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산업의 중국시장진출 현황과 전략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세계 문화산업의 부상과 중국시장의 잠재력
1. 문화산업의 부상
2. 중국 문화시장의 잠재력

Ⅲ. 한국의 對중국 문화컨텐츠시장 진출 현황과 평가
1. 영화산업
2. 방송산업
3. 음반산업
4. 게임산업
5. 소결

Ⅳ. 중국 문화컨텐츠 시장 진출장벽
1. 중국적 요인
1) 문화산업 정책
2) 제도적 진출장벽
3) 사회적 진출장벽
2. 한국적 요인
1) 정부의 문제
2) 기업의 문제

Ⅴ. 중국문화컨텐츠 시장의 변화와 시장접근 전략
1. WTO 가입 이후의 변화
2. 중국문화컨텐츠 시장 접근을 위한 제언
1) 국가적차원
2) 기업적차원
3) 공공부문

Ⅵ. 맺음말

본문내용

국진출을 위한 기반조성이라는 좁은 시각에서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이보다는 한중 문화산업이 상호 협력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중 문화교류를 바라보고,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 기초한 한중 문화교류를 통하여 작게는 중국 문화시장에 대한 한국 대중문화의 진출을 보다 원활하게 만들며, 크게는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 대중문화와의 협력을 통하여 아시아 및 세계 시장에 진출해 나가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보다 폭넓은 대중문화가 중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 컨텐츠를 개발하는 역할도 결국 공공부문이 담당해야 할 일이다. 정부가 문화 컨텐츠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지만 최종적인 문화 콘텐츠의 개발은 넓은 의미의 대중문화계가 담당할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에서 공공부문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Ⅵ. 결론
중국은 체제상 중앙 및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문화컨텐츠 산업을 많은 부분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산업 경쟁력이나 시장발전이 미약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정부의 품안에서 벗어나 시장경제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초보적인 단계로 요즘 A주 시장에 상장된 1,063개 업체 중 10여 개의 업체가 문화컨텐츠사업 관련회사들이라는 점이다. 비록 수적인 면에서는 미약하지만 이들은 주식시장에서 조달한 거액의 자금을 문화사업에 대거 투자하고 있다. 특히, TV방송분야에서 날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湖南省電廣實業
) 산하 湖南위성 TV의 快樂大本營은 중국 최고의 시청률을 자랑하는 오락프로그램으로서 최근 한국 의 NRG, HOT, 안재욱 등을 중국전역에 홍보한 바 있다.
은 중국 1류의 TV방송 그룹으로 탈바꿈코자 맹활약하고 있다. 이밖에 東方明珠, 誠成文化, 紹興百大 등의 회사들도 Cable TV 네트워크 설치, TV프로그램 제작 등 사업을 벌이고 있다.
또한, 한국도 중국 國家廣播電視總局 徐光春 局長과의 협상을 통해 2001년 하반기부터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실시해온 한국 TV 드라마 등에 대한 수입규제를 전면 해제해 대량수입을 약속함으로서 한국문화산업의 중국진출이 본격화되었다.
) 중국은 그동안 한국드라마에 대해 시간대 제약, 외국영상물 수입비율 규정 등을 적용해 보이지 않는 제한이 많았다.
하지만 본문에서도 지적했듯이, 한국의 문화산업이 한류의 상승세를 타고 중국현지에 발을 들여놓았지만, 현재까지 특정분야를 제외하고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만큼의 뚜렷한 수익성을 내고 있지는 않다. 그 이유는 중국자체의 문제와 더불어 한국 문화산업자체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기인한 것으로 이미 앞에서 자세하게 언급하였다. 만약 이러한 문제점들을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제대로 극복해낸다면 앞으로 중국의 WTO협상에 따른 영화, TV방송, 음반, 게임 등 시청각서비스 분야의 개방이 확대될 때에 서구선진국들과의 경쟁에서 크게 뒤쳐지지 않을 것이다.
문화컨텐츠 산업은 21세기 IT산업과 함께 국가유망산업이다. 따라서 가까운 미래에 중국 문화컨텐츠 시장의 선점경쟁은 매우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정확한 중국시장 매커니즘 및 체제구조시스템을 어떻게 이해하고 우리 것을 어떻게 접목시키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이를 위한 현지화 Business Model을 계속 개발시켜나가야 할 것이며, 유관 정책·법규 및 기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만 진정한 우리의 자리가 마련될 것이다.
【 참고문헌 】
『경제환경 변화와 한국 문화산업』김휴종(1998), 삼성경제연구소
『한국 대중문화 발전전략』김휴종(1999), 삼성경제연구소
『북경 올림픽의 한국 문화산업에 대한 효과분석』김휴종(2001), 문화관광부
『한국 문화산업의 해외진출전략연구』문화관광부(2000)
『문화산업비전21』문화관광부(2000)
『2002 문화산업백서』문화관광부(2002)
『한류 문화정책기획단 보고서』새천년민주당(2001)
『한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긴급제언』 심상민(2002) , 삼성경제연구소
『중국 문화컨텐츠 시장의 발전과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외교통상부(2002)
『한국 방송산업 현황과 상호교류 방안 연구』한국방송진흥원(2001)
『2003년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주요 트랜드』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3)
『한류의 경제적효과와 정책시사점에 관한 설문조사』최의현(2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류ㆍ축구를 이용한 중국시장 접근 방향』김화석, 이석기(2002), 산업연구원
『한중 경제교유의 회고와 향후 전망, 지만수(2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 문화산업의 동북아지역 진출 활성화 및 협력방안 연구』,한국문화정책개발원(2002)
『문화콘텐츠 산업의 국제경쟁력 및 주요 지역 전략산업별 진출방안』, 심상민,
삼성경제연구소
『한국 문화산업의 해외진출 연구』, 문화관광부(2000)]
『문화산업분야 DDA서비스협상 경과 및 대응과제』이해돈(2001), 문화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조세ㆍ금융제도 및 기타 개선 방안』구문모 (2002), 산업연구원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마케팅과 홍보활성화 방안』, 조태현(2002)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국시장 진출 및 교류협력 방안』, 우전소프트(2002)
『중국문화산업』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3)
『문화콘텐츠 산업의 해외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윤재식(2002), 한국방송영상 산업진흥원
『음악상업 발전을 위한 분야별 경영자 세미나』,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2)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지원 정책에 대한 단상』, 전택수(2002)
『온라인 게임산업의 대중국 시장진출 확대 방안』,한국무역협회(2002)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구문모, 임상오, 김재준 공저, 을유문화사(2000)
『중국영화산업백서』, 영화진흥위원회(2001)
『2002년도 중국 게임시장 현황』, (재)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3)
『중국의 한류현상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김설화,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2)
『중국 청소년의 한국 대중음악 수용에 관한 연구』신혜선,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1)
『중국에서의 한류 열풍 고찰』,이은숙, 제1회 세계 한국학대회 발표자료 (2002)
  • 가격2,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3.09.18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