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당정치와 그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붕당정치와 그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붕당론

Ⅲ. 붕당정치의 성립과 발달
(1) 사림의 대두와 정치체제의 변화
(2) 붕당정치의 발달

Ⅳ. 붕당정치의 변질과 쇠퇴
(1) 붕당정치의 변질
(2) 탕평책의 대두와 특질
(3) 붕당정치의 파탄

Ⅴ. 붕당정치의 발생원인

Ⅵ. 결론

본문내용

되게 마련이었던 것이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정치제도상의 구조를 들 수 있다. 15世紀까지만 하더라도 조선 정치구조는 비변사에 합좌할 수 있는 3정승과 6조의 장관들, 言官으로서의 三司, 그리고 吏曹銓郞 3자의 상호견제 구조로 짜여 있었다. 그러나 16世紀에 이르러 일반 신하는 물론이고 三司의 人事權을 갖고 재상에 오를 수 있는 가교역할을 했던 吏曹銓郞職을 둘러싸고 사림들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벌어질 소지가 있었다. 吏曹銓郞이 누가 되는냐에 따라 自派의 인사가 요직에 배치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吏曹銓郞職 또한 朋黨政治를 시작하게 한 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셋째는 朋黨政治를 더욱 격화시켰다고도 볼 수 있는 書院의 남설이었다. 書院은 그 설립 초기에는 나름대로 향촌사회의 교육과 공론 형성에 기여한 면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否定的인 측면도 많이 노출되었다. 이들 書院은 朋黨間의 싸움에서 패배한 士林들이 낙향하여 자신의 政派를 새롭게 형성하여 후일 그 문인이나 제자들이 복수를 할 수 있는 터전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Ⅵ. 結論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朝鮮後期 朋黨政治는 그 말기에 서로 간에 복수를 행하는 폐단이 연출되기도 하였으나 그렇게 否定的인 것만도 아니었다. 종래 韓末·日帝 時代에 朝鮮王朝의 政治와 歷史를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입장에서 '黨爭'이라는 용어를 써왔는데, 역사에 무지한 많은 사람들이 흔히 착각하는 것이 朝鮮이 黨爭으로 인하여 망했다는 것이다. 이는 植民史觀의 영향이라고 여겨진다. 오히려 朋黨政治는 몇 가지 측면을 제외하고는 바람직한 기능이 더 많았다고 보인다. 최근의 民族主義 史學 은 黨爭이란 용어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中國 宋代의 朋黨論을 들면서 朝鮮時代 當代에 쓰이던 朋黨이란 말을 도입해 朋黨政治라고 말한다. 이는 否定的인 인식을 不息시키기 위한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16世紀 후반 이래의 朋黨政治는 社會.經濟的 변동 속에서 양반사회가 동요함에 이르러 이를 나름대로 극복하고자 정치질서를 재편함으로써, 정국운영에서의 당위성을 찾고 기층사회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하여 제시된 편법적 정치원리라 하겠다. 朋黨政治가 다소 진전된 政治形態로 이해되기도 하지만, 그것은 中世的 政治原理 이상의 것은 아니었다. 말하자면 朋黨政治는 양반사회 모순의 부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는 民衆史觀的 입장에서 본 意義이다.
) 崔完基 敎授가 〈朋黨政治의 展開와 政局의 變化〉(《韓國史》9, 한길사, 1994.)에서 主張한 바이다.
요컨데 朋黨政治가 시간이 지나면서 단순한 학문적 논쟁의 차원을 넘어 서로간의 보복전으로 전개되기도 했고 무엇보다 백성들의 생활에 대한 배려 등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當時의 時代的 條件, 즉 사람들의 가치관, 정치 발달 단계, 의식화 정도, 경제 수준을 살펴보면 이는 굉장히 발달된 정치 형태라고 느껴지며 이를 갖추고 운영했던 것이 놀라울 정도이다.
이제 우리는 일제가 자신들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부정했던 우리의 자율적인 능력 중 하나인 朋黨政治에 대해 日帝의 植民史觀을 탈피하여 좀더 적극적인 해석으로, 현대 政黨政治의 曉示라고 할 수 있을 朋黨政治를 정확하게 糾明하여 올바르게 認識해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編, 《韓國史特講》,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김갑동·전수병, 《주제별로 본 韓國歷史》, 書景文化社, 1998.
李泰鎭, 《朝鮮時代 政治史의 再照明》, 범어사, 1991.
崔完基, 〈朋黨政治의 展開와 政局의 變化〉《韓國史》9, 한길사, 1994.
崔完基, 《朝鮮時代史의 理解》, 느티나무, 1993.
崔異敦, 〈士林의 擡頭와 中央政治體制의 變化〉《韓國史》7, 한길사, 199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