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지리]산불로 인한 산지 생태계파괴(환경파괴 산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산불에 관한 기본적 고찰

3. 우리나라 산불의 특징

4. 산불의 영향

5. 구체적 사례 1 - 고성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

6. 구체적 사례 2 - 동해안 산불

7. 산림피해지 복구방향

8. 관련 사진 자료들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나 주에서 곰의 서식처가 선택될 확률과 네덜란드 연못에서 개구리가 서식하는 확률이 경관 안에 존재하는 도로의 밀도와 음의 관계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는 도로 통로의 장애 기능을 대변한다.
따라서 새로운 임도를 계획하기 전에 현재 설치되어 있는 것들의 득실을 먼저 따지는 것이 일의 순서이다. 임도가 모든 야생동물들의 서식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듯이, 모든 임도가 반드시 산불 방지에 효과를 가지는 것도 아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어디에 임도를 놓을 수 있을 것인지 검토해야 한다. 먼저 예산을 확보해놓고 보면 정녕 하지 말아야 할 곳에 임도 공사를 벌리는 형태로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면서 오히려 생물 다양성을 해치는 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테면 임도를 제안하기 전에 강원도 가리왕산을 잘라 만든 임도가 우리에게 어떤 이익을 안겨주었는지 건설당사자들이 당당하게 나서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요컨대 임도 건설의 당위성과 함께 어느 곳에 어떻게 임도를 두는 것이 마땅할지 먼저 따져야 한다. 임도가 생물 다양성의 보존과 상충되는 이상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와 함께 지금까지 잘못 진행해온 공사방법들을 바로 잡을 궁리를 해야 한다.(전영우 1999).
(1) 경관에서 통로는 서식처, 도관, 장애, 여과, 공급원, 수용치 기능을 하는데 도관 기능이란 수도관이 물을 유도하듯이 사람, 동물 또는 물 등 여러가지 사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기능을 말한다(이도원 2000).
(2) 임도 건설에 따라 나출된 흙에는, 흔히 외래 또는 귀화식물이 파괴되어 나출된 곳에 침입경향이 그대로 반영되는 것을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해살이풀들이 많은 것 같다.
전국의 임도에서 이런 현상을 많이 목격하였지만 그를 연구한 학술자료 등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한편 이런 임도에는 자생식물이지만, 저지대에 자라는 것들이 산 속 깊은 곳으로 분포지를 넓혀 가는 현상도 관찰된다. 산괴불주머니, 꿀풀, 질경이(귀화식물일지도 모르지만) 등의 한해살이풀과 산딸기 등의 목본 식물도 이런 종류의 식물이라 생각된다(현진오 개인 관찰).
4) 사후 관리 체제
산불 입지에 대한 관리 지침서의 개발
5) 산불 저감 방안 : 완충벨트 조성
전국적으로 (특히 영남과우지역부터 연차적으로) 사람이 쉽게 접근하는 삼림의 가장자리에서 산불방지 완충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특히 삼림의 구조에 따라 완충지의 폭은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충지 내 숲지붕층 아래의 관목과 덤불, 그리고 숲바닥의 초본층을 가능한 제거해 주며, 이 완충지 확보 작업은 산화재가 빈번한 봄 이전의 늦겨울 또는 초봄에 한번, 그리고 늦여름 이후의 가을에 한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삼림관리 정책은 가능한 한 사전 연구를 신속히 실행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8. 관련 사진 자료들.
잿빛 상처
화마가 할퀴고 간 백두대간의 '잿빛 상처'. 육군 동해충용부대 헬기에서 바라본 강원 고성군 일대의 산야는 마치 민둥산처럼 참혹 했다.봄을 맞아 무르익어 가던 녹음은 아예 찾을 길이 없다.
<사진제공 강원일보>
위성이 잡은 '불타는 한반도'
11일 오후 4시경 미국의 기상인공위성 NOAA
가 촬영한 한반도 산불상황. 강원 삼척지역
과함남 함흥지역의 산불로 발생한 연기가 각
각 길이 1000여㎞, 폭 400∼500㎞의 규모로
일본 열도를 향해 퍼져가는 모습이 선명하다.
두 큰 연기띠 사이로 강원 고성지역에서
희미한 연기가 보인다.
<사진제공 한중대기과학연구센터 정용승교수>
죽음의 땅
96년에 이어 최근 또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강원 고성군 죽왕면 삼 포리 야산. 사막화현상이 나타난다
9. 결론
"불! 그것은 살아숨쉬는 생명체와 너무나 유사하다(Jones, 1997)."
지금까지 고성산불과 동해안산불을 중심으로 산불의 발생현황과 그로 인한 자연 생태계파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산불은 자연 생태계를 교란시키로 나아가 우리 삶에도 매우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산불 예방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산불 발생후 발생지 복구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이 문제에 있어서는 환경부와 환경단체들의 자연복원 우선론과 산림청의 인공조림론이 대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태학자들이 산림이나 숲을 공익적, 환경적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일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는 입장이라면, 임학자들은 자원이라는 경제적 가치로 산림을 이해하는 입장이다. 양쪽 학자들의 의견들을 존중하여, 피해가 심한 지역에는 생태계의 자생능력에 맡기는 반면, 피해가 심한 지역에는 기본적인 복구가 불가피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환경재해 / 김주환. 권동희 신라출판사 1992
# 시민을 위한 환경 이야기 / 신현국 김영사 1999
# 환경생태학 / 권동희 도서출판 신라 1995
# 지역개발과 환경보존 / 김환기 을유문화사 1997
# 자연친화적 산지개발에 관한 연구 / 국토개발연구원 1997
# 고성 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 보고서 / 산림청 임업연구원 임업연구원 1996
# 고성산불백서 / 고성군 고성군 1997
# 국립공원 산불발생지역 생태계 정밀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환경연구팀 1999
# 산불예방과 진화 / 산림청 산림청 1996
# 재난수습 사례집,제1집 /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1998
# '95산불방지종합대책 / 심동로 1995 산림 350(”95.3):pp.62-67
# 2000년 강원도 산불현황 및 복구계획 / 김남벽 2000 강원대삼림과학연구
16(2000.6):pp.164-170
# 강원 산불지역 산사태 경보!! : 임도 주변 곳곳서 붕괴 조짐...완충역할 하던 삼림 파괴돼 장마철 대규모 사태 우려 / 서재철 2000 한겨레21 307(2000.5.11):pp.82-83
# 산불의 豫防과 防止 戰略 金寬洙 지음 산불생태연구소 1997
# 산지의 합리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정영 석사학위논문 1997
# 산불이 토양침식 및 계류수질과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정원옥 경상대 대학원 1997
# 山火管理에 관한 硏究 / 김용한 서울대 행정대학원 1986 학위논문(석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2.1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