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청산별곡,상저가-고전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림별곡(翰林別曲)》
《제1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2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3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4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5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6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7장》
<현대어 풀이>
▶주제
《제8장》
<현대어 풀이>
▶주제
『해설』

《청산별곡(靑山別曲)》
『해설』
『핵심정리』
《상저가(相杵歌)》
『현대어 풀이』
『해설』
『핵심정리』

본문내용

)~16년경으로 추측되는데 1215년 5월 궁에서 최충헌에 의해 추천희가 열렸다고 한 것과 〈한림별곡〉의 마지막 장이 추천 광경을 읊은 것을 맞추어 보면 그 시기와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제1장에는 유원순·이인로·이공로·이규보·진화·유충기·민광균·김양경의 장기인 창작분야를 노래했고, 제2장에서는 서적(書籍), 제3장에서는 글씨, 제4장에서는 술, 제5장에서는 꽃, 제6장에서는 음악, 제7장에서는 경치, 제8장에서는 여럿이 그네를 띄우며 즐겁게 노는 정경을 노래했다.
이 노래에는 질탕하게 노는 내용이 많은데 이것은 퇴폐적이기보다는 새롭게 성장해가는 신진사대부들의 득의에 찬 기상을 그려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가사의 기본 음수율은 3·3·4로 별곡체(別曲體)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을 가지고 있다. 이 노래가 이루어진 근원이나 동기에 대해서는 중국의 사악(詞樂)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의 속악(俗樂)의 선율이 변주곡 형태를 띤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뒤 안축(安軸)의 〈관동별곡 關東別曲〉·〈죽계별곡 竹溪別曲〉 등의 경기체가가 나왔고 조선 초기에도 많은 경기체가가 지어졌다. 〈악학궤범〉·〈악장가사〉에 국한문 가사가 전하며, 〈고려사〉 악지에는 한문과 이두로 우리말 부분이 삭제된 채 실려 있다.
『핵심 정리』
연대 : 고려 고종 2,3년경(1215~1216)
갈래 : 경기체가
운율 : 3음보, 3-3-4조
구성 : 전 8장의 분절체
성격 : 과시적, 향락적, 풍류적
의의 : 최초의 경기체가
출전 : 악장가사
주제 : 귀족들의 향락적 풍류생활, 유생들의 학문적 자부심
《청산별곡(靑山別曲)》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힝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믓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대예 올아셔 금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힝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얄라
『해설』
총 8연이며,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곡조와 제 1 연이 실려 있다.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와 함께 고려가요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작품으로, 작자의 계층이나 제작 동기, 작품의 성격, 작중화자(作中話者) 등에 대한 정설이 없다.
매연(每聯) 4구(句)에 후렴구가 첨가되었고 3·3·2의 기본 음수율을 바탕으로 병행법·반복법 등이 쓰였으며, 3연과 5연, 3연과 7연, 4연과 8연이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작자에 대해서는 개인 창작이나 민중 공동작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민중 공동작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가사의 성격면에서는 청산에 들어가 살아야 하는 민중의 괴로운 삶, 특히 유랑민의 처지를 나타낸 민요 민란(民亂)에 참여한 농민·어민·서리(胥吏)·노예·광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 혼합집단의 노래 슬픔을 잊기 위해 청산으로 도피하고자 하는 실연한 사람의 노래
고민을 해소하기 위해 청산을 찾고 기적과 위안을 구하면서도 삶을 집요하게 추구하는 지식인의 술노래 닫혀진 세계 속에서 살고 있는 여인의 한(恨)과 고독을 담은 노래 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독해(讀解)에 있어서도 <잉무든 장글>을 이끼 묻은 쟁기 또는 농기구로 보는 견해와 이끼 묻은 장도칼 또는 이끼 묻은 악기 정도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는데, 후자는 화자를 여성으로 본다.
<사듦미 짊대예 올아셔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는 반어(反語)이며, 기적을 의미한다는 견해와 사슴모양을 만들어서 노는 놀이의 장면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핵심정리』
작자 : 미상
갈래 : 고려가요(속요)
형식 : 기승전결 4단 구성
짜임 : 전 8연. 각 연은 3 3 4조
주제 : 삶의 고뇌와 비애, 실연(失戀)의 애상
의의 : 고려 가요 중 '서경별곡'과 함께 비유성과 문학성이 가장 뛰어남.
《상저가(相杵歌)》
듦긔둥 방해나 디히 히얘
게우즌 바비나 지  히얘
아바님 어머님  받고 히야해
남거시든 내 머고리 히야해 히야해
『현대어 풀이』
덜커덩 방아나 찧어 히예
거친 밥이나 지어 히얘
아버님 어머님께 바치옵고 히야해
남거든 내 먹으리 히야해 히야해
『해설』
가명(歌名)인 ‘상저(相杵)’에서 ‘저(杵)’는 절굿공이의 뜻이고, ‘상(相)’은 송저성(送杵聲)이다.
상저가는 방아 찧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주 간단하고 소박한 내용이지만, 힘써 일해 거둔 곡식을 찧으면서 부모에게 드릴 것을 생각하는 따뜻한 정감과 기쁨이 소박하게 나타나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 조상들의 삶의 애환을 드러내고 있다. 아마 방아를 찧고 있는 것은 쌀이나 보리와 같은 곡식이 아닐 것이다. 그보다도 더 거친 무엇이다. 그나마도 온 가족이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부모님께 먼저 드리고 혹시 그분들이 남긴 것이 있으면 먹으리라 혼잣말하고 있는 것이다.
다분히 효의 사상을 간직한 이 노래는 짧은 시행 속에서도 소박하면서도 담백한 시정(詩情)을 통하여 옛 선인들의 일상 생활의 애환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핵심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고려 시대
종류 : 고려 속요, 노동요
형태 : 비련시
구성 : 4행의 비련시
표기 : 반치음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16세기 이전에 정착되었으리라고 짐작된다.
제재 : 방아 찧는 촌부
주제 : 효심
의의 : 촌부의 소박한 생활 감정이 표현된 민요로 농촌 풍속과 함께 효심을 노래한 가요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0.2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