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가에서 조선까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국가에서 조선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국시대의 발전(1)

2. 삼국시대의 발전(2)

3. 삼국시대의 사회와 경제

4. 삼국시대의 문화

5. 통일신라의 발전

6. 통일신라의 문화

7. 발해의 발전과 신라하대의 동요

8. 중세사회의 성립과 고려의 정치

본문내용

) 골품제의 붕괴
·진골의 폐쇄적인 이익추구 6두품, 숙위학생, 지방세력 등의 저항
3) 지방세력의 대두 ( 호족·군진·초적세력 등 )
① 양상 -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립
군사력을 통한 지방 행정의 장악 (성주·장군) - 조세·부역 징수
농장과 사병을 배경으로 독자적 세력권 형성
② 세력 - 호족(豪族) : 1. 토착적인 지방세력(촌주),
2. 일부 중앙귀족의 호족화(진골, 6두품)
군진(軍鎭)·초적(草賊) 등
3. 후삼국의 성립
1) 후삼국의 성립
① 후백제 : 견훤 (900. 완산주)
- 군진 세력 기반
- 901년. 신라의 대야성(大耶城) 공격
② 후고구려 : 궁예 (901. 송악)
- 초적 세력 기반
국 호
연 호
연대
수도
후고구려
901
송악
마진(摩震)
무태(武泰)
904
성책(聖冊)
905
철원
태봉(泰封)
수덕만세(手德萬歲)
911
정개(政開)
914
- 904년. 관제정비 - 광평성(廣評省)
③ 신라 : 경주 일대를 중심으로 축소 (경상도 지역)
2) 고려의 건국
① 왕건 - 홍유·신숭겸·복지겸 등과 궁예 축출
- 호족세력 + 해상세력
- 도읍 옮김 (철원. 918년 송악. 919년). 연호: 천수(天授)
3) 후삼국의 통일
① 신 라 : 경순왕의 귀부 (935년)
② 후백제 : 신검(神劒) - 선산에서 대파 (936년)
제 11 강 중세사회의 성립과 고려의 정치
1. 태조의 정책
1) 민족융합정책 (호족통합 정책)
① 혼인정책 - 정략결혼(政略結婚)·사성(賜姓)
② 호족의 편성 - 중앙귀족, 호장·부호장
③ 사심관(事審官) 제도 - (공신·고관) 출신지의 부호장 이하의 임명권 부여
- 치안통제의 책임
④ 기인(其人) 제도
⑤ 정계(政誡) · 계백료서(誡百寮書)
훈요 10조
1. 대업은 제불호위(諸佛護衛)에 의하여야 하므로 사원을 보호·감독할 것
2. 사원의 창설은 도선(道詵)의 말에 따르고 그 이외에는 함부로 짓지 말 것
3. 왕위 계승은 적자(嫡子)·적손(嫡孫) 순으로 할 것
4. 거란과 같은 야만국의 풍속을 본받지 말 것
5. 서경(西京)은 길지이니 순유(巡留)하여 안녕을 이루게 할 것
6. 연등회와 팔관회를 통하여 민심을 수습 할 것
7. 간언(諫言)을 받아들이고 부역(賦役)을 고르게 하여 민심을 얻을 것
8. 차현(車峴: 車嶺,금강) 이남의 인물은 조정에 등용치 말 것
9. 관리의 녹(祿)은 그 직무에 따라 제정하되 함부로 증감치 말 것
10. 경사(經史)를 널리 읽어 옛일을 거울로 삼을 것
2) 북진 정책
① 서경 - 북진정책의 중심지 (왕식렴)
② 영토의 확장 - 태조 말년의 국경 (청천강-영흥만)
3) 숭불 정책
① 불교의 국교화 - 사찰 건립의 증가 (왕륜사·법왕사·흥국사 등)
② 풍수지리 중시
2. 중세 사회의 성립
1) 중세 사회의 성격
① 호족 세력의 대두 : 문벌 귀족 사회의 형성
② 유교 정치 질서 마련 : 유교 정치 이념의 정립(채택)
③ 중세 문화의 발달
혈족적 관념과 종교의 제약에서 벗어나 문화의 폭 확대
지방 세력의 문화의 주인공으로 등장 - 지방 문화의 성격이 뚜렷해짐
④ 강력한 민족 의식 : 고대 사회의 모순 극복
고대사회와 중세사회의 비교
고대 사회 ( 통일신라 )
중세 사회 ( 고 려 )
진골귀족 중심
호족 중심
폐쇄적 신분제 사회
개방적 신분제 사회
귀족문화 발달 (수도 중심)
귀족문화와 지방문화가 함께 발달
불교 중심
유교·불교의 융합
3. 정치구조의 정비
1) 광종의 개혁정치
① 주현공부법 - 국가 수입의 증대
② 노비안검법(956) - 후삼국의 혼란기에 불법적으로 노비가 된자를 양인으로 해방
③ 과거제도 실시(958)
④ 관리의 공복(公服) 제정(960) - 자·단·비·녹삼(紫 丹 緋 綠衫)
⑤ 칭제건원(稱帝建元) - 왕 : 황제(皇帝), 연호 : 광덕(光德)·준풍(峻豊)
- 개경 : 황도(皇都), 서경 : 서도(西都)
⑥ 제위보 설치 - 빈민 구제를 위한 재단
⑦ 송(宋)과 수교(962) - 경제·문화적 목적
⑧ 왕사·국사 제도(968) - 왕과 국가에 대한 자문
2) 성종의 개혁정치
최승로의 시무 28조 : "불교는 수신의 근본이요, 유교는 치국의 근본이다.
불교는 내세의 자본이요, 유교는 현세의 요무이다."
① 중앙관제 제정(982) - 2성 6부설치
② 지방관의 파견(983) - 전국에 12목 설치. 분사(分司)제도
- 향직 개편 (호족 향리로 격하)
③ 교육제도 정비 - (교육정책을 통한 지방호족의 중앙관료화)
- 교육입국조서 발표, 국자감 설치(992)
- 도서관 설치(비서성·수서원). 문신월과법
④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⑤ 불교 억압 - 연등회·팔관회 폐지
⑥ 호족세력의 견제 - 호족의 무기를 몰수하여 농기구를 제작, 농민에게 배포
4. 중앙 정치
1) 정비 : 성종 - 유교정치 이념 정립(최승로. 시무 28조)
2) 2성 6부
① 중서문하성
재신(2품이상) : 백관총괄, 국정논의
낭사(3품이하) : 서경, 간쟁, 봉박
② 상서성 - 6부 관장 (이·병·호·형·예·공)
③ 중추원
추밀(2품이상) : 군사
승선(3품) : 왕명 출납
④ 어사대 - 감찰·풍기단속
⑤ 삼 사 - 곡식·화폐의 출납 회계
⑥ 춘추관 - 역사 편찬
⑦ 한림원 - 왕의 교서 담당
도병마사 : 외교·군사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의 합좌회의)
식목도감 : 법제·격식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의 합좌회의)
대성(성대) : 서경·간쟁·봉박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
1. 서경(署經) : 왕 - 법제 개편, 관리 임면시 동의권
2. 간쟁(諫諍) : 왕 - 잘못 시정
3. 봉박(封駁) : 왕 - 부당명령 거부
설치 영향
1. 당(唐) 의 영향 : 3성 6부
2. 송(宋) 의 영향 : 중추원, 삼사
3. 고려 자체적 필요 : 도병마사, 식목도감
5. 지방 행정
1) 정비
① 성종 - 12목 설치
② 현종 - (4도호부 8목 5도 양계)
2) 5도 양계
① 5도(행정) - 주·군·현 - 촌/향·소·부곡
향리 : 실무세습, 외역전 세습, 일품군 지휘, 농민의 사적지배
신분상승 가능(과거), 기인제도의 대상
② 양계(군사) - 진
3) 특수 행정 구역 : 3경(개경·서경·동경 남경)
분사(分司) 제도

키워드

통일신라,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 가격1,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