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성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국현대문학사 최초의 본격적인 여성작가

Ⅱ. 작가생활 60여 년의 장수작가, 장편소설을 집필한 최초의 여성작가

Ⅲ. 궁핍의 현장과 향토적 지방주의

Ⅳ. 윤리의식과 휴머니즘

Ⅴ. 대중성 획득

Ⅵ. 창조적·진취적 여성상 정립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해피엔딩의 소설결말도 대중성 획득의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독자층 형성은 1970년대의 최인호 등의 인기작가들이 독자층을 더욱 확대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된 것이다.
Ⅵ. 창조적·진취적 여성상 정립
강경애가 여성억압의 원인을 계급문제에 두어 계급해방을 주장하고 백신애가 여성억압의 원인을 성문제에 두고 가부장 제도의 극복에 해결점을 두었다면 최정희는 여성의 운명적 삶을 모성적 회귀로 돌려서 화해의 세계를 구축하고 박화성은 사회구조적 문제의 해결점을 새로운 의식과 각성에서 찾는 과감한 개혁 쪽에서 여성상을 정립하고 있다.
그의 소설에 나오는 모유가 나오지 않는 어머니의 육체적 컨디션은 처절한 가난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절묘한 기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여성적 현실을 사회적 현실로 확대시킨 것이며 왜 우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우는지도 중요하다는 여성의 육체·언어·현실을 문제삼는 김미현의 연구에도 관련된다.
나오지 않는 젖을 통해 궁핍한 현실을 고발한 [춘소], 아직 젖을 먹어야 할 아기를 떼어놓고 돈을 벌기 위해 떠나야 하는 어머니의 아픈 마음을 묘사한 [두 승객과 가방], 모유마저 나오지 않는 육체적 상황과 가뭄이라는 자연적 재해가 동의태를 이룸으로써 부정적인 현실이 극대화된 [한귀]는 모성적 분출과 사회구조를 함께 연관지어 작가의 강렬한 메시지를 부각시킨 기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절박했던 여성해방의 문제를 공론화하면서 그 해결의 당위성을 인식시키는 데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데 유효했으며 출생의 비밀 모티브는 인고의 세월을 살았던 한국여성의 전형적 모델을 일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서양에 있어서는 여성운동이 대남성투쟁이었던 데 대하여 한국의 근대 여성운동은 남자와의 대립이나 대결보다는 오히려 개화된 남성들과의 동지적 유대와 협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때문에 박화성 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여성관도 남성과의 대립, 갈등이 아니라 동지적 협조, 그리고 순종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변화에 노력하는 여성상으로 나타난다.
박화성이 그의 작품을 통하여 제시하는 새로운 여성은 ①현실을 직시하는 여성, ②자신을 발견하는 여성, ③개척정신과 성장에 뜻을 가진 적극적인 여성, ④현재의 실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이다.
[부덕]에서 종래의 한국적 보수사회의 부덕을 비판하고 현대적인 부덕을 제시하고, [샌님마님]에서는 여성직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이고, [어떤 모자]에서 모성의 위대함으로 아편에 빠진 아들을 살리는 이야기를 한다. 못된 며느리를 탓하지 않고 감싸는 시어머니의 미덕을 그린 [원죄인], 시어미니와 며느리의 자매애적 사랑을 그린 [아가야 너는 구름 속에] 등에서 여성문학적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가 정치적 현실을 제재로 하여 [부덕], [원두막 풍경], [딱한 사람들], [원죄인], [휴화산] 등을 발효하였으나 60년대의 산업사회와 정치적 혼란속에서 결국 여성의 자유로운 창조적 삶만이 진취적 여성상을 만들어 가며, 그러한 여성상이 가족이나 사회에 필요하다는 자각적 인식이 정립된 것이라고 보아진다.
그는 문제점을 밝히고 선전하면서 여성문제만을 도식적으로 그려간 것이 아니라, 전체 사회구조속에서 그려간 여성상은 새롭게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적응하는 창조적 여성상이었다. 남녀간의 애정을 주제로 다룬 애정소설에 있어서도 사랑의 꿈 같은 환상에만 젖어 있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면서 자신의 삶을 굳건히 살아가는 강인하고 당찬 여성의 모습을 발전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박화성이 만들어 간 이상세계는 인간평등의 세계이면서 정의로운 이상사회인 것이다. 그러한 사회의 삶을 만들기 위하여 나쁘고 왜곡된 삶을 허물고 창조적·진취적으로 거듭나는 윤리의식과 인도주의로 따뜻한 시선과 사랑으로 타락한 사회를 구성하는 데 모성적 논리가 필요함을 그는 상황적 논리로 묘파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홍성사, 1979).
김용성, {한국현대문학사 탐방}(현암사, 1984).
백 철, {조선신문학사조사}(백양당, 1949).
이남덕, [한국문학에 나타난 전통적인 여성상], {여성학}(이화여대 출판부, 1979).
백 철,《한국신문학발달사》, 박영사, 1974
구인환,《한국근대소설연구》, 삼영사, 1977
김윤식,《한국근대문학의 이해》 일지사, 1973
김우종,《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892
김정자,《한국여성소설연구》 신지사, 1991
김윤식,《우리소설의 표정》, 문학사상사, 1981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04.27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