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대외관계사 연구의 시각
가. 책봉체제론
나. 국제적 계기론
다. 조공관계론
라. 역학관계론
III. 발전방향론
가. 서진론
나. 남진론
IV. 대중국관계
V. 대새외민족관계
VI. 대백제와 신라의 관계
VII. 대왜관계
VIII. 맺음말 -연구상의 과제

본문내용

양천도는 대외적인 측면에서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의 적극화의 표현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체결한 것이 주목되었다. 이 시기의 3국간의 항쟁과정에 대해 노중국은 백제가 고구려의 남하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비록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백제-신라-남송-북위로 연결되는 고구려 견제세력권형성을 기도한 것으로 보았다.
나제동맹의 결렬을 가져온 신라의 한강유역진출에 대해서는 종래 백제 성왕의 주도하에 백제.신라.가야연합군의 북진과 그 기회를 탄 진흥왕의 영토적 야욕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 것이 통상적이었으나 노태순은 고구려 자체의 내분과 신흥 돌궐의 남하 압력을 중시하면서 고구려가 돌궐의 압력을 저지하기 위하여 남부전선의 안정을 도모하게 되고 그 방법의 하나로서 신라의 한강하류 지역 점령을 내약하는 일종의 여제동맹의 밀약이 체결되게 되었다고 보았다.
6세기말∼7세기에 들어오면서 중국에서는 수 및 당이 통일제국을 형성하게 되자 그와 병행하여 한반도 내에서의 3국관계도 새로운 차원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 시기 고구려의 외교정책에 대해 申采浩는 정변에 의해 권력을 장악한 淵蓋蘇文은 대중국강경노선과 대신라강경책을 추구하였다고 보았으며 이와 궤도를 같이하면서 노중국은 이 시기에 백제에서도 의자왕에 의한 정변으로 백제의 외교정책이 친고구려정책으로 바뀌면서 신라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였다고 보았다.
對倭關係
고대한일관계사에 대한 연구는 한일연구자 사이에 뚜렷한 입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일본세력의 한반도진출의 전제 위해서 한일관계사를 논하고 있는데 반면에 국내학자들은 한반도에서 건너간 이주민에 의한 일본고대국가의 형성 및 선진문물의 일본에의 전수 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일본인학자들의 任那經營說.小世界帝國論과 국내학자들의 삼한삼국의 일본열도내의 分國設置論으로 대립되고 있다.
고대한일관계사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는 고구려를 중심으로 볼 때 문헌사료로는 『日本書紀』와 『宋書』倭傳을 들 수가 있고 金石文자료로는 광개토대왕비문을 들 수 있다.
맺음말 -硏究上의 課題
이제까지 고구려 대외관계사에 대한 연구현황을 일반론적인 측면에서는 연구시각과 발전방향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대외관계의 구체적 전개에 대해서는 대중국관계, 대새외민족관계, 대백제.신라관계.대왜관계로 나누어 시기별로 정리해 보았다. 이제 이러한 연구현황의 정리를 통하여 앞으로 고구려의 대외관계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해결해야 될 과제에 대해 몇 가지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첫째, 일본학계에서 주로 제기되어 논의하고있는 고대동아시아세계의 형성의 문제는 내면적으로 구조적 연관성을 갖는 동아시아세계가 과연 성립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보다 다각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제국가의 대외관계는 기본적으로 제국가의 힘의 우열과 역학관계에 따라 변화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국제적인 역관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취한 자세와 그러한 자세가 나오게 된 국내적 모순이나 지배자집단의 이해관계 등 당시의 역사적 조건에 대한 종합적이 검토가 있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2.1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