회, 1996.
김상욱, <<소설 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6.
김은전 외, <<현대시 교육론>>, 시와 시학사, 1995.
김이상, <<시 교육론>>, 육일 문화사, 1994.
김중신, <<문학 교육의 이해>>, 태학사, 1997.
김재은, <<아동의 인지 발달>>, 창지사, 1990.
김중신, <<소설 감상 방법론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5.
김창원, <<시 교육과 텍스트 해석>>, 서울대출판부, 1995.
―――, "문학 교육 과정의 구조화 탐색". <<문학 교육 과정의 연구와 실천 방향>>, 제7회 국어 교육 발표 대회 자료집, 한국 국어 교육 연구회, 1996.
김태련·박휘숙, <<발달 심리학>>, 박영사, 1987.
문학과 문학 교육 연구소, <<문학 교육의 탐구>>, 국학 자료원, 1996.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국어 교육학 원론>>, 교학사, 1996.
신헌재, "제5차 초·중·고 국어과 교육 과정의 영역별 지도 내용 체계 연구", <<교원 연구>>, 5권 1호, 한국 교원 대학교, 1989.
박인기, <<문학 교육 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우한용, <<문학 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우한용 외, <<문학 교육 과정론>>, 삼지원, 1997.
윤여탁, <<시 교육론>>, 태학사, 1996.
이대규, <<국어 교과의 논리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5.
이인제,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구성 방향과 과제", <<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 과정 세미나>>, 덕성 여대 열린 교육 연구소, 1997.
임규혁·이차숙, <<발달 심리학>>, 집문당, 1989.
정의채, <<형이상학>>, 성 바오로 출판사, 1981.
정의채, <<존재의 근거 문체>>, 성 바오로 출판사, 1981.
최영진, <<동양과 서양>>, 지식산업사, 1993.
최현섭 외, <<국어 교육학 개론>>, 삼지원, 1996.
한국 문학 교육학회, <<문학교육학>>, 태학사, 창간호, 1997.
Toffler, Alvin, Future Shock, New York: Random House Inc., 1970.
Snow, C. P., Two Cultures: and A Second Look. 오영환 (역), <<두 문화와 과학 혁명>>, 박영사, 1977.
Dawson, Christoper, The Dynamics of World History, New York: Seed and Ward Inc., 1956.
Sire, James, The Universe Next Door, Doener Grove: IVF, 1976.
Natoli, Joseph(ed.), Literary Theory's Future,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9.
Abrams, M. H., The Mirror and The Lamp,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53/1971.
Cohen, Ralph(ed.), The Future of Literary Theory, London: Routledge, 1989.
Horton, Rod & Edwards, Herbert, Background of American Literary Thought,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1952/1974.
Grebstein, S. N.,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Criticism, New York: Harper & Row, 1968.
Salkind, Niel J., <<인지 발달과 교육>>, 김남순 역, 창지사, 1992.
Eco, Umberto, The Role of The Reader, Bloomington and Lond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79.
Slatoff, Walter J., With Respect to Readers,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70.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12.0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