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황해권 자유무역추진전략(다이아몬드모델중심으로)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세계경제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간 경제협력의 필요성

Ⅱ. 도시간 자유무역지대 연결 모형과 사례고찰
1. 환황해권 도시간 경제협력 필요성
2. 다이어몬드형 지역경제협력 모형의 개념

Ⅲ. 환황해권 자유무역권 형성 추진 전략
1. 환황해 자유무역권내 4도시의 산업구조 분석
2. 지역내 자유 시장권 형성으로의 접근


Ⅳ. 각 국의 자유무역도시 사례와 평가
1. 싱가포르
2. 홍콩
3. 중국의 심천 경제특구와 북한의 나진 선봉 특구 비교
4. 우리나라 현황


Ⅴ. 다이아몬드형 지역협력 모형의 기대효과

본문내용

동북아 지역중 한ㆍ중간의 경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환황해권 연해도시 중 항만과 공항을 지닌 인천과 청도, 천진, 대련간의 다이아몬드형 자유무역권 설치를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앞에서 살펴봤듯이 4도시가 항만과 공항을 지닌 도시인 점을 고려하여 먼저 수출입을 자유롭게 하고 관세를 자유화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인천항과 공항의 관세자유지역과 청도, 천진, 대련 보세구간의 수출입에 대한 관세율이 조정 되도록 지방간 실무자 협력이 이뤄져야한다. 또한 4도시 공동 항만 이용료 혜택, 통관 절차의 간소화, 국제선사에 대한 공동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정보망의 구축 등이 필요하다. 각 도시간 경제구조와 산업구조를 비교해봤을 때 인천은 청도에 대한 수출 유망품목을 특혜관세 내지 무관세 품목으로 지정하여 수출 신장을 도모해야하며 송도에 조성될 미디어밸리와 청도의 하이테크 산업센터를 연결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첨단 도시가 되도록 협력방안을 세워야 하겠다. 천진은 천진 지역내의 내수 시장과 더불어 수도 북경에 진입하는 관문이기도 하다. 특히 기술 개발구들이 집중에 있는 특구 지역에 한국 기업들이 기술과 자본을 투입, 생산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인천에 위치하고 있는 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기술적 우위와 천진 지역 업체들의 내수 판로를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대련과의 협력은, 동북 3성의 석유화학공업 투자 참여와 관련 제품 생산의 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인천지역을 통해 자본재와 중간재의 수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련 측에서는 의류, 섬유 등 경공업 제품에 대한 한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미시적인 효과에 만족하지 않고 홍콩, 싱가포르 등의 경제특구와 같이 국가 전체를 특구화하여 거시적체제의 전환을 도모해야한다. 현실 가능한 도시간 협력을 통해서 동북아 지역의 미진한 경제통합을 실제적이며 주도적으로 시도하고, 이를 확대하여 머지않아 다가올 동북아 지역 경제의 구체적 통합 움직임에 대비해야겠다.
● 참고문헌
오승구 외 『글로벌 산업 시프트』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2002.10.8
손병해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
손병해 『東北亞經濟協力圈 形成을 위한 線形自由貿易地帶 構想과 그 期待效果』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9
손병해 『東아시아 경제의 地域化 要因과 그 特性 - 유럽무역의 지역 화 요인과의 비교검토』
구정모, 이현훈『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지역주의 : 상위지역협력과 하위 지역협력간의 관계모색』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10. 25
서봉교 『북한 경제특구의 전망과 과제 - 중국 특구와의 비교를 중심 으로』LG경제연구원 2001. 3
이호영 『동북아 지역 도시 네트워크와 항만도시 부산의 대응전략』
吉光受 『싱가포르 自由貿易地帶 運營에 관한 硏究』 韓國海運學會誌
김기환, 재정경제부 외 『경제특구의 문제점과 전면개방의 필요성』 2002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정부시안)
삼성경제연구소『경제특구의 성공적 추진방안』CEO Information 제 364호,
朴明欽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계획과 지역균형발전』부산발전연 구원
柳在元 『아세안의 經濟統合과 自由貿易地帶의 役割』건국대 경제학과
양운철 『북한의 중국식 경제특구 개발 가능성』세종연구소
김진삼, 장동식『한ㆍ중ㆍ일 인터넷 자유무역지대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무역학회지 제26권 제4호, 2001. 9.
이종윤 『동아시아 경제협력체의 강화와 한ㆍ일 자유무역지대 창설』
김태정, 정인교『한국의 소규모 자유무역지대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1996. 12
정인교, 이경희, 박영호, 채욱, 서창배『동북아 경제협력 : 관세, 통상 등 지역경제협력』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허재완 『경제특구와 국토정책』
朴淳讚 『한ㆍ일 자유무역지대의 자본축적효과』국제경제연구 제8권 제1호, 2002. 4.
孫炳海 『地域經濟統合과 多國籍企業의 相互作用』
손병해 『地域主義와 世界厚生』
손병해 『地域別 經濟統合과 韓國의 對應 戰略』한국무역학회 국제학 술발표대회 1994.
이정우 『경제의 세계화와 지역경제』
신용대, 신태용, 유관영, 김화섭, 이문형『한ㆍ중ㆍ일 경제협력의 발전방 향』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0
朴濟勳(인천대 무역학과)『동북아 경제협력과 인천의 리스트럭처링』
정인교 『이제는 FTA, 자유무역협정의 시대다』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용식 『인천광역시 국제화 추진전략』인천발전연구원, 2001.8-12
안석교, 허훙호 『中國의 地域經濟協力 認識과 東北亞 經濟統合 可能 性』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30
박제훈 『동북아시아의 경제 : 협력과 갈등의 구조』NAIS 동북아 학 생아카데미 발제문, 2002. 10. 9
『인천지역 수출입 추이와 수출산업 발전방향』통계청 2002.9
김동현 『경제특구 관련제도의 실태와 시사점』전경련 규제조사본부 규제개혁팀 2002. 8
박재룡 『경제특구의 성공적 추진방안』삼성경제연구소 2002. 9. 4
허동훈 『경제특구와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로서의 인천』인천시 공무원 교육원강의 교재 2002. 9
백종실, 우종균 『관세 자유지역의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강화방안 연 구』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1. 12
『우리나라를 동북아 국제물류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관세 자유지역 (자유무역지대) 설치방안』한국해운학회지 제29호
金昌男, 千寅鎬『東北亞 地域 海洋都市間 經濟協力모델 構想』대외경 제정책연구원 2000. 12
유진석,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2001.11
이종현, 『송도 화교투자구역 개발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999. 7
매일경제신문 2001.11.1
www.pysih.net
www.qingdao.gov.cn (청도시 정부)
www.dalian.gov.cn (대련시 정부)
www.tianjin.gov.cn (천진시 정부)
www.krihs.re.kr (국토개발원)
www.idi.re.kr (인천발전연구원)
www.kmi.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연구원)
www.pdi.re.kr (부산발전연구원)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3.09.18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