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다원주의신학과 한국의 종교다원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Post-modernis의 정의 및 성격과 특성
2. WCC의 종교신학의 발전과정
3.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해도
4. 종교다원주의의 틀
5. 초기기독교의 다원성
6. 예수의 유일성
7. 한국의 종교다원성
8. 국내신학계의 교육과제와 최근의 문제

III.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에도 비치어 그들에게서도 복음의 말슴이 잠재되어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음의 입장에서 이 세상을 근본적으로 안(inside) 과 밖(outside)
으로 구별하지 말고 폴럴리히의 단어 숨어있는 교회 와 드러난 교회 로 보아
전 세계 인구가 신의 자녀로서 교회안에 속하여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했
다.
둘째로, 변선환 교수의 자유주의 신학과 다원주의 사상에 대한 주장은 이미
글로써 많이 표현되어 한국교회에 적지 않은 토론제목이 되어 왔다. 변교수는
작년 11월 서울 카톨릭 문화연구원이 주최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대화모임
에서 정통주의 보수신학을 비난하면서 다원주의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새로운
각도의 신학적인 연구와 종교해방 신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의
종교신학은 선교 가 아니라 대화 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기독교
내에만 있고 하나님이 기독교인의 기도만 들어준다는 구식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시각에서 타종교와 협조하여 하나님의 전인류에게 주시는 말씀을 통하여 건설적
인 세상을 창조해 나간다고 주장했다.
8. 국내 신학계의 교육과제와 최근의 문제
1) 신학교 교육과 교회 교육
오늘날 신학교육의 위기 가운데 하나는 신학교 교육과 교회교육 사이의 관리
에서부터 오고 있다. 신학교 교육은 너무 이론화 되었거나 관념화 경향이 위
험성이 있고 반면에 교회교육은 너무 실용화되었거나 현실적이어서 이 둘 사이
의 긴장관계가 깨어질 위기기 있다.
신학교와 교회의 분리현상은 양쪽을 위해 매우 불행한 것이 아닐 수 없다.교
회쪽에서 볼때 이와같은 분리는 신학의 기초의 흔들림이자 비판의 목소리를 상
실함으로부터 오는 맹목의 가능성이 있으며 신학교 쪽에서 볼 때에 이는 그 열
매가 엄ㅅ는 공허함을 면치 못하게 된다. 이 둘 사이는 분리가 아니라 상호
긴장과나계를 갖고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교회의
신학화와 다른 한편으로는 신학의 교회화가 요청된다고 본다.
신학교는 다원화 상황 속에성의 교회의 기능을 위해서 그 질적 수준과 더불
어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교회는 실용화만을 도모할 것이 아니라 본래성을 회
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영성교육, 교양교육, 윤리교육, 공동체교육, 노
도교육, 생태계교육 등 제 요소가 신학교의 교육적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이
를 통해서 교회와의 관계를 회복해 나아갈 수 있으리라고 보며 교회역시 이렇
게 되면 신학교에의 의존도를 높이게 되고 동질성의 위기를 모면케 될 수 있다
고 본다. 신학이든 교회신앙이든 그 사유화는 어는 쪽도 역사적 일 수 없으며
공종이 아닌 양쪽모두의 자멸을 초래할 뿐이다. 사이호간의 냉소적 태도가 아
닌 역사적 관심이 요청된다고 본다.
2) 최근 국내 신학계에 발생한 문제와 견해
얼마전 감리교 신학대학의 홍정수, 변선화 두 교수의 종교다원주의의 극단적
인 신학적 견해의 주장으로 국내 신학계, 특히 감리교단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
켰고, 결국 이단시 되어 출교당하는 사태를 빚었다. 교회음악을 전공하는 학
생의 입장에서 신학적인 문제에 관한 지식도 약할 뿐더러 신학계의 반응과 같
이 예민한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단지 교회 연합 시니문에 이
문제에 관한 본인의 견해와 비슷한 글을 기고한 내용이 있어 이를 부분적으로
인용하여 대신하고자 한다.
한국은 현대주의는 커녕 근대주의에 익숙해지기도 전에 갑작스레 닥쳐오는
탈 현대주의적 사고양식을 강요받고 있다. 이는 한국교회 상황에서 볼때 일치
를 기니급히 요하고 있을 때 또 다시 불일치로 내모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
러나 현대사회의 추세를 덮어 놓고 거부하거나 신경질적으로 반응할 것인가!
그래서는 안되며 오늘의 교회는 이를 예견하고 이에 대한 정신적 준비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다원주의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는 것은 자명
한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가운데서 교회와 신학계는 어떠한 신학적 견해
나 주자아에 대해서 신중하게 대응하고 반응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신학자는
우리의 상황속에서 주장이나 발언에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다원주의 사상이나 신학의 물결 속에서도 예수 그리스도
를 통한 삶과 죽음, 부활,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의 역사를 믿는 근본적
인 신앙의 바탕위에서 소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야 할 것이다.
III. 결 론
종전까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용어자체도 생소했으며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었으나 본 과제를 준비하면서 이제 어느정도 개면이 서게 된 것
같다. 아울러 느낌과 견해를 피력하자면, 현대사회의 다원화 현상은 피할수가
없고 그 속에서 신학사상의 흐름 또한 새로운 물결에 의해 도전받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속에서 갈등보다는 상호간 대화와 이해가 요구된다고
본다. 새로운 사상이나 신학에 대해 무조건 거부하고 이단시 하기 보다는 이질
적인 세계를 이해하고 폭넓게 수용하면서 사랑과 관심 속에 포용하는 태도가 필
요할 것이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더 넓게 전하는 기회로 삼는 동시에 냉정한 자기
비판을 통해서 성장하고 발전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홍정수, 다종교와 기독론, 서울 : 문명문황사, 1990.
2. 최봉기, 다원화상황에서의 신학교육을 위한 제요소들. 서울 : 한국신학교육
연구원, 1991.
3. 도정일, 포스트모더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 창작과 비평 제 71 호(1991,봄)
4. 손봉호,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 목회와 신학 (1991, 7)
5. 전호진, 종교다원주의와 그리스도의 유일성 , 목회와 신학 (1991, 8)
6. 나학진, 다종교 상화아에서의 기독교 , 목회와 신학 (1991, 8)
7. 노봉진, 한국의 종교다원주의 현황 , 목회와 신학 (1991, 8)
8. 이신건, 종교다원주의자들의 부화리과 , 목회와 신학 (1992, 4)
9. 김승철, 타종교와의 만남의 역사로서의 기독교 기독교사상제400호 (1992,4)
10. 김명천, 포스트모더니즘, 다원사회속의 교회 , 교회연합신문 (1992,4) 5면
11. 박광래, 폴니터의 종교신학연구 , 90년 석사학위논문, 서울:감리교신학대화.
1990.

키워드

종교,   다원주학,   신학,   한국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