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서술식 수행평가 문항개발을 위한 이론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수행평가란 무엇인가?
1. 수행평가의 실태
2. 수행평가 발생 배경

Ⅱ. 도덕과의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

Ⅲ. 서술식 평가란 무엇인가

Ⅳ. 고등 사고 기능과 그 환경 구축

Ⅴ.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Ⅵ. 서술식 평가의 실제

Ⅶ. 한계 및 제안

참 고 문 헌

****요약
도덕과의 서술식 수행평가 문항개발을 위한 이론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 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도덕과에서 필요한 수행평가와 그것을 바탕으로 서술식평가의 의의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런 이론적 바탕으로 고등사고 기능을 위한 도덕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조건들을 아울러 살펴볼 것이다.
이상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과 서술식 평가의 실제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

**한글97

본문내용

예를 들어 이번 학기에 다루게 될 가치 규범을 '질서'라고 한다면 질서에 관련된 일기를 일주일에 한 번 혹은 두 번 기록하게 한다. 교사가 그 일기를 보고 코멘트를 해 주고 학부모가 거기에 다시 코멘트를 해주게 되면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런 작업을 한 학기 동안 계속하게 되면 학생의 '질서'에 대한 인식, 태도 변화 그리고 실천 등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게되고 '질서'의 가치 규범이 어떻게 발달 성장하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넷째, 교사와 학부모의 코멘트를 바탕으로 이 주간에 실천해야 할 사항을 본인의 일기장에 기록해 두면서 실천을 결의할 수 있다. 실천여부에 대해서 자기 자신이 평가를 할 수 있다.
③ 활동의 효과 및 유의점
첫째, 일기라는 것이 자신의 생활을 반성한다는 차원에서 그 본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삶의 반성과 더불어 도덕적 행위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으므로 도덕적 규범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습관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한 학기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자칫 타성에 빠져 버릴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래서 교사나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둘째, 한 가치 가치 규범을 이해할 경우 유사한 도덕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 그 문제 사태를 정확하게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문제 해결에 이르는 사고 과정과 의사결정이 도덕 원리에 적합할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적 이성의 발달과 아울러 다른 사람의 입장에 대해 공감을 잘 하게 되면 도덕적 감정이 성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기가 검사를 맡기 위한 것이 되어 버린다면, 그리고 타의에 의해 강압적으로 쓰여지게 된다면 자신의 본래 심정을 속이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역할도 아울러 중요한 요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일기가 포트폴리오의 형식으로 기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학기말에 자신의 지나 온 행동에 대해서 자신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친구나 학부모에 공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면 한학기 동안 경험해 온 규범에 대해서 자신있게 공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어, 평가가 수업 혹은 학습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공개를 하게 될 경우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고 비교 혹은 분류로서의 평가로 흐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 점만 유의한다면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의 본질을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다.
Ⅶ. 한계 및 제안
수행평가가 이 땅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그리고 진정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피상적인 방법론적인 문제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이 땅에 수행평가의 필요성이 외부에 의해 주어진다면 그것은 이 땅의 교육의 문제, 평가의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본 연구 역시 우리 나라의 교육현장과 평가의 현실을 정확하게 꿰뚫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적으로 본 연구자의 무지의 소치라는 점에서는 솔직히 시인하는 바이다.
더구나 서술식 수행평가의 문항을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처음부터 불가능한 작업일는지 모른다. 참평가로서의 수행평가의 본질을 근거로 해 볼 때 문항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 등이 어쩐지 그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는 생각을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그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여건이나 토대가 형성되어 있지 못한다면 그것은 공허한 말 잔치에 끝나버릴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 역시 이론적 천착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는 솔직히 시인하는 바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문헌 연구나 간접 연구 혹은 양적 연구 등으로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생생함을 직접 체험하고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는 질적 연구의 분위기가 함께 형성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참 고 문 헌
Blum, R.E., Arter, J.A (eds)(1996),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constructing,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Glaser, R.(1990), Testing and Assessment, Pittsburgh, PA: Learning Reserach an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Pittsburgh.
Henning-Stout, M.R, (1994), Responsive Asessessment: A New Way of Thingking about Learning. San Frncisco: Jossey-Bass Inc., Publishers.
Mitchell, R. (1992). Testing for Learning: How New Approaches to Evaluation Can Improve American Schools. New York: The Free Press.
Steffe, L.P. & Gale, J. (eds)(1995). Constructivism in Education.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남궁달화(2000) 도덕교육과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리코나(1997, 박장호, 추병완 옮김), 인격 교육론, 서울: 백의
변홍규(1996) 질문제시의 기법, 서울: 교육과학사
석문주 외,(1997)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이영문(1999) 도덕과 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이종일(1996) 수행평가의 실제: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논총 제8집
이초식(1996) 논리교육, 서울: 대한교과서
휨비, 록헤드(1993, 박민규, 남철우, 서규선, 심규장 옮김), 논리적 문제해결과 이해, 서울: 철학과 현실사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2.1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