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업별 추이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 농업산업
- 건설산업
- 자동차 산업 (SWOT 분석)
- 조선 산업
- 철광 산업 (SWOT 분석)
- 반도체 산업
- 국내 생산/소득 비율 그래프 (1970-2001년)
- 산업별 추이 그래프 (1970-2001년)
- GDP 그래프 (1971-2001년)

3. 결론

한글 2002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글 2002 프로그램이 있어야 자료 확인가능합니다.

본문내용

급강 수요 증가
국내 철강수요는 90년대 후반부터 신장세 크게 둔화
【 국내 철강수급 추이 (강재기준) 】 (단위 : 백만톤)
구 분
‘80
‘90
‘95
‘00
‘01
명목 소비
5.1
20.0
35.5
38.4
38.3
수 출
4.7
7.1
9.1
13.7
14.0
총 수 요
9.6
27.1
44.6
52.1
52.3
생 산
8.8
24.8
39.7
48.8
49.1
수 입
0.8(2.1)
2.3(5.6)
4.9(10.7)
3.3(11.4)
3.2(10.7)
주 : 수입의 ( )는 반제품 및 핫코일 포함
중장기적으로도 수요산업의 구조변화로 저성장 구조 정착 전망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국내 수요증가율
11.8%
6.6%
1-2%
표면처리제품, 특수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증대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 수준
가격경쟁력 우위 확보
; 선진 철강국 대비 최신설비 보유, 안정된 조업기술, 저렴한 인건비 등에 기인
비가격경쟁력 다소 열위
; 생산성은 우위에 있으나, 기술 개발력은 미흡
가격경쟁력
일본, 미국 등 주요 선진국 대비 2337% 우위
⇒ 생산원가 측면에서 인건비 및 제조경비 등이 저렴
⇒ 높은 가동율 유지도 경쟁력 우위의 주요인
일본이 세계 최고의 품질기술력 보유함에도 불구, 경쟁력 열위는 과잉설비에 따른
가동율 저하가 주원인
전기로제강업과 단압부문은 원가구조 측면에서 다소 취약
⇒ 제조원가중 원재료비 비중이 매우 높고, 특히 고철은 공급 부족으로 30% 정도를
물류비 부담이 큰 수입고철에 의존
고철수입의존도(00년) : 한국 31%, 미국 4%, 일본 1%, 중국 17%
고철 내수가격(02.3월/US$) : 한국 101, 미국 79, 일본 69
⇒ 전기로 제강업의 경우 노동생산성도 세계적인 전기로 제강 업체에 비해 다소 열위
비가격경쟁력
생산성 : 세계 최고의 경쟁력 보유
품 질 : 세계 최고수준인 일본 대비 동등
⇒ 열연강판 두께적중율(?0/㎛기준) : 한국 97.8%, 일본 97.3%
⇒ 냉연강판 두께편차(%) : 한국 1.15, 일본 1.20
조업기술 : 제강기술의 경쟁지표인 제강용해시간 등은 일본 대비 다소 우위
제품 개발력 및 고급강 생산기술 : 아직 선진국 수준에 다소 미흡
설비 엔지니어링 : 선진국 대비 취약하여 국내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확보 장애요인 작용
발전 가능성
여건 변화
세계 각국의 철강산업 보호주의 강화로 통상마찰 심화
⇒ 미국, EU, 중국 등 세계 철강 주 수요국가들이 자국내 철강산업 보호조치를 경쟁적 시행
세계적인 생산능력과잉 및 경기침체
⇒ 세계 생산능력 : 1,023백만톤, 수요대비 120-125% 수준
개도국 설비증설, 경쟁력 보유국가의 수출확대 등으로 경쟁열위국의 철강산업위기감 고조
2004년 철강제품의 관세 무세화
WTO협정에 의거 주요국의 철강제품 관세가 2004년부터 무세화
⇒ 우리나라의 경우 관세 무세화시 수출확대에는 다소 유리한 여건이나,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 주 수출대상국인 미국, 일본 등의 현행 관세율이 낮은 수준으로 수출증대 효과는 크지
않을 전망
※ 무세화 협정국 : 미국, EU, 일본, 한국, 캐나다, 스웨덴
무세화시 국내 철강재 수입은 5.8% 정도 증가 전망
원가절감 효과도 기대되나, 저가 수입제품에 의한 국내시장 교란 및 잠식 우려
남북경협 활성화시 대북 철강수요 증가
남북경협이 본격화될 경우 북한의 경제개발과정에서 철강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
⇒ 남북경협 본격화시 북한의 철강수요 전망(한양대/99) :
(98) 100만톤 → (2006) 200만톤 → (2010) 600만톤
※ 북한 철강산업 : 124만톤 생산(99), 설비기술수준 낙후
SWOT 분석
비 전
발전 전략
혁신철강기술 개발 및 고부가가치화
구조개편을 통한 생산체제의 효율화
통상마찰 효율적 대응 및 글로벌협력 강화
철강 신수요 창출노력의 강화
철강 전자상거래 기반 구축
반도체 산업
반도체산업의 현황 및 전망
생산 20조원, 수출 143억불로 총 수출의 9.5%(2001년)를 차지는 우리 경제의 핵심사업
⇒ DRAM 등 메모리반도체가 세계시장의 41.5%(2001년) 점유
‘85
‘90
‘95
‘00
‘01
반도체 수출 (억불)
10
47
221
260
143
총 수출 (억불)
303
650
1,251
1,723
1.504
반도체수출 비중(%)
3.3
7.2
17.7
15.1
9.5
【 반도체 수출의 비중 추이 】
03년 반도체시장은 기업들의 활발한 PC교체로 15~20%성장전망
03년 반도체 수출은 02년 대비 20.3% 증가한 200억불 목표
【 반도체 산업 발전 추이 】
반도체 전문기술인력의 공급확대
산학연 공동 반도체기술인력 대책위원회 구성, 기존 교육프로그램을 점검하고
반도체분야 인력수급 실태 및 민관 역할분담을 논의
반도체 연구기반 혁신을 통한 고급 기술인력 양성
⇒ 대상 및 기간 : 서울대, 경북대, 전북대, 2003 2006(4년)
SoC 특화연구기반 구축을 통해 SoC 설계력을 향상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
발전잠재력이 높은 분야(50 나노급 공정기술, 포스트 메모리, 한국형 IC 등)를 선정해서
R&D 역량을 투입
성장성이 높은 SiC 화합물 반도체에 대한 2단계 기술개발을 지속
반도체 장비재료의 기술력 향상
핵심 장비재료의 개발업계수요업계 공동 R&D를 추진
신뢰성 있는 기술평가를 통한 반도체 장비부품의 판로 확보
⇒ 충북에 지역진흥사업으로 반도체 장비부품 테스트센터 구축 사업실시
수출마케팅 능력의 극대화
EU와 미국의 DRAM 상계관세 조사('03.57월경 최종판정)에 대응
중국 등 신흥시장개척단 파견 및 국내외 전문전시회 참가 지원
반도체산업의 저변확대
파운드리-설계업체간 협력모델 연구 및 라운드테이블 정례화 등 파운드리산업
발전기반 강화
⇒ 반도체 시제품 제작 지원 확대 및 강화
국내 생산/소득 비율
산업별 추이 그래프
GDP (국내 총생산)

키워드

SWOT,   산업별,   추이,   분석,   그래프,   국내생산
  • 가격2,1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