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문법,체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계
6) 표기

2. 중세국어

3. 근대국어

4. 현대국어

5. 시대별 예문

본문내용

<시대별 예문>
1. 고대국어
예) 격음화와 경음화
柏史叱技次高支好
잣ㅅ 가지 노파 (찬기파랑가)
(잣나무 가지가 높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몬다닐고가다닛고 (제망매가)
(못 다 이르고 갔는가)
예) 격조사와 특수조사
·주격: 人是 - 사람이 (혜성가)
·목적격: 薯童房乙 - 마동방을 (서동요)
·관형격: 吾衣 - 나의 (수희공덕가)
·호격: 父也 - 아비야 (안민가)
·특수조사
民焉 - 民은(백성은) (안민가)
吾隱 - 나은/난(나는) (제망매가)
手良每如 -손랑마다 (광수공양가)
예) 시제
·현재시제
吾隱去內如辭叱都
나는가다다말ㅅ도 (제망매가)
(나는 간다고 말도)
예) 경어법
·주체존대 賜(-시-)
西方念丁去賜里遣
西方까장가샤리고 (원왕생가)
(서방정토까지 가시려는가)
·객체존대 白(-싶-)
兩手集刀花乎白良
두손모도고짜싶바 (원왕생가)
(부처님에게 우러러 두 손 곧추 모아)
·상대존대 以(-이-)
安支尙宅都乎隱以多
아니 새 집이 되니이다 (우적가)
예) 어말어미와 첨사
·체언화형어미
衆生叱田乙潤只沙音也
중생인전을저지샴여 (청전법륜가)
(중생 밭을 적심이여)
·관형사형어미
去隱春
간 봄 (모죽지랑가)
·연결어미
此衣有阿米次 伊遣
이에이샤매머믓그리고 (제망매가)
(이승에 있음에 두려워하여)
·종결어미
道修良待是古如
道닷가기드리고다 (제망매가)
(불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다)
年數就音隋支行齊
힝혜나삼헐 니져 (모죽지랑가)
(나이들면서 못해져 가는구나)
·첨사
- 의문문
二隱誰支下焉古
두블흔 누기핸고 (처용가)
- 명령문
法界毛叱所只至 去良
法界업딪록 니르거라 (예경제불가)
예) 부정법
毛如云遣
몬다닐고 (제망매가)
(못 다 이르고)
예) 고구려 어휘와 일본어 어휘와의 관계
·達 /달/ - 산 (일본어 たけ)
·密 /밀/ - 셋 (일본어 み)
·德 /덕/ - 열 (일본어 とお)
예) 신라 어휘
하나: 一等隱 枝良出古
한 가지라 나고 (제망매가)
둘: 二 *두블(처용가)
二尸 *두 (도천수관음가)
구름: 雲音
예) 구결
朋友隱 同類之人是羅 益者伊 三友五
(동몽선습)
隱-은/는, 是羅-이라, 伊-이, 五-오
예) 향찰
夜入伊遊行如可
밤 들이 노니다가 (처용가)
예) 이두
師矣啓以僧矣段
矣-의(관형격),以-로/으로(부사격-도구), 矣段-은
2. 중세국어
예) 합용병서의 음가
·ㅴ - ㄱ의 경음
·가가ㅵ - ㄷ의 경음
·가 - ㅂ의 경음
·가 - ㅈ의 경음
·가 - ㅅ의 경음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합용병서의 음가 참조
·격음화 - 고ㅎ(鼻) 코
·유성음화 - 까힝(秋)
·자음탈락 - 나리(川) 내,
니를다(至) 니르다
·두음법칙 - '녜절(禮節)'과 '례절(禮節)'이 함께 쓰임. 철저히 지켜지지는 않았음
·비음화 - '딪니다(步)'는 '딪니다'로도 나타나 있음
·ㄷ·ㄹ 호전 - 어휘 중 일부에서 'ㄷ'과 'ㄹ'이 서로 넘나드는 현상 보임.
'짇(行爲): 질'
·설측음화 - 'r'음이 'l'음으로 발음.
모링(不知)+아 몰라, 벌에( ) 벌 레, 머리(遠) 멀리
·자·모음충돌 회피 - 두(好)+잎+니 됴힝니(자 음의 충돌을 피하기 위 해 모음 잎를 삽입)
예) 모음의 음운변화
·'ㆍ'음의 동요 - 까링치다(敎) 까르치다
·모음조화 - '아,잎,오' 대 '어,으,우'의 대립. 나 다/ 너는 / 향힝야
·원순모음화 - 'ㅡ'는 'ㅁ,ㅂ,ㅍ' 등 순음 아래에 서 안정된 원순모음 'ㅜ'로 조음 되는 현상. 어듭다(暗) 어둡다
·'ㅣ'모음역행동화 - 'ㅣ'모음의 영향을 받아 모 음동화를 일으키는 움라우 트현상.겨시다(在) 계시다
·간음화 - 단모음으로 된 두 개의 음절이 축약 되어 복모음의 한 음절로 됨.
막다히 막대
예) 성조
·눈(眼) : :눈(雪)
·내(我:주격) : 내(我: 관형격)
예) 격조사와 특수조사
·주격
두드럭이가 블의예 도다 브어 오르니
(인선왕후어필 1550년경)
·목적격
西海링 년글 주리여 (용비어천가)
·부사격 중 공동격
나모와 곳과 果實와다 (석보상절)
·특수조사는 현대국어와 유사
예) 시제
·과거 - 니링시니이다 (월인천강지곡)
·현재 - 사모려 힝다다 힝아(석보상절)
·미래 - 힝시리라 (월인석보)
예) 경어법
·주체존대 - 부테시거시니 (몽산법어언해)
·객체존대 - 子는 내 힝힝시는 힝디시니라
예) 어말어미와 첨사
·연결어미
어미도 아딪링 모링며 아딪도 어미를 모링리 니 (석보상절)
·종결어미
- 평서문
즉자히 도로 수므니라 (석보상절)
- 감탄문
오잎로 가난티 아니힝도다 (두시언해)
- 명령문
님금하 아링쇼셔 (용비어천가)
·첨사
- 의문문
이 두 사링미 眞實로 네 항것가 (월인석보)
어느 힝호로 향힝야 가시다고 (박통사)
예) 피동문과 사동문
·有情이 나랏 법에 자피여 (월인석보)
·얼우시고 힝 노기시니 (용비어천가)
·疑心을 긋게 힝라 (목우자수심결)
예) 부정법
·世尊이 아니 오실아 (월인석보)
·나와 다링디 아니케 호리라 (석보상절)
예) 문체
·간접적인 표현: 남녀간의 성행위를 '더러힝 일' 로 나타낸다든가 '情欲앳 이른'정도로 표현함
·비유적인 표현: 말아미 보딪라힝
·강조: 니구믈 보시고힝
예) 파생에 의한 조어법
·명사: 그림(畵), 글지힝(作文), 밑팅기(乘馬) 각 각 'ㅁ, 이, 기'에 의한 파생
·동사: 없(無)+이우다 업시우다
·형용사: 다갑다(低)
3. 근대국어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어두자음군의 경음화
- 평음의 경음화: 구짓다 꾸짓다
·격음화 - 풀무, 니르켜, 탓
·구개음화 - 잡지못힝엿도다, 업더져
예) 모음의 음운변화
·원순모음화 - 믈 물, 블 불
·전설모음화 - 아칭 아침, 즐책 질책
예) 시제
·된밥도 지엇고 붉은 죽도 힝엇다 (박통사언해)
·그리 말면 됴켓다 힝시니 (한중록)
예) 경어법
·객체존대가 상대존대와 어우러져 나타남
- 하 젓소이 너기잎와 다 먹싶다이다
(첩해신어)
예) 어두자음군의 혼란
가 ㅆ
힝(核)(월인석보) 씨힝다(撤種子)(몽어유해)
【 참고문헌 】
박병채(1989), 국어발달사, 세영사
이기문(1972,1992),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익섭, 이상업,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정경일 외(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